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건강고민 해결을 도와드릴 이동주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건강고민 해결을 도와드릴 이동주 전문가입니다.

이동주 전문가
서울시원자력병원
내과
내과 이미지
Q.  헌혈검사 알부민 수치 높음???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동주 의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알부민은 혈액 속에 존재하는 평범한 단백질의 양으로 단백질 영양상태를 반영합니다.알부민 자체만의 의미는...'혈장의 농도' 정도 생각하시면 될것같습니다.알부민이 진단에 쓰일 때는 ' 알부민/글로불린의 비율로 정상에선 알부민 비율이 살짝 더 높지만 글로불린 비율이 더 높으면 면역반응이 무언가의 이유로 정상 상태보다 활성화 되어있을것이다 ' 이런 식으로 다른 지표와 비교 대조할 때 일종의 기준 같은 느낌으로 쓰인다고 보면 됩니다. 알부민 자체가 문제를 일으키진 않습니다. 따라서 알부민만 정상 범위에서 살짝 벗어났다면 진단상에선 크게 의미를 두지 않을 것 같습니다.제 답변이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이비인후과
이비인후과 이미지
Q.  터널 증후군을 안생기게 하려면?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동주 의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손목 터널 증후군 (수군관증후군) 은 손목을 많이 사용하셔서 손목을 지나가는 신경이 근처의 인대에 반복적으로 눌리면서 통증 유발을 하기때문에 예방을 위해선 손목 사용량을 줄이고 보조기를 사용해주시는게 도움이 많이 됩니다. 발생했을 시에는 아픈 손목을 되도록이면 사용하지 말아주시고, 의사와 이야기 후 적절한 스트레칭 치료를 교육받아 꾸준히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답변이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피부과
피부과 이미지
Q.  발등에 사마귀가 생겼는데 점점 커지네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동주 의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사마귀는 임의로 칼로 제거하면 주변의 굳은살도 같이 제거하다가 크기가 더 커질 수 있습니다. 제거 했던 각질제거기나 손톱깎이로 다른 곳에 사용했다가 손이나 다른 쪽 발 등에 전염되는 경우도 있으니 임의로 제거하는건 지양해주세요사마귀 자체가 재발율이 높아 치료를 여러번 받고 치료 과정이 워낙 힘든 질환은 맞습니다. 냉동치료, 레이저치료, 주사치료 등 여러 치료가 있지만 실제 여러 사람들의 치료 과정을 보았을 때엔 재발이 제일 적었고 효과가 좋았던 건 주사치료 였던 것 같습니다. 주사치료는 구비해놓지 않은 병원도 많으니 진료 전에 확인해보고 가시길 바랍니다.
내과
내과 이미지
Q.  왼쪽 가슴 위 통증 원인이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동주 의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왼쪽 가슴쪽의 통증은 단순히 운동으로 인한 근육통증일 수 도있고, 심혈관계 질환으로 인한 관상동맥(심장에 피를 공급하는 동맥), 대동맥, 대동맥의 가지인 쇄골하정맥과 경동맥 쪽에 문제가 있을 경우가 있습니다.운동을 하거나 무리한 작업량으로 인한 통증은 대체로 어딘지 짚을 수 있을만큼 구체적인 느낌이 들지만 심혈관질환은 아픈곳을 짚기 애매하게 전체적으로 아픈 경향을 보입니다 동시에 동년배보다 운동능력이 떨어지며 일상생활에서도 호흡곤란과 답답함, 불편함을 호소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증상만 가지고는 진단하기 힘들고 x-ray, 소변검사, 피검사 등에서 수치들의 이상 상태를 봐야 확정할 수 있습니다.정보가 적어서 더 이상 원인을 특정짓기는 힘든 점 이해바랍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이비인후과
이비인후과 이미지
Q.  거북목 교정을 위해 베개 없이 자는게 도움될까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동주 의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소위 말하는 거북목의 경우에는 경추의 아치 형태가 무너지거나 반대로 굽는 것이 문제입니다.베개 없이 자는 것은 거북목 교정에 도움이 되지 않고 오히려 머리가 평소보다 뒤로 젖혀지게 된다면 일자목, 역 c자목이 유발 될 수 있습니다. 거북목 교정베개처럼 경추의 아치형태를 유지하며 목을 받쳐주는 베개를 추천드립니다.제 답변이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정형외과
정형외과 이미지
Q.  허리가 너무 아픕니다 디스크 증상일까요?
말씀하신 증상들을 보아하니 허리디스크의 초기 증세를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만 허리근육이나 인대의 손상일 가능성도 있습니다. 디스크의 경우엔 요즘은 비수술적 치료로 호전되는 경우가 많으니 내원 후 확실히 진단 받고 조기에 치료받으시는 것이 좋아보입니다. 또한 무리한 운동 및 앞으로 숙이는 자세, 장시간 앉아있는 운동은 허리디스크를 재발 및 악화 시킬 수 있으니 평소 생활에 이에 유의하여 주세요. 답변이 도움이 되었으면 좋겟습니다. 감사합니다.
