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기계를 운전할 때 가장 신경써야 할 부분은?
안녕하세요, 생산공장설비관리 직무를 맡고 있는 박상훈 전문가입니다.기계 장비나 설비를 운전할때 가장 신경을 써야할 부분은 무엇인가요? → 기본적으로 안전보호구 착용을 생활화하고, 2인 1조로 작업을 해야합니다. 기계 장비나 설비를 운전하게 될 때, 문제가 있어 내부를 확인하러 들어가게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 때 설비 동작을 누군가가 임의로 동작시키게 되면 확인하러 간 작업자가 크게 다칠 위험이 있으므로, 반드시 2인 1조로 작업을 해야합니다.요즘 기계는 사람을 보호하기 위한 안전장치가 갖추어져 있지 않나요? → 안전장치가 장비 자체에 붙어서 나오진 않구요. 설비 공정이 있으면, 그 주변 일대에 안전펜스를 설치하여 도어 개방 시 인터록 신호를 주어 설비 가동을 멈추게 할 수 있습니다. 그 밖에 안전 센서 등을 통해 진입이 감지 될 경우 장비를 멈추게 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기계 장비를 다룰 때 앞서 말했듯, 2인 1조로 작업을 하지 않고 실수를 하게 된다면 사고가 일어날 수 있습니다.답변이 도움 되셨길 바라며, "좋아요 버튼(👍)" 부탁드립니다.감사합니다.
Q. 엔진의 움직임을 제어하기 위해 쓰이는 캠(Cam)의 원리와 활용 방법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생산공장설비관리직을 맡고 있는 박상훈 전문가입니다.흔히들 캠샤프트라고 하며 엔진을 구성하는 주요 부품 중 하나입니다. 캠(CAM)이 있어야만 엔진의 흡입,압축,폭발,배기 4행정을 운용할 수 있게 됩니다. 간단하게 말씀드리자면, 캠이 회전하면서 실린더를 밀어주게 되는데 밀어주게 되면 실린더의 밸브가 열고 닫히게 되면서 실린더 내의 공기 및 연료의 유입과 배출을 조절시킬 수 있습니다. 즉, 캠 샤프트는 엔진 내 밸브 작동을 제어하여 공기와 연료가 올바른 방향으로 흐를 수 있도록 하는 중요한 부품입니다. 전기차에는 엔진이 없고 모터가 있습니다.답변이 도움 되셨길 바라며, "좋아요 버튼(👍)" 부탁드립니다.감사합니다.
Q. 우리평소에 사용하는 연료 경유와 휘발류가
안녕하세요, 생산공장설비관리직을 맡고 있는 박상훈 전문가입니다.기본적으로 경유가 휘발유보다 저렴합니다. 일반 승용차량의 경우 기름이 100L 넘게 들어가는 차량은 없기 때문에 굳이 경유차를 안써도 가격적으로 부담은 없지만, 중장비들의 경우 작게는 150L 많게는 300L까지도 들어가기 때문에 몇백원 차이가 매우 큰 부담으로 다가오게 됩니다. 또한 경유는 휘발유보다 폭발위험성이 낮기 때문에 중장비의 경우 경유를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답변이 도움 되셨길 바라며, "좋아요 버튼(👍)" 부탁드립니다.감사합니다.
Q. 좋은 드론은 자동착륙 시스템이 갖춰져 있는데, 비전기반과 gps기반 차이가 유의미하게 날까요?
안녕하세요, 생산공장설비관리직을 맡고 있는 박상훈 전문가입니다.GPS 기반과 비전 기반의 차이는 거리의 오차범위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GPS 기반의 경우 드론에 내장되어 있는 칩을 통해 위치를 송수신 받기 때문에 거리의 오차가 어느정도는 감안하셔야 합니다. 그러나 비전 기반의 경우 직접적인 물체를 투영하여 위치 조정을 해주기 때문에 거리의 오차가 거의 없다고 보시면 됩니다. 그래서 비전 기반의 드론이 가격적으로 비싼 편입니다. 일반인이 운용하는 드론의 경우는 굳이 비전기반의 드론을 구매하시기 보다 GPS기반 드론을 구매하는 것이 가성비가 좋다고 봅니다.답변이 도움 되셨길 바라며, "좋아요 버튼(👍)" 부탁드립니다.감사합니다.
