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손승우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손승우 전문가입니다.

손승우 전문가
마이크로칩
전기·전자
전기·전자 이미지
Q.  광 마우스의 원리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손승우 전문가입니다.광마우스는 크게 LED, 렌즈, CMOS 센서의 3가지 부품으로 동작합니다. LED(보통 붉은색)가 바닥의 표면을 비추고 바닥의 미세한 요철에 의해 빛이 흩어지고 반사됩니다. 이러한 빛을 렌즈에서 모은 후 CMOS 이미지 센서로 투영합니다. 이 CMOS 센서는 디지털 카메라의 센서와 비슷하게 렌즈를 통해 들어온 바닥의 이미지를 초당 수천번의 속도로 촬영합니다. 이런 상황에서 마우스를 움직이게 되면 촬영되는 이미지가 조금씩 달라지고 이 변화를 감지하여 마우스 움직임을 컴퓨터로 전달합니다.쉽게 말하면 마우스 하단 센서 부분에 매우 작은 카메라가 달려 있어 움직임을 감지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빨간색 불빛은 단순히 광원이고 불빛으로 신호를 주고 받는 것은 아닙니다.
전기·전자
전기·전자 이미지
Q.  볼록 렌즈는 빛의 굴절인데 이게 빛의 진동하고도 관련이 있는건가요?? 아니면 그냥 단순한 빛의 굴절하고만 관련있는건가요?/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손승우 전문가입니다.빛의 굴절은 빛의 진동수와 관계가 있습니다.일반적으로 빛은 파장이 짧을수록 굴절률이 커집니다. 그래서 프리즘을 통과한 빛에서 파란색 빛이 빨간색 빛보다 더 많이 꺾이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빛의 파장은 진동수와 반비례 관계입니다. 그래서 파장이 크면 진동수가 작고, 파장이 짧으면 진동수가 큽니다. 그래서 프리즘에서의 굴절을 진동수와 관계지어서 생각해보면 진동수가 클수록 굴절률이 크다고 이해할 수 있습니다.
전기·전자
전기·전자 이미지
Q.  멀티탭에 전자기기를 많이 꼽으면 정격 용량떄문에 문제가 된다고 하는데요. 그럼 이 정격 용량이라는건 정확히 어떤걸 말하는건가요?? 전압? 전류? 저항?
안녕하세요. 손승우 전문가입니다.멀티탭의 정격 용량은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최대 전기 사용 한도를 의미합니다.보통 정격 전류나 정격 전력 두 가지로 표현합니다.정격 전류의 경우엔 16A와 같이 표현되고 정격 전력일 경우 4000W 처럼 전력의 단위로 표현됩니다.우리나라는 가정용 전기의 전압이 220V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전류 값만 알면 전력으로 변환할 수 있습니다.전력은 전류 x 전압 이므로 정격 전류 16A = 정격 전력 4000W(250V x 16A)입니다. 250V를 곱한 이유는 220V에서 안전 마진을 고려하여 최대 250V로 멀티탭의 최대 전압을 설계하기 때문입니다.
전기·전자
전기·전자 이미지
Q.  노트북에 마우스를 2개를 무선으로 연결해서 사용이 가능한가요? 무선 주파수를 활용하는데 페어링이 각각 키값이 달라서 가능한가요?? 아니면 충돌이 발생되나요??
안녕하세요. 손승우 전문가입니다.노트북에 무선 마우스를 2개 연결하는 것은 기술적으로 큰 문제가 없습니다.무선 마우스는 보통 2.4GHz 방식이나 블루투스 방식을 사용합니다. 이때 2.4GHz 방식의 경우 각 리시버 별로 짝이 맞는 마우스와만 고유 ID 값으로 페어링 되어 있어서 충돌이 나지 않습니다. 그래서 동글을 2개 연결하더라도 2개의 마우스를 모두 사용할 수 있습니다.블루투스 방식의 경우에도 각 기기마다 MAC 주소 기반으로 구분이 되기 때문에 충돌 없이 2개 동시에 사용이 가능합니다.
재료공학
재료공학 이미지
Q.  고등학교 DSSC실험 후 멀티미터로 측정했을 때 어느정도 값이 나와야 성공적으로 이루어졌다고 할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손승우 전문가입니다.말씀하신 DSSC는 염료 감응 태양전지 Dye sensitized solar cell을 말씀하시는 것 같습니다.저도 대학교에서 졸업 논문으로 공부했던 적이 있습니다. 우선 효율을 계산하는 공식은 (V*I)/(E*A)입니다. 이를 더 정리하면 η=​Jsc​×Voc​×FF​ / Pin​ 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여기서 Jsc는 short 상태에서의 전류밀도이고, Voc는 open 상태의 전압, FF는 fill factor로 IV curve 통해 계산할 수 있는 충전율, 마지막으로 Pin은 조사해준 빛의 세기를 말합니다. 실험에서 측정된 값들을 대입하여 계산하시면 태양전지의 효율을 측정할 수 있습니다.제가 학부생 시절 했던 실험에서는 6% 정도의 효율이 나왔던 기억이 있네요.
1234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