기타 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이미지
Q.  학교에서 과도하게 졸려요+안잘려고 버티면 눈이 아파요
말씀을 들어보니 기면증 혹은 특발성 과수면증의 가능이 있습니다. 기면증이라고 하면 말하다가 푹 쓰러지듯이 자는 걸 생각하는 경우가 많은데 초기에는 주간에 과도하게 졸린 증상이 대표적입니다 특발성 과수면증과 비교하기 쉽지 않지만 대체로 기면증은 수면 중간중간에 깰 때가 많고 특발성 과수면증은 밤에 깨지않고 잘 자는데도 졸립다고 합니다. 기면증이 오래 지속된다고 큰 병이 되지는 않지만, 일상생활, 학업, 직장생활에 밤에 잠을 안자고 논다거나 게으르다거나 하는 오해를 받아 크게 불편을 겪을 수 있습니다. 검사는 병원에서 야간수면다원검사라는 것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병원에서 증상을 이야기 한 후 검사를 받고나서 만약 진단받게된다면, 주변사람에게 알리고 유사시에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것이 좋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내과
내과 이미지
Q.  식후혈당을 잡으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동주 의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말씀을 들어보니 약을 드시지 않고 생활습관 교정중이시거나, 혹은 단독제제로 혈당 조절을 하고 계신 것 같습니다.식후 혈당은 식습관으로 어느정도 조절이 됩니다. 식사를 되도록 천천히 하시고(20분이상) , 채소류와 해조류같은 식이섬유를 되도록 많이드시고, 식후 30분 후에 운동을 하시는것도 도움이 됩니다. 우유나 과일 같은 유당, 과당 제품들도 탄수화물과 교환단위가 있으니 드실 때 고려하셔서 탄수화물 총량을 계산하시면 되겠습니다.당뇨병 약 중에 메글리티나이드 계열 약이 있는데 식후 혈당 관리에 효과를 보입니다. 단독제제 요법과 생활습관개선 이후에도 혈당조절효과가 충분하지 않을 경우 의사분께 상담 후 복용을 추가로 고려해 보시는 것이 좋습니다.답변이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이비인후과
이비인후과 이미지
Q.  알레르기비염약 잠안오는 것도 있나요?
알레르기 비염약이면 항히스타민제를 처방해서 드실텐데요 현재 항히스타민제제는 1세대 ~ 3세대까지 있습니다. 1세대 약들 (페니라민 정, 옥사타딘) 은 중추신경계에 침투가 가능해서. 2세대~3세대 약물 (펙소페나민, 지르텍, 씨잘) 에 비해 졸린 부작용이 많이 나타납니다. 1세대 약의 장점이라면 효과가 빠르고 상대적으로 저렴하다 정도이지 이후 세대 약들보다 특별히 강하진 않습니다. 오히려 효력의 지속시간은 이후 세대 약들이 더 길고, 졸음 부작용도 줄여 환자분들의 선호도도 높습니다. 의사분께 졸리지 않은 약으로 달라고 하시면 잘 처방해주실겁니다. 같은 세대 약물들 간에도 졸음 부작용 정도는 차이가 있으니 복용후 부작용 체감이 심하면 약을 바꿔보실 수도 있습니다.
정형외과
정형외과 이미지
Q.  운동할 때 관절이 자주 아픈데 이유가 뭘까요?
관절을 사용하는 운동을 할때 소리가 지속적으로 나는 건 여러 원인이 있습니다. 단순히 부하로 인해 인대와 뼈가 마찰을 일으켜서 나는 소리일 수도 있고, 관절 사이의 윤활액 안의 기체방울로 인해서 나는 소리도 있습니다. 이런 경우는 정상적으로도 발생합니다. 하지만 반복되는 운동에 통증이 수반된다면 보통은 운동강도와 부하로 인한 추벽증후군(성장 후 남아있는 관절낭사이의 추벽이 반복된 자극으로 인해 두꺼워져 통증을 유발하는 증상. 무릎 부위의 추벽에 호발), 퇴행성 관절염, 해당 부위의 인대, 건 손상 등의 가능성이 있습니다. 어느 경우든 해당 부위의 운동은 쉬시는 것이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됩니다. 운동을 중단했음에도 통증이 지속되거나 심해지면 가까운 병원에 내원하여 진료 및 상담을 받으시길 바랍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161718192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