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손승우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손승우 전문가입니다.

손승우 전문가
마이크로칩
전기·전자
전기·전자 이미지
Q.  멀티탭에 전자기기를 많이 꼽으면 정격 용량떄문에 문제가 된다고 하는데요. 그럼 이 정격 용량이라는건 정확히 어떤걸 말하는건가요?? 전압? 전류? 저항?
안녕하세요. 손승우 전문가입니다.멀티탭의 정격 용량은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최대 전기 사용 한도를 의미합니다.보통 정격 전류나 정격 전력 두 가지로 표현합니다.정격 전류의 경우엔 16A와 같이 표현되고 정격 전력일 경우 4000W 처럼 전력의 단위로 표현됩니다.우리나라는 가정용 전기의 전압이 220V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전류 값만 알면 전력으로 변환할 수 있습니다.전력은 전류 x 전압 이므로 정격 전류 16A = 정격 전력 4000W(250V x 16A)입니다. 250V를 곱한 이유는 220V에서 안전 마진을 고려하여 최대 250V로 멀티탭의 최대 전압을 설계하기 때문입니다.
전기·전자
전기·전자 이미지
Q.  노트북에 마우스를 2개를 무선으로 연결해서 사용이 가능한가요? 무선 주파수를 활용하는데 페어링이 각각 키값이 달라서 가능한가요?? 아니면 충돌이 발생되나요??
안녕하세요. 손승우 전문가입니다.노트북에 무선 마우스를 2개 연결하는 것은 기술적으로 큰 문제가 없습니다.무선 마우스는 보통 2.4GHz 방식이나 블루투스 방식을 사용합니다. 이때 2.4GHz 방식의 경우 각 리시버 별로 짝이 맞는 마우스와만 고유 ID 값으로 페어링 되어 있어서 충돌이 나지 않습니다. 그래서 동글을 2개 연결하더라도 2개의 마우스를 모두 사용할 수 있습니다.블루투스 방식의 경우에도 각 기기마다 MAC 주소 기반으로 구분이 되기 때문에 충돌 없이 2개 동시에 사용이 가능합니다.
재료공학
재료공학 이미지
Q.  고등학교 DSSC실험 후 멀티미터로 측정했을 때 어느정도 값이 나와야 성공적으로 이루어졌다고 할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손승우 전문가입니다.말씀하신 DSSC는 염료 감응 태양전지 Dye sensitized solar cell을 말씀하시는 것 같습니다.저도 대학교에서 졸업 논문으로 공부했던 적이 있습니다. 우선 효율을 계산하는 공식은 (V*I)/(E*A)입니다. 이를 더 정리하면 η=​Jsc​×Voc​×FF​ / Pin​ 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여기서 Jsc는 short 상태에서의 전류밀도이고, Voc는 open 상태의 전압, FF는 fill factor로 IV curve 통해 계산할 수 있는 충전율, 마지막으로 Pin은 조사해준 빛의 세기를 말합니다. 실험에서 측정된 값들을 대입하여 계산하시면 태양전지의 효율을 측정할 수 있습니다.제가 학부생 시절 했던 실험에서는 6% 정도의 효율이 나왔던 기억이 있네요.
전기·전자
전기·전자 이미지
Q.  전기 에너지를 열에너지로 전환하는것은 저항 밖에 없나요?? 아니면 다른 뭔가 있나요??내부 저항에 의해서 열을 발생시키고 그 열을
안녕하세요. 손승우 전문가입니다.전기 에너지가 열 에너지로 변환되는 것은 저항에 의한 것이 가장 일반적이고 널리 사용됩니다. 실생활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전기밥솥이나 전기매트 등도 모두 저항에 전기를 흐르게 하여 발열이 되도록 하는 것입니다. 인덕션에서는 유도전류를 사용하여 열을 발생시키지만 이것도 결국에는 금속 용기에 유도전류를 흐르게 하여 금속 자체의 저항으로 인해 가열이 되는 원리입니다. 
전기·전자
전기·전자 이미지
Q.  전기 부품들의 수명이 어떤식으로 소모되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손승우 전문가입니다.전기 전자 부품들의 수명은 사용하면서 조금씩 성능이 저하되다가 허용 범위를 벗어나는 고장이 발생하는 과정입니다.수명에 작용하는 요인에는 열, 전기적 스트레스, 환경 등이 있습니다.전자 제품에 전기가 흐르게 되면 저항 성분 때문에 열이 발생하는데 이러한 열 때문에 재료 자체의 화학적 열화가 가속화 됩니다.또한 과도한 전압이나 전류가 흐르는 경우 내부 구조에 과부하가 걸려 절연막, 패턴, 반도체 내부 게이트 산화막 등이 열화되어 손상됩니다.환경적 요인으로도 습도에 의해 금속이 산화되고 먼지 등에 의해 방열 성능이 저하되거나 쇼트 위험이 생기는 등 수명이 단축되게 됩니다.이러한 현상으로 열화가 진행되면 내부 납땜 부분에 크랙이 생기거나 산화가 진행되어 저항이 증가하는 등 점점 수명 단축이 가속화되고 이로 인해 어떤 성능의 임계점 이하로 열화가 진행되면 최종적으로 고장이 발생하는 것입니다.
