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로봇은 기계와 전자의 결합작품인가요?
안녕하세요, 생산공장설비관리직을 맡고 있는 박상훈 전문가입니다.말씀하신대로 로봇은 기계와 전기의 결합작품이 맞습니다. 그러나 모든 장비의 근간은 기계입니다. 로봇의 형태를 하고 있는 기계가 있어야만, 그에 맞는 제어를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기계적인 부분은 필수이지요. 자동차를 예시로 드셨는데요. 엔진을 활용하던 내연기관에서 전기차 시대로 변모하며 전자장비가 많아지고는 있지만, 결국 자동차를 구동시키는 것은 모터입니다. 즉, 기계라는 것이죠. 기본적인 기계가 근간이 되고, 추가로 원하는 제어(크루즈, ABS, ADAS 등)를 붙이는 것이 전기입니다.감사합니다.
Q. 기계 공구류들은 가격차이가 심한데 장단점이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생산공장설비관리직을 맡고 있는 박상훈 전문가입니다.싼게 비지떡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제가 관리하고 있는 공장에서도 공구류가 정말 많이 있는데요. 저희같은 경우는 중국산 제품을 잘 구매하지 않습니다. 기본적으로 내구성이 많이 떨어지며, 몽키스패너의 예를 들면 미국 제품의 경우 steel 재질로 전부분 만들어지지만, 중국산 제품의 경우 물리는 부분만 steel, 손잡이 부분은 다른 싼 재질로 되어 있습니다. 이경우 사용하다가 손잡이가 부러지는 등등 많은 문제가 발생하여, 결국 이중 지출을 하게 됩니다. 말씀하신대로 제 경험적으로는 내구성 차이로 인한 금액 차이로 판단합니다.감사합니다.
Q. 기계공학 관련 자격증 딸려면 어떤 것부터 시작하는 게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생산공장설비관리직을 맡고 있는 박상훈 전문가입니다.기본적으로 기계공학 관련 자격증이라고 한다면 일반기계기사가 가장 기초가 될 것 같습니다. 필기 응시 과목으로는 기계제도 및 설계, 기계재료 및 제작, 구조 해석, 열 유체 해석으로 총 4과목이 있으며, 현업에서도 가장 중요한 4과목이기에 기계공학의 기초를 전부 공부하실 수 있습니다. 실기의 경우는 도면 해석 및 CAD와 3D 설계툴을 활용하여 기계를 제도하는 것인데, 이 또한 건축이나 기계쪽 취업을 희망하는 분의 경우 현업에서 많은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난이도가 어느 정도 있는 자격증이나, 취득 시 취업에도 유리합니다.질문자님께서 말씀하신 연계된 필기 과목의 전체 면제를 해주는 자격증은 없지만, 일부과목을 PASS할 수 있는[EX. 4과목 중 2과목 면제] 타 자격증도 존재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감사합니다.
Q. 생산라인의 효율성을평가하기위한지표는무엇이있나요?
안녕하세요, 생산공장설비관리직을 맡고 있는 박상훈 전문가입니다.생산설비의 효율성을 관리하고 평가하기 위한 주요 지표로 가동률과 생산성, 품질, 사이클타임 등이 있습니다. 실제 현업에서도 이 4가지를 가장 주요한 지표로 평가하고 리스트업 하고 있습니다. 가동률을 제외하고 나머지 지표에 대해 간단히 말씀드리자면 생산성의 경우 일정 시간 중 생산된 제품의 양을 가리키는 지표입니다. 완제품 대비 불량품의 비율을 소분하여 생산된 제품을 평가할 수 있는 것을 품질 지표라고 하며, 이것은 실제 제품 소비자들에게 주요한 지표로 작용됩니다. 마지막으로 공장생산의 가장 중요한 사이클타임 지표는 한 제품이 생산되는 데 걸리는 시간을 말합니다. 사이클타임 지표를 통해 라인 생산의 가동률이 결정되며, 사이클타임이 부족할 경우 라인이 정지되기 때문에 이를 개선하는 것을 종종 현업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