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전기 기능사 취득후 몇년뒤에 전기 산업기사 볼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상희 전기기사입니다.전기기능사 자격증을 취득한 후 바로 전기산업기사 시험을 볼 수는 없습니다.
전기산업기사 시험의 응시 자격에는 학력, 경력, 또는 관련 자격증이 필요합니다.
1. 학력 기준
• 전문대학 관련 학과 졸업(예정자 포함)
• 학점은행제로 일정 학점 이상 취득(전기 관련 과목 포함)
2. 경력 기준
• 전기 관련 실무 경력 2년 이상
3. 자격증 기준
• 기능사 취득 후 동일 분야 실무 경력 1년 이상 필요
결론
전기기능사 자격증만으로 바로 전기산업기사 시험을 볼 수는 없으며,
추가적인 실무 경력 또는 학력이 요구됩니다.
만약 학력이 충족되지 않는다면 경력을 쌓거나 학점은행제를 통해 학력을 보완해야 합니다.
Q. 교류와 직류를 나누어서 사용하는 이유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상희 전기기사입니다.교류(AC)와 직류(DC)를 나누어 사용하는 이유는 각 전류의 특성과 장점이 사용하는 용도에 따라 적합하기 때문입니다.교류는 전류가 일정한 주기로 방향을 바꿉니다. 일반적으로 가정과 상업용 전기 공급에서 사용됩니다.직류는 전류가 한 방향으로만 흐릅니다.배터리나 전자 기기에서 사용됩니다.
교류는 전압을 쉽게 높이고 낮출 수 있어 장거리 송전에서 손실이 적습니다.
직류는 배터리를 사용하거나 저장할 때 효율적입니다(스마트폰, 노트북, 전기차 등).
교류는 송전과 대규모 전기 공급에 적합하며, 직류는 소규모 장비에적합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