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재활의학과 전문의 & 필라테스 지도자 자격 이수
재활의학과 전문의 & 필라테스 지도자 자격 이수
이정재 전문가
재활 전문 병원 재활의학과 전문의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2024년 8월 19일 작성 됨
Q.
월경후 증후군 때문에 고민이에요.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이정재 의사입니다.많은부분 치료의 적응증이 일상생활에 지장을 주느냐로 판단을 합니다. 해당 증상이라면 산부인과 내원하셔서 전반적 호르몬 수치 체크를 해보시고 필요하다면 호르몬 요법등 병원 처방 치료를 받는게 좋을것으로 생각됩니다.
정형외과
2024년 8월 19일 작성 됨
Q.
실밥 제거 후 운동을 해도 되나요?????
안녕하세요. 이정재 재활의학과 전문의입니다.어디 부위 실밥일까요? 실밥 제거 하고 상처가 잘 아물었다면 가벼운 유산소는 하셔도 무관할것 같습니다. 실밥 제거 후 하루정도는 탕목욕 삼가고 물도 너무 직접적으로만 닿지 않는식으로 샤워하시는것 괜찮을것 같습니다
정형외과
2024년 8월 19일 작성 됨
Q.
일하는것도 아닌데 손가락이 자주 아픈데 왜이런가요?
안녕하세요. 이정재 재활의학과 전문의입니다.손을 자주 쓰지 않더라도 혹시나 휴대폰이나 컴퓨터를 자주 사용하는지 확인이 필요하겠습니다. 평소 컴퓨터나 휴대폰 습관을 되새겨 보시고 손을 최대한 쉬게 해준뒤에도증상이 가시지 않으면 병원 진료를 보셔서 힘줄염 여부나 관절 증상이 아닌지 확인해 보셔야 겠습니다
정형외과
2024년 8월 19일 작성 됨
Q.
요산강하제는 평생 복용해야 한다는데 끊을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이정재 재활의학과 전문의입니다.다행스럽게도 식단조절 운동, 약복용을 꾸준히 하시면서 지금은 잘 조절되고 있는것으로 생각됩니다. 통풍약은 보통 한번 먹기 시작하면 쉽게 끊기가 힘든약중 하나인데요. 우선은 지금처럼 식단, 운동을 하면서 정기적으로 병원진료를 보면서 요산수치를 확인하고 담당 주치의 선생님께 약은 중단해도 되는지 문의해보는게 좋을것 같습니다. 다만 약을 중단하고 추후에 다시 통풍발작이 생긴다면 그 이후에는 약을 끊기가 힘들다라고 이해하시는 게 좋겠습니다
기타 의료상담
2024년 8월 19일 작성 됨
Q.
관계 후 여자 허리 통증, 해결 방법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정재 의사입니다.해당 허리 통증이 산부인과적 문제인지 or 정형외과적 문제인지부터 확인해볼 필요가 있습니다.1순위로 산부인과 진료를 보는게 우선이고, 해당 질환에 문제가 없다면 정형외과 진료를 통해 허리 염좌 및 허리디스크 증상 여부를 확인하고 치료 하는게 좋겠습니다
기타 의료상담
2024년 8월 19일 작성 됨
Q.
생리통에 좋은 방법이 있을까요? 너무 고통스러워요.
안녕하세요. 이정재 의사입니다.PMS 증상은 사람마다 너무 다르고, 같은 사람도 컨디션 여하에 따라 큰 차이가 있습니다. 병원 진료 기준은 일상생활에 지장을 줄 정도로 파악하는데 해당 증상이라면 병원 내원하셔서 구조적 문제를 확인해보시고 필요하면 호르몬 요법등 약물치료로 도움을 받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기타 의료상담
2024년 8월 19일 작성 됨
Q.
여성 질 염증 증상과 치료법에 대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정재 의사입니다.해당 증상은 대부분 감염이나 염증 증상이므로 산부인과 등 내원하셔서 검사 후 치료 처방을 받는게 증세 호전이 도움이 될것으로 생각됩니다.
재활·물리치료
2024년 8월 19일 작성 됨
Q.
복대는 언제 차고 있는게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이정재 재활의학과 전문의입니다.갈비뼈 골절, 허리뼈 골절이 아닌이상 장기간 복대를 차면 오히려 필요한 허리 근육이 일을 안하게 되어 장기적으로 좋지 않습니다. 골절이 아닌이상, 힘쓰는 일 할때가 아니면 가급적 복대를 빼시는게 좋고, 통증이 줄어든 다음에는 오히려 재활치료 를 통해서 코어 운동 강화를 하시는게 장기적으로 좋겠습니다.평소 바른 자세 참고하시고요추전만 자세 훈련 및 코어운동 권유드립니다
기타 의료상담
2024년 8월 19일 작성 됨
Q.
임신 6주 피 비침, 걱정되네요. 어떻게 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이정재 의사입니다.아직 안정기 전이므로 해당증상은 무조건 병원에 내원하셔서 검사 및 진료를 받는게 좋습니다. 안정을 취하더라도 병원 진료 후에 안정가료 하시는게 좋으므로 병원 내원 권유드립니다
재활·물리치료
2024년 8월 19일 작성 됨
Q.
근육통 신경통 등의 회복과정에서 맥박수가 빨라질 수도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정재 재활의학과 전문의입니다.신체컨디션에 따라 맥박수는 달라질수 있습니다 100회 정도면 크게 신경쓰지 않으셔도 되고, 안정취하고 증상 좋아지면서 맥박수도 떨어질것으로 생각이 됩니다~
141
142
143
144
14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