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아들들이 저를 너무 편하게 생각하네요. 엄하게 해야 할 필요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아이의 양육에 있어서편안한 아빠는 분명 필요로 합니다.그러나, 아이가 잘못된 행동을 하고, 잘못된 언어를 하는 태도를 보인다 라면 이때는 편안한 아빠 보다는 단호한 아빠의 모습을 보여주어야 합니다.즉, 놀이를 하면서 활동을 하고 대화를 할 때는 편한 친구가 되어주되. 아이의 잘못된 행동과 언어를 보이는 태도에서는단호한 아빠의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 필요로 합니다.아빠와 아이의 사이의 선을 넘지 않는 지켜야 할 선이 있다 라는 것을 알려 줄 필요가 있겠습니다.
Q. 키즈노트보고 마음이 너무 안좋아요 저희 아기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아이가 친구가 사귀고 싶지만 친구가 사귀는 방법이 아직 많이 미숙함 큰 것 같구요.또한 자신의 감정을 전달하는 방법 역시도 미숙한 것 같아요.아이에게 알려 줄 것은 자신의 감정을 전달하는 방법과 친구와 적절한 언어적 상호작용을 하는 방법을 알려주는 것입니다.더나아가 인성교육을 시켜주어 친구를 배려하고, 존중하고, 친구의 마음을 이해하고, 친구의 감정을 공감하며 사이좋게 지내야함을 알려주면서 친구를 때리거나, 밀거나, 볼을 잡아 당기는 행동은 옳지 않다 라는 것을 함께 알려주는 것도 좋을 것 같네요.
Q. 22개월 아기 요즘 자기 사진 동영상에 집착해요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아이에게 자기 전 미디어 영상 노출은 바람직한 태도는 아니겠습니다.아이가 미디어 영상을 보려고 하는 이유는 엄마가 아이 앞에서 영상을 보였고, 그 영상을 아이에게 보여주었던 행동의 습관 때문에 아이는더욱 더 미디어 영상을 왜 못보게 하는지 그리고 왜 보여주려고 하지 않으려고 하는지 엄마의 마음만 이해하지 못하고, 오히려 미디어를 못보게 하는 엄마의 행동에 대한 기분이 나쁘고, 속상함만 클 것입니다.또한 지나친 미디어 영상이 노출은 아이의 눈 시력 저하는 및 뇌.인지 발달 저하 그리고 성격변화 형성 등에안 좋은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아이가 22개월 이면 언어로 자신의 감정과 느낌을 잘 전달하지 못하는 미숙함이 있을 뿐엄마의 말귀는 다 알아먹기 때문에 단호함으로 알려주는 것이 필요로 하겠습니다.아이가 미디어 영상을 보여 달라고 하면 그 즉시 아이의 행동을 제지하고 아이를 사람들이 보이지 않는 방 안으로데리고 들어가 아이를 앉히고 아이의 손을 잡고 아이의 눈을 마주치며 단호하게 영상을 보려는 행동은 옳지 않아라고 말을 전달한 후 왜 이러한 행동이 옳지 않은지 이에 대한 이유를 아이의 눈높이에 맞춰 적절한 설명을 해주는 것이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