전기·전자
전기·전자 이미지
Q.  천장 led등 설치할때 선들 많이 구부려도 문제없죠?
안녕하세요. 손승우 전문가입니다.사진 상으로 봤을 때는 큰 문제가 없어 보입니다.하지만 전선을 큰 각도로 급격하게, 그리고 반복적으로 굽히는 것은 좋지 않습니다. 우선 굽힘으로 인해 전선의 피복이 손상될 우려가 있고, 이렇게 되면 누선이 발생하여 합선 등 안전 문제가 발생할 위험이 있습니다.또한 금속을 반복적으로 굽히게 될 시 변형에 의한 금속 피로가 누적되어 전선의 단선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를 고려하여 전선을 굽혀야 한다면 완만한 곡선으로 최소한의 횟수로 구부리는 것이 좋습니다.
재료공학
재료공학 이미지
Q.  금과 은의 성분은 어떤 차이가 있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손승우 전문가입니다.금과 은은 기본 원소부터가 다릅니다. 금은 원자번호가 79이며 은은 47입니다. 때문에 물성도 서로 차이가 납니다. 금은 반응성이 거의 없어 부식과 산화가 잘 되지 않습니다. 또한 가공성이 좋아 얇게 뽑아내거나 넓게 펴기 쉬워 활용도가 높습니다. 은은 전기전도도가 금속들 중 가장 좋지만 산화가 매우 잘 되는 편입니다. 
전기·전자
전기·전자 이미지
Q.  핸드폰의 발열을 잡는 방법은 뭐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손승우 전문가입니다.여름철 스마트폰의 발열이 심하면 성능 저하(쓰로틀링)이 걸리거나 배터리 수명 단축이 될 수 있어 적절하게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평소 발열이 심하다면 우선 발열의 원인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고사양 앱이 장시간 실행되지 않는지, 여러 앱이 백그라운드에서 동작하고 있는지, 무선 통신이 지속적으로 사용되는지 등을 파악하여 원인을 최대한 줄이시는 것이 도움이 될 것입니다.그리고 휴대폰 설정에서 화면 밝기 낮추기, 백그라운드 앱 종료, 사용하지 않는 무선 통신 끄기, 절전 모드 등을 하시면 발열도 줄고 배터리 사용 시간도 많이 늘어납니다.
전기·전자
전기·전자 이미지
Q.  열을 통해서 에너지를 만드는 기술도 있나요??
안녕하세요. 손승우 전문가입니다.현대 대부분의 발전은 열을 이용한 발전 방식입니다.오늘날 대표적인 발전 방식인 화력 발전과 원자력 발전 방식도 불이나 핵분열 반응을 통해 열을 발생시킨 뒤 이 열을 이용하여 물을 가열합니다. 물이 끓어서 증기가 발생하게 되고 이 증기를 통해 발전기의 터빈을 회전시켜 전기를 생산합니다.그 외에 열을 통해 에너지를 만드는 기술은 지열 발전, 열전발전 소자 등이 있습니다.
전기·전자
전기·전자 이미지
Q.  핸드폰 전력이 대기 전력 만으로도 많이 달아요
안녕하세요. 손승우 전문가입니다.스마트폰이 대기 상태에서도 1시간에 10% 정도로 빠르게 소모되는 것은 정상 범위를 벗어난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대기 상태처럼 보이지만 어플리케이션에서 백그라운드 동작이 계속 이루어지고 있거나, 배터리 노후화, 약한 통신 신호 등이 원인일 것으로 보입니다.휴대폰의 설정에서 앱별 배터리 사용량을 확인할 수 있을 것입니다. 특히 사용량이 많은 앱이 있는지 확인해보시고 많이 사용하지 않았는데 배터리 사용량이 특히 많은 앱이 있다면 해당 앱의 설정을 확인해보셔야 합니다. 또 설정에서 백그라운드 실행 제한을 설정하면 배터리 사용량 감소에 도움이 됩니다.두번째로 통신 신호가 약한 곳에 있을 경우 이런 약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통신 모듈의 전력 소모량이 증가하여 배터리 시간이 짧아질 수 있습니다. 또 블루투스, 와이파이, GPS 등을 사용하지 않는다면 꺼두는 것이 좋습니다.마지막으로 배터리 자체의 성능이 저하된 경우 빠르게 소모될 수 있습니다. 휴대폰에서 배터리 성능 정보를 확인하여 80% 이하로 나온다면 배터리를 교체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1234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