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자격증

전기기사·기능사

완전히맛있는식빵이좋아
완전히맛있는식빵이좋아

화장실 같은 곳에는 배선 시설로 어떻게 해야 되는 거야

일반적으로 전기 사용을 하는 곳에는 물과 가까운 곳에 하지 않고 실내에 하는 경우가 많이 있는데

화장실 같은 곳에서 배선 할때 물 사용을 하는데 그런 곳은 어떻게 하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입니다.

    화장실은 습기가 많은 환경으로, 전기 배선을 설치할 때 몇 가지 중요한 점을 고려해야 합니다. 우선, 방수 콘센트와 스위치를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는 물에 의한 사고를 예방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또한, 누전 차단기를 설치하여 전기 누전에 대한 안전성을 높이는 것도 필수적입니다. 배선은 벽이나 천장 내부로 숨겨서 설치하여 물과의 접촉을 최소화해야 하며, 고품질의 절연 소재를 사용하여 배선의 안전성을 더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이러한 방법으로 안전하게 전기 시설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전기관련 종사자입니다. 화장실이나 수영장과 같이 물의 노출이 심할 경우에는 누전차단기 및 콘센트를 설치할때 방수형이라든지 누전감도허용전류를 타이트하게 관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대길 전기기능사입니다.

    배선을 할 때 미리 배관을 합니다 cd관 주름관이라고 부르는 것으로 하고 있고요 화장실 같은 곳은 천장 팩스 위로 배관을 하고 아래로 내려오는 것은 스틸 배관을 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준희 전기기사입니다.

    화장실 같은 곳에서 배선 할때는 우선 콘센트커버를 사용하여 물이 튀는걸 예방하죠. 그리고 콘센트 방수형을 사용하기도 하죠.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희 전기기사입니다.

    일단 기능하면 등을 방수에 강한 제품을 사용하는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습기를 줄이기 위해서 벤틀레이션도 고려기 필요하고 스위치가 습기에 

    강하고 물기가 최대한 피하기위해서

    높게 설치해래 

    힙이다

  • 안녕하세요. 유순혁 전기기사입니다.

    화장실과 같이 습기나 물기가 많은 공간에서는 방수형 전기 배선과 방수 콘센트를 사용해야 합니다.

    전기 배선의 경우 물과의 접촉을 피하기 위해서 방수 배관이나 PVC 전선관으로 보호하며, 누전 차단기를 설치해 안전을 강화합니다.

    콘센트와 스위치는 IP44 이상을 충족하는 방수 제품을 선택해야 하며, 물이 튈 가능성이 있는 곳에서는 배선을 피하거나 높게 배치해야 안전합니다~!

  • 안녕하세요. 하성헌 전기기능사입니다.

    화장실 같은 곳에서 배선시설을 하기 위해서는 전기선과 수도관 등을 따로 관리를 해야합니다. 특기 전기선의 경우 물과 접촉하면 ㅇ큰 위험성이 있기 때문에 더욱 조심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임경희 전기기능사입니다.

    화장실에 전기 배선을 할때는 바닦에서 떨어져 대략 1m이상 위에 설치하거나 세면대와 샤워전과 떨어져 설치를 하는 경우가 많아요.

    그리고 콘센트 등 커버를 설치하면 습기 차단 효과도 있으니 참고하세요.

    또한, 화장실의 경우 천정에 전기배선이 있어 추가로 필요할 경우 위에서 배선을 따 작업하면 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