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아이가 말을 잘 듣지 않을때는 어떤식으로 지도하시나요?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아이가 말을 듣지 않는다면 가장 좋은 방법은 대화적인 소통을 통해서 훈육을 하는 것입니다.하지만 훈육은 강압적이고 권위적인고 그 분위가 무겁고 무섭고 두렵고 공포적 이어서는 안됩니다.아이에게 훈육은 단호하되 아이가 이해하고 받아들일 수 있도록 부드러운 어조로 전달하는 것이 좋습니다.아이가 말을 듣지 않는다면 그 즉시 아이의 행동을 제지하고 아이를 앉히고 아이의 손을 잡고 아이의 눈을 마주치며 지금 한 행동은 옳지 않아라고 말을 전달한 후, 왜 지금 한 행동이 옳지 않았는지 이에 대한 이유를 아이의 눈높이에 맞춰 적절한 설명을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그리고. 무엇보다 아이를 훈육을 하기 전 아이의 시선으로 아이를 마음을 이해해 보고, 부모님의 감정을 충분히다스린 후, 부모님의 마음이 차분 해졌을 때 훈육을 시작하는 것이 좋습니다.부모님의 감정이 화난 상태에서 훈육을 하게 되면 그 감정이 아이에게 고스란히 전달 되어져 아이가 무섭고 두려움을 가질 수 있기 때문 입니다.
Q. 아기가 무조건 떼를 쓰고 고집을 부릴경우에는 어떻게 대처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29개월 이면 자아가 성립되기 시작하면서 자기주장도 강해지는 시기랍니다.이 시기에 아이에게 필요로 하는 것은 해야만 하는 것과 하면 안되는 것, 허용되는 것과 허용되지 않는 것,옳은 것과 옳지 않은 것에 대한 부분을 명확하게 아이에게 인지시켜 주는 것이 필요로 합니다.세 살 버릇 여든까지 간다 라는 말처럼 아이의 잘못된 행동을 마냥 예쁘다고 그대로 둔다면 아이의 행동은 습관화가 될 것입니다.그렇기에 좋지 않은 행동을 하였다면 이는 바람직한 태도가 아니라는 것을 아이에게 알려 줄 필요가 있겠습니다.아이가 떼와 고집을 부린다면 그 즉시 아이의 행동을 제지하고 아이를 앉히고 아이의 손을 잡고 아이의 눈을 마주치며단호하게 떼와 고집을 부리는 행동은 옳지 않아 라고 말을 전달한 후, 왜 이러한 행동들이 옳지 않은지 이에 대한 이유를 아이의 눈높이에 맞춰 적절한 설명을 해주는 것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