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자격증

전기기사·기능사

길쭉한봉고184
길쭉한봉고184

전기기술사 취득을 하려면 어느정도 산업현장의 주요 경력이 필요하나요?

안냥하세요. 전기기술사에 호기심이 생긴 30대 중반 여성입니다. 전기기술사가 전기인의 꿈의 자격증인데 이게 공부 말고도 산업현장의 주요 경력이 있어야 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산업현장에서 전기안전관리자로 근무중인 30대 후반 직장인 남성입니다. 저도 전기기술사를 공부중인데 기술사 자격증이 있는 선배들이 하는 말로는 면접때 자기의 전기 경력을 잘 말해야 된다고 하네요

  •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 입니다.

    전기기술사는 상당한 실무 경험을 요구하는 자격증입니다. 일반적으로 4년에서 7년 정도의 산업현장 경력이 필요로 하며, 전기기술사의 역할이 심도 있는 기술 지식뿐만 아니라 현장 경험을 기반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중요시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론적인 공부 외에도 현장에서의 다양한 경험이 중요합니다. 만약 경력 조건에 대한 구체적인 부분이 궁금하시다면 관련 협회나 인증 기관에 문의하셔서 확인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환 전기기사입니다.

    기술사는 자격요건이 되면 시험을 치룰 수는 있지만,

    향 후 면접 시에 주요 경력에 대한 질물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이에 현장에서의 실무 경력 등도 중요하게 작용이 될 듯 합니다.

  • 안녕하세요. 유순혁 전기기사입니다.

    전기기술사 취득을 위해서는 최소 5년 이상의 관련 경력이 필요합니다.

    기술사 시험에는 다양한 실무 경험이 요구되기 때문에, 이론 뿐만 아니라 다양한 실무적 능력 또한 필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희 전기기사입니다.

      

    전기기술사 자격을 취득하려면 응시자가 가지고 있는 학력에 따라 경력 요건이 달라집니다.

     대졸(4년제) 이상은  관련 전공 학사 학위를 가진 경우 최소 4년 이상의 실무 경력이 필요합니다.

     3년제 전문대 졸업은 관련 전공을 이수한 경우 5년 이상의 실무 경력이 요구됩니다.

      2년제 전문대 졸업은 관련 전공 학위를 소지한 경우 6년 이상의 실무 경력이 필요합니다.

      고졸자는 관련 분야에서 고등학교를 졸업한 경우 9년 이상의 실무 경력이 필요합니다.

    조건   실무 경력은 전기설비, 전기공사, 전기안전관리, 전력계통 등의 분야에서 이루어진 경력이어야 합니다

    경력 요건을 충족한 후에는 필기시험과 면접시험을 통과해야 합니디

  • 안녕하세요. 박준희 전기기사입니다.

    전기기술사는 전기자격증의 꽃인데요.

    전기기사 자격증 취득후 산업현장 5년이상의 경험이 필요하죠.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임경희 전기기능사입니다.

    전기분야 자격증 중에 전기기술사는 꽃이지요.

    전기기술사 응시자격은

    *국기기술 자격증을 보유하고 있을 경우

    전기기능사 + 실무경력 7년 이상

    전기산업기사 + 실무경력 5년 이상

    전기기사 + 실무경력 4년 이상

    *기술관련대학 졸업 학력을 갖췄을 경우

    2년제 전문대 졸 + 실무경력 8년 이상

    3년제 전문대 졸 + 실무경력 7년 이상

    4년제 대학교 졸 + 실무경력 6년 이상

    *경력이 높아 기술사 응시자격 경우

    관련분야에서 9년 이상 경력 보유자

    전기기술사 취득을 위해서는 실무경력을 쌓아야 하고 미리 계획을 세워 자격증에 도전하면 좋아요.

  • 안녕하세요. 박호철 전기기사입니다.

    전기기술사는 전기경력이 있어야 취득 가능합니다. 전기기사 +실무 경력 4년이 되야 응시가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