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옥연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옥연 전문가입니다.
김옥연 전문가
(주)무궁화신탁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경제
경제동향
2024년 5월 11일 작성 됨
Q.
지난해 일본 제조업 기업의 순이익이 역대 최고치라고 하던데 일본 경제의 호황 신호탄이라 할 수 있나요?
일본 제조업들의 수익이 크게 증가할 수 있었던 저변에는 바로 일본의 기준금리가 다른 국가들에 비해서 낮게 유지가 되면서 발생하였던 엔화의 가치 하락현상이라고 할 수 있어요.일본의 엔화가치가 하락하게되자 일본기업들은 수출가격 경쟁력에서 우위를 차지하게 되면서 수출 실적이 증가하는 모습을 보이게 되었고 이로 인해서 역대급 실적을 꾸준히 이어가고 있지만 다른 국가들의 인플레이션율이 점차 하락하게 되면서 금리인하가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엔화의 가치 하락 현상이 사라지게 되며 여전히 기술력 상승이나 혹은 내국인들의 소비가 증가하지 않은 일본은 다시금 침체기에 빠지게 될 가능성이 높아요
경제동향
2024년 5월 11일 작성 됨
Q.
네이버 라인은 왜 우리나라에서는 많이 이용안하고 있는것인지요?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라인이 나오기전에 이미 카카오톡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보니 이용하는 유저수가 많았던 카카오톡에서 라인으로 넘어가기는 어려운 상황이기 때문에 라인의 이용자 수가 별로 없다고 보시면 되세요라인을 내가 시작하려고 해도 주변 사람들이 라인을 하지 않으면 대화를 할 수가 없기 때문에 이러한 소통을 위한 플랫폼은 초기에 선점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해요
경제동향
2024년 5월 11일 작성 됨
Q.
지금 우리나라 경제는 너무 안 좋고 물가가 왜 이렇게 비싸죠?
우리나라 경제가 현재 물가가 높은 이유에는 과거 코로나 시기에 유통되었던 많은 양의 화폐로 인한 인플레이션율의 상승과 더불어 미국과의 기준금리 격차에 의해서 발생한 달러환율의 상승으로 인한 국내 수입 원자재 가격의 상승으로 인한 인플레이션 상승이 주된 원인이라고 볼 수 있어요
경제동향
2024년 5월 11일 작성 됨
Q.
구글은 유튜브 광고 수익 외에 어떤 수익이 있나요?
구글의 경우에는 검색 엔진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어 검색엔진을 활용하는 모든 IT기업들에게 데이터 사용에 따른 수수료를 별도로 받고 있어요
경제동향
2024년 5월 11일 작성 됨
Q.
최근들어 환율이 왜 계속 높게 유지될까요
환율이 1,300원위에서 여전히 높은 환율을 유지하고 있는 것은 미국의 기준금리가 5.5%이며 우리나라의 기준금리는 3.5%로서 기준금리의 격차가 여전히 높은 상황이기 때문에 달러의 강세로 인한 높은 환율의 유지는 당연한 것이라고 봐야 해요
경제동향
2024년 5월 11일 작성 됨
Q.
사과 가격이 비싼이유가 무엇인가요??
최근 사과 가격이 많이 상승하게 되었던 이유는 생산에 소요되는 생산원가가 상승한 것과 이상기후로 인한 작황부진도 있지만 유통에 소요되는 비용이 크게 증가하게 되면서 발생한 가격 상승이 주된 원인이라고 볼 수 있어요
경제동향
2024년 5월 11일 작성 됨
Q.
소상공인들 연체률이 심각하다고 합니다. 국내에 돈을 풀고 지원금주지않을거면 외국인이라도 오게 해서 매출을 늘리는 정책은 안될까요
외국인에게 할인을 해주고 소비가 증가하는 것 자체는 인플레이션율의 상승으로 이어지지는 않지만 '할인'이라는 것을 할 수 있다면 국내의 내국인을 상대로 할인을 해줘서 소비를 늘리는 것이 오히려 좋지 않을까요?
경제동향
2024년 5월 11일 작성 됨
Q.
요즘 같은때에 미국금리를 우리나라가 계속 따라가야 하나요?
지난 2022년을 시작으로 우리나라의 기준금리는 미국의 빠른 금리 인상으로 인해서 한-미간의 기준금리 역전이 발생하였고 이로 인해서 달러환율이 빠르게 상승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어요. 여전히 달러환율은 1,370원대에서 움직이고 있는데 이 환율의 수준은 과거 2008년도 금융위기 당시의 환율로서 높은 환율이 유지되는 경우 국내에 수입되는 원자재나 제품의 가격이 상승하게 되어 국내의 인플레이션율으 상승시키는 영향을 미치게 되요그렇기 때문에 우리나라는 미국의 기준금리를 따라가지 않는 경우에는 이러한 달러환율의 상승으로 인한 국내 인플레이션 상승 압박이 강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미국의 금리를 따라가야 하는 상황이라고 볼 수 있어요
경제동향
2024년 5월 11일 작성 됨
Q.
5년 10년이 지나도 물가가 상승하는 것을 코로나 양적완화탓만 하게 될까요
사실상 지금의 경우에는 코로나 시기에 유통되었던 많은 양의 화폐로 인한 인플레이션율 상승이라고 보기는 힘든 시기에요. 이미 코로나 시기의 양적완화 정책으로 인해서 발생한 것은 높은 주택 가격의 상승이며 현재 발생하고 있는 일반적인 소비재 가격들의 상승은 중동정세의 불안으로 인한 원유 가격의 상승 그리고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미국과의 기준금리 격차의 심화에 따른 달러환율의 상승으로 수입 원자재 및 제품 가격의 상승이 이루어진 것이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상황이라고 볼 수 있어요
경제동향
2024년 5월 11일 작성 됨
Q.
금리정책에 대해알고싶어요?물가에 영향을 받는건지?
금리의 변동이 발생한다는 것은 곧 시장의 화폐 유동성 공급에 대한 조절을 하겠다는 것을 의미하는 정책이에요. 그렇기 때문에 금리의 변화에 따라서 다음과 같은 물가의 변화나 실업률의 변화가 발생하게 되요기준금리 인상 - 화폐의 유동성 공급 감소 - 인플레이션율 하락 및 실업률 증가가능성 상승기준금리 인하 - 화폐의 유동성 공급 증가 - 인플레이션율 상승 및 실업률 하락 및 경제 회복
196
197
198
199
20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