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사유의 확장 예술 향유를 통해 인생폭을 넓혀봐요

안녕하세요 사유의 확장 예술 향유를 통해 인생폭을 넓혀봐요

신현영 전문가
티핸즈
Q.  일본과 운전석 방향이 다른 역사적 배경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신현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일본은 우핸들인데요. 다른 나라에 여행을 하면 좌핸들이 있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이렇게 좌핸들 우핸들이 나뉘게 된 이유는 뭐가 있을까요? 일본의 운전석 방향이 반대인 이유는 영국의 영향이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오른손 잡이가 많기 때문에 옛날 사람들이 마차를 몰때 채찍을 오른쪽으로 들었는데요 그런데 영국 마차의 경우 폭이 매우 좁아서 오른쪽에 채찍을 휘두를때 옆사람이 맞는 경우가 있었고 마부들이 오른쪽에 앉게 되었다고 합니다. 이 전통이 굳어져서 자동차가 발명되자 우핸들로 굳어지게 된것입니다. 일본은 개화기 때 영국의 도로 운행 체계를 채택하여 지금의 도로 좌측 통행이 되어 운전석이 우측에 있는걸로 추측됩니다. 반면 대부분의 국가는 자동차 핸들이 좌측에 있습니다.
Q.  우리나라 최초의 성악가는 누구였나요.
안녕하세요. 신현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한국 최초의 성악가는 소프라노 성악가였던 윤심덕입니다. '사의 찬미'를 불렀던 성악가로 매우 유명한데요. 윤심덕은 소프라노와 테너를 모두 부를 수 있는 뛰어난 성악가였던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윤심덕은 음악학교 재학 중이던 시절부터 재일 한국인 동우회 순회극단화 함께 근대극 전국 순회공연을 하기도 했으며, 바이올리니스트 홍난파 등과 함께 공연했습니다. 7월 말 마지막 공연지 경성에서의 공연이 끝났을때 언론은 “윤심덕 양의 독창은 청중의 정신을 황홀케 하였다”고 보도하기도 할 정도로 뛰어난 성악가였습니다.1897년 3월 10일 경상북도 영천에서 태어나 1926년 8월 3일 실종되었는데요. 당시 와세다대학 출신이었던 극작가 김우진이라는 인물과 함께 실종되어 두사람의 실종은 대서특필 될 정도로 화제였습니다. 바다에 함께 몸을 던저 동반 투신을 했다던지 해외에서 목격됐다는 소문이 돌았지만 알려진 바는 없습니다. 현대에도 '사의 찬미'라는 뮤지컬로 윤심덕과 김우진의 미스터리한 이야기가 전해집니다.
Q.  장례에 검은색 의복을 입은 것은 언제부터 였나요?
안녕하세요. 신현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과거 우리 조상들의 장례 문화는 시대에 따라 변화되어 왔는데요.아주 예전 고조선 시대에는 산장이나 묘에 묻는 장례문화가 대부분이었고, 고려 시대에는 불교의 영향으로 화장을 하거나 유교의 영향으로 무덤을 만들어 묻는 것이 일반적이었습니다. 조선 시대에 들어서는 유교의 영향이 강력하여 화장이 전면적으로 금지되었고 묘지에 묻는 형식으로 전통이 이어졌고, 이때부터는 삼베옷을 입히고 머리에 비노를 쓰는 것이 일반적이었습니다. 이후 일본식민지 시대를 거쳐 근대에 들어서면서 서구 문화의 영향으로 장례절차가 간소화되고 현대화 되게 되면서 검은 정장과 완장을 입는 것으로 정착하게 되었습니다
Q.  조선 시대에도 성인 소설 등이 있었나요?
안녕하세요. 신현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네 조선시대에도 성인 소설이 있었습니다. 조선시대에서 잘 알려진 성인 소설은 아마도 '춘향전'이라고 생각됩니다. 이 소설은 당시 시대상에서 볼때 꽤 노골적인 성에 대한 묘사와 사랑에 대한 행위가 적혀져 있었고 당시 조선시대에 쓰여진 책들의 특징이 한문어를 구사하는 것이 었다면, 이 책은 의성어, 의태어, 구어체 등이 쓰여져 있어 잘 읽혀지고 생동감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조선시대 음담패설집같은 성 문화를 보여주는 이야기들이 수록된 소설들도 있었는데요. '기이재상담'과 '유년공부같은 책을 예시를 들 수 있습니다. 그중 '기이재상담'은 조선 후기 시절 성인소설책으로 총31편의 이야기가 수록되어 있습니다. 이 책은 조선 후기 성의 여러 양상을 두루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런 책들은 조선 후기시절 양반, 승려, 천민 등 다양한 신분의 사람들이 등장하여 조선시대의 성 문화뿐 아니라 생활 습관, 결혼 제도, 사회적 통념 등 다양한 조선시대 풍속을 엿 볼 수 있게 도와줍니다.
Q.  돈키호테 작가의 대표작과 작품세계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신현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돈키호테는 1600년대 초에 출판된 미겔 데 세르반테스의 스페인 소설입니다. 많은 비평가와 작가들이 이 작품을 최초의 "현대 소설"로 칭했는데, 이 소설은 평범한 삶에 만족하지 않는 중년 귀족의 모험을 그립니다. 돈키호테는 중세 기사의 이상적인 상상을 통해 자신의 행동을 해석하며, "잘못된 기사"로 악과 불의에 맞서 싸웁니다. 그렇게 시작된 돈키호테의 여정은 많은 모험과 불행을 겪게 되고, 인물의 묘사와 발전 과정 및 이야기의 역동적, 심리적 진행 등이 두드러진다는 평을 받고 있는 명작입니다. 돈키호테의 작가 [미겔 데 세르반테스]는 1547년에 스페인 마드리드 근처에서 태어났습니다. 그는 소설가, 시인, 극작가로 알려져 있으며, 이탈리아에서 군대를 복무하면서 이탈리아 문학의 영향을 받게 됩니다. 그 후 스페인으로 돌아와 글을 쓰기 시작하면서 소설가의 길로 들어섭니다. 그의 소설 '라 갈라테아'는 1585년에 출판되었으며, 이후에도 그는 희곡, 시, 이야기 등 다양한 장르의 작품을 썼습니다. 세르반테스는 공무원으로서도 일하면서 직책으로 인한 다양한 상황을 경험했던 것으로 보입니다. 그리고 1590년대 후반에 과도한 부채 때문에 감옥에 수감된 동안 돈키호테에 대한 아이디어를 얻었다고 합니다. 세르반테스 군인생활 전투, 감옥 생활 같은 자신의 경험과 모험들이 돈키호테의 가상의 모험에 반영된 것으로 평가 받으며 이상주의와 유머를 결합한 작품으로 인간의 삶 존재에 대한 성찰을 제공하는 작품입니다.
616263646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