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아하! 이렇게 쉬울수가
아하! 이렇게 쉬울수가
유민혁 전문가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의료상담
정형외과
2025년 1월 14일 작성 됨
Q.
손목결절종 걸려 보신분 수술했는데 재발 어떻하나요?
안녕하세요. 유민혁 의사입니다. 손목 결절종의 재발은 꽤 흔한 편이에요. 수술로 제거해도 20-30% 정도는 다시 생길 수 있는데, 특히 손목에 부담이 많이 가는 운동을 하면 재발 위험이 높아져요. 당장 수술을 서두르실 필요는 없고, 크기가 작다면 관찰하면서 헬스할 때 손목 보호대를 착용하거나 무리한 운동은 피하시는 게 좋을 것 같네요. 물혹이 커지거나 통증이 생기면 그때 수술을 고려해보시는 게 좋겠어요.
성형외과
2025년 1월 14일 작성 됨
Q.
평소 턱을 괴는 습관은 아이의 얼굴형을 바꾸나요?
안녕하세요. 유민혁 의사입니다. 턱을 자주 괴는 습관은 장기적으로 턱관절이나 얼굴 근육의 불균형을 초래할 수 있어요. 한쪽으로만 턱을 괴면 얼굴 근육이 비대칭적으로 발달할 수 있고, 턱관절에도 무리가 갈 수 있죠. 특히 성장기 아이들은 뼈와 근육이 발달하는 중이라 더 주의가 필요해요. 아이가 바른 자세로 앉도록 지도해주시고, 책상 높이나 의자 높이가 적절한지도 체크해보시면 좋을 것 같네요.
소아청소년과
2025년 1월 14일 작성 됨
Q.
요즘 아이들의 뒤집기는 예전보다 더 빨라졌나요?
안녕하세요. 유민혁 의사입니다. 아이들의 성장 속도가 빨라진 건 맞지만, 뒤집기나 기기 같은 운동발달 시기는 크게 변하지 않았어요. 보통 생후 3-6개월 사이에 뒤집기를 시작하는데, 이건 예전이나 지금이나 비슷해요. 다만 요즘은 부모님들이 아이의 발달에 더 많은 관심을 가지고 계시다 보니, 빨라진 것처럼 느끼실 수 있죠.
이비인후과
2025년 1월 14일 작성 됨
Q.
땀흘리고 감기가 걸리면 어떻해야되나요?
안녕하세요. 유민혁 의사입니다. 운동 후 감기 증상이 있다면 우선 휴식을 취하는 게 중요해요. 땀을 흘린 후에는 체온이 떨어지면서 면역력이 일시적으로 저하될 수 있거든요. 따뜻한 물로 샤워하고 충분한 수분 보충을 하면서 하루 이틀 정도는 운동을 쉬어주세요. 일반 감기와 독감은 다른 질환인데, 독감 예방주사는 계절성 독감 바이러스를 예방하는 거예요. 특별한 기저질환이 없다면 꼭 맞아야 하는 건 아니지만, 예방 차원에서 맞으시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정형외과
2025년 1월 14일 작성 됨
Q.
팔꿈치 골절이후에 9개월이 지난 지금도 시큰거리네요
안녕하세요. 유민혁 의사입니다. 골절 후 완전한 회복까지는 보통 1년 이상 걸릴 수 있어요. 뼈는 잘 붙었더라도 주변 연부조직이나 인대가 완전히 회복되는 데 시간이 더 필요한 거죠. 오랫동안 움직이지 않다가 움직일 때 시큰거리는 건 관절이 뻣뻣해지거나 주변 근육이 약해져서 나타나는 증상일 수 있어요. 현재 일상생활에 큰 불편이 없다면 꾸준한 운동으로 회복을 기다려보시고, 통증이 심해지거나 움직임에 제한이 생기면 정형외과를 다시 방문해보세요.
126
127
128
129
13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