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광전식 공기흡입형 감지기의 특성과 설치기준은 어떻게 되는지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희 전기기사입니다.광전식 공기흡입형 감지기는 연기를 조기에 감지하는 시스템으로, 공기 중의 연기 입자를 감지하기 위해 레이저나 LED 같은 광원을 사용하는 감지기입니다. 이를 통해 연기 입자가 빛을 산란시키는 현상을 감지하여 화재의 징후를 빠르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 감지기는 일반적인 연기 감지기보다 더 민감하여 화재가 발생하기 전이나 아주 초기에 연기를 포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주로 서버실, 데이터 센터, 박물관, 고급 주택 등 화재 초기 감지가 중요한 곳에 설치됩니다.감지 범위와 공기흡입관 길이에 따라 감지기를 적절히 배치해야 합니다
Q. 전기공사기사는 전기안전관리자 선임을 할 수 없나요?
전기공사기사 자격을 소지한 사람은 전기안전관리자로 선임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전기안전관리자로 선임될 수 있는 조건은 설비의 종류와 용량에 따라 다릅니다.22.9kV 미만의 저압 및 고압 전기설비에 대해 전기공사기사가 전기안전관리자로 선임될 수 있습니다.다만 초고압 전기설비(22.9kV 이상)**의 경우, 전기공사기사가 아닌 전기기사 또는 전기산업기사 이상 자격을 가진 사람이 전기안전관리자로 선임되어야 합니다.따라서, 저압 및 고압 설비에서는 전기공사기사가 전기안전관리자로 충분히 선임될 수 있지만, 초고압 설비에서는 다른 자격이 필요합니다.
Q. 전기기술사 취득을 하려면 어느정도 산업현장의 주요 경력이 필요하나요?
안녕하세요. 이상희 전기기사입니다. 전기기술사 자격을 취득하려면 응시자가 가지고 있는 학력에 따라 경력 요건이 달라집니다. 대졸(4년제) 이상은 관련 전공 학사 학위를 가진 경우 최소 4년 이상의 실무 경력이 필요합니다. 3년제 전문대 졸업은 관련 전공을 이수한 경우 5년 이상의 실무 경력이 요구됩니다. 2년제 전문대 졸업은 관련 전공 학위를 소지한 경우 6년 이상의 실무 경력이 필요합니다. 고졸자는 관련 분야에서 고등학교를 졸업한 경우 9년 이상의 실무 경력이 필요합니다.조건 실무 경력은 전기설비, 전기공사, 전기안전관리, 전력계통 등의 분야에서 이루어진 경력이어야 합니다경력 요건을 충족한 후에는 필기시험과 면접시험을 통과해야 합니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