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잇몸이 자주 부어요. 어떻게 관리하면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이성영 치과의사입니다.질문자님의 정확한 구강상태를 보지 않고 설명만으로는 정확한 진단이 어려운 점 말씀드립니다.다만 잇몸이 붓고 피가 나는 경우에는 잇몸질환이나 치주질환의 가능성이 있습니다.잇몸염증이 반복적으로 일어남에도 특별한 치료없이 방치되는 경우에는 점차 치아 주변의 뼈(치조골)의 흡수까지 일어나는 치주염으로 진행됩니다.치주염이 중등도 이상으로 진행되게 되면 치아가 흔들릴 수 있습니다.치주염이 심하게 진행되어 뼈의 큰 소실이 있는 경우에는 발치를 고려하게 됩니다.잇몸 염증정도라면 주기적인 스케일링만으로 증상이 개선되며, 치주염으로 진행된 경우에는 잇몸치료가 동반됩니다. 자주 해당 증상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잇몸질환에서 치주질환으로 진행되었을 가능성이 높으므로, 우선 치과에 내원하여 정확한 상태를 검사받고 스케일링 등의 치료를 받는 것이 권장됩니다.집에서도 철저한 구강위생관리가 필요합니다.식후마다 칫솔질을 통해 치면에 붙은 음식물 찌꺼기와 치태를 물리적으로 청소하고, 칫솔질로 청소하는 데 한계가 있는 치아와 치아 사이 면을 청소하기 위해 치실과 치간칫솔을 사용하며, 그 후 생화학적으로 구강내 세균수 조절을 위해 가글을 이용합니다.이렇게 집에서 관리를 하더라도 관리가 잘 되지 않는 부위가 있을 수 있으며 이미 치석이 생긴 경우에는 제거되지 않으므로 정기적으로(최소 6개월-1년에 1회 이상)치과에 내원하여 구강상태를 검사하고 스케일링을 통해 모든 치면을 꼼꼼히 청소하고 치석을 제거하게 됩니다.
Q. 임플란트 이식하면 수명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성영 치과의사입니다.임플란트는 반영구적인 시술이기는 하지만, 영구적인 것은 아닙니다.평균적인 수명은 10년 정도로 보고되어 있기는 하지만, 관리 정도에 따라 더 짧게 쓸수도, 훨씬 오랜 기간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임플란트 주변에도 원래의 치아와 마찬가지로 음식물 찌꺼기가 잔류할 수 있고, 세균이 증식할 수 있고, 치태가 침착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잇몸 염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잇몸 염증의 발생, 회복이 반복되면서 치아에서와 마찬가지로 치주염이 발생 하여 임플란트가 흔들릴 수 있고 이경우에는 임플란트를 뽑아야되는 경우도 발생하게 됩니다. 때문에 치아에서와 마찬가지로 양치 및 치간칫솔 등으로 구강위생관리를 철저히 하고, 주기적인 스케일링을 하며 정기적으로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때문에 멀쩡한 치아를 임의로 뽑고 임플란트 수술을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으나, 회복 가능성이 없고 치주질환 등으로 인해 주변 조직들의 파괴가 진행중인 치아라면 빠른 시간에 발치하는 것이 권장될 수 있습니다.
Q. 임플라트 수술 과정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성영 치과의사입니다.치료 비용에 관한 질문은 아하 정책상 금지되므로 생략합니다.임플란트 수술시 잇몸뼈의 이식이 필요한 경우라면 우선 잇몸뼈를 이식하는 수술을 한 후 3개월 정도 회복을 기다립니다. 뼈 이식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라면 생략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1차 수술과 동시에 뼈이식이 가능한 경우도 있습니다.임플란트 고정체(치아의 뿌리에 해당하는 부분)을 잇몸뼈에 식립하는 1차 수술을 하며, 이후 3개월 정도 회복을 기다립니다.잇몸을 절개하여 임플란트 고정체를 노출시킨 뒤, 잇몸 회복을 위한 상부장치를 체결하는 2차수술을 합니다. 경우에 따라 1차 수술시 상부 구조물을 바로 체결하여 2차 수술이 생갹되는 경우도 있습니다.2-3주 정도 회복을 기다린 후 최종보철물(크라운)을 위한 본을 뜹니다.크라운(치아 머리부분)이 제작되면 조정 후 임시로 접착하여 1-2주정도 임시사용을 합니다.그 후 불편함이 없으면 최종접착하게 됩니다.임플란트 주변에도 원래의 치아와 마찬가지로 음식물 찌꺼기가 잔류할 수 있고, 세균이 증식할 수 있고, 치태가 침착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잇몸 염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잇몸 염증의 발생, 회복이 반복되면서 치아에서와 마찬가지로 치주염이 발생 하여 임플란트가 흔들릴 수 있고 이경우에는 임플란트를 뽑아야되는 경우도 발생하게 됩니다. 때문에 치아에서와 마찬가지로 양치 및 치간칫솔 등으로 구강위생관리를 철저히 하고, 주기적인 스케일링을 하며 6개월-1년마다 정기검진을 받으셔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