Q. 내연기관 엔진은 운동 메커니즘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생산공장설비관리직을 맡고 있는 박상훈 전문가입니다.어느정도 개념은 알고 계신 듯 하여, 엔진의 4행정에 대해 세부적으로 설명드리겠습니다.엔진은 흡입, 압축, 폭발, 배기의 4행정으로 진행이 되는데요. 첫 번째로 흡기 행정에서 엔진의 피스톤이 실린더 내부로 움직이게 되고 흡기 밸브가 열리게 됩니다. 그 때 외부의 공기가 실린더로 흡입되는데요. 두 번째 압축 행정에서 열렸던 흡기 밸브를 피스톤을 통해 닫고, 실린더 내의 공기를 압축하게 됩니다. 세 번째로 자동차 내부에 있던 연료와 공기의 혼합물이 고압 상태에서 노치에 불꽃을 붙여 연소가 되며 폭발이 발생됩니다. 이것이 바로 엔진의 움직임을 형성시켜주는 중요한 행정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피스톤이 배기 밸브를 통해 상승하게 되고 남은 가스를 실린더 내에서 배출해주며 빈 공간이 되는 것이죠. 이를 반복하게 되면 엔진이 지속적인 힘을 전달하게 되고 그 힘을 통해 차량의 바퀴를 회전 시킬 수 있습니다.답변이 도움 되셨길 바라며, "좋아요 버튼(👍)" 부탁드립니다.감사합니다.
Q. 기구등을 다룰때 힘이 어느정도 작용하는지 분해하는것도 기계공학인가요?
안녕하세요, 생산공장설비관리직을 맡고 있는 박상훈 전문가입니다.기구등을 다룰때 힘이 어느정도 작용하는지 분해하는 것도 기계공학인가요?→ 네, 기계공학의 한 분야입니다. 뿐만 아니라 어느정도의 장력과 응력 등 실제 특정 크기의 힘을 물체에 가하였을 때 파단되는 강도 역시 구조해석이라는 관점에서 측정할 수 있습니다.동역학이라고 하는건 어떤 학문인가요? 움직이는 물체의 힘을 분석하는 것인가요?→ 말씀해주신대로 운동하는 물체에 힘이 미치는 영향을 다루는 학문입니다. 간단히 예시를 들면, 투수가 던진 야구공을 타자가 야구 배트로 치면서 발생하는 야구공의 방향과 힘, 그리고 거리를 계산하는 것도 동역학의 일부라고 보실 수 있습니다.답변이 도움 되셨길 바라며, "좋아요 버튼(👍)" 부탁드립니다.감사합니다.
Q. 기계와 전자는 함께 생각해야하나요?
안녕하세요, 생산공장설비관직을 맡고 있는 박상훈 전문가입니다.저는 기계공학을 전공하여 현재 생산공장의 설비들을 총괄하고 있습니다만, 기계공학을 전공하셨다면 전기에 대한 지식 부족을 크게 우려할 필요는 없는 것 같습니다. 기본적으로 설비를 다루시게 된다면 기계에 대한 이해도가 바탕이 되어야 제어를 접목시킬 수 있는데, 기계공학을 전공하신 분들의 경우 전기를 모르셔도 금방 배우고 이해가 빠릅니다. 동작의 원리와 요소들을 세세하게 배우니까요. 물론 전기를 아예 모르면 안됩니다. 만약 공부를 병행하시게 된다면, 전기 계통도와 전기 도면 해석하는 공부를 하시는 것이 현업에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답변이 도움 되셨길 바라며, "좋아요 버튼(👍)" 부탁드립니다.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