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마음소통 아동전문가 천지연 입니다.
마음소통 아동전문가 천지연 입니다.
천지연 전문가
어울누리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육아
자격증
놀이
2025년 5월 24일 작성 됨
Q.
예술교육 팟캐스트, 아이와 함께 듣기 괜찮을까요?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예술교육 팟캐스트를 아이 보다는 어른 위주의 교육이 많이 있을 것입니다.그렇기에 때문에아이와 예술교육의 대한 강연을 듣고자 한다면 유튜브 영상을 들어보는 것도 좋을 것 같구요.각 지역 주민센터 및 문화센터 프로그램을 참가하여 들어보고 체험을 해보는 시간을 가져보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또 미술관 및 박물관 그리고 도서관에서 개최하는 예술 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곳도 있기 때문에 각 게시판 및 홈페이지를 참고하여 참여 및 체험을 해보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양육·훈육
2025년 5월 24일 작성 됨
Q.
아이가 인사해도 안받아주는 친구들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인사를 하기로 서로 약속을 했음에도 불구하고상대 친구가 약속을 받아주지 않았다 라고 한다면 아이에게만 계속 인사를 강요 하는 것은 아이의 입장에서는 받아들이기 힘들 수 있는 여지가 큽니다.하지만 아이에게 인사를 하기로 약속을 한 만큼 약속을 지키는 행동은 멋진 자세 라는 것을 알려주고.친구가 인사를 하지 않아도 먼저 인사를 한 우리 아이의 행동은 멋진 태도 이기 때문에 충분히 칭찬 받을 행동이자멋진 사람의 자세 라는 것을 아이에게 알려주면 좋을 것 같습니다.친구와 쑥스러워서 인사를 못하는 것일 수 있기 때문에 친구가 인사를 받아들이고 인사를 할 때 까지 자연스럽게 인사를 하고. 지나가는 것이 좋겠다 라고 부드럽게 전달을 해주는 것도 좋을 것 같네요.
양육·훈육
2025년 5월 24일 작성 됨
Q.
아이가 생떼를 쓰기 시작할때 육아를 하는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아이가 생떼를 부리는 이유는 먼저 자신의 감정을 전달하는 수단으로 활용하기 때문 입니다.즉, 언어로 자신의 감정을 전달하는 것이 미흡하기 때문에 떼를 부리는 행동으로 자신의 감정을 전달함이 큰데요.하지만 자신의 감정을 언어가 아닌 행동으로 전달하는 태도는 바람직하지 않기 때문에 이는 옳지 않다 라는 것을 '아이에게 알려 줄 필요가 있겠습니다.아이가 떼를 부린다면 그 즉시 아이의 행동을 제지하고 아이를 사람들이 보이지 않는 방 안으로 데리고 들어가아이를 앉히고 아이의 손을 잡고 아이의 눈을 마주치며 단호하게 떼를 부리는 행동은 옳지 않아 라고 말을 해주고왜 떼를 부리는 행동이 옳지 않은지 이에 대한 이유를 아이의 눈높이에 맞춰 적절한 설명을 해주는 것이필요 하겠습니다.
양육·훈육
2025년 5월 24일 작성 됨
Q.
단짝친구가 주는 안정감은 어떤게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아이의 안전지대는 부모 입니다.부모 라는 울타리는 자신의 방패막으로 유일한 자신의 보호하는 공간 이기도 합니다.아이는 안전지대 라는 공간에 있으면 불안함, 무서움, 두려움을 가지지 않는데 큰 영향을 주기 때문에감정적인 심리적.정서적으로 치유가 되고, 안정감을 가지는데 큰 도움이 되어질 수 있겠습니다.단짝 친구의 안전지대 공간에서는 스트레스 해소 및 정서적 안정감을 가지는데 도움이 되어질 수 있겠습니다.
양육·훈육
2025년 5월 24일 작성 됨
Q.
5살아이 생활습관 성격 부정적인태도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아이의 성격이 부정적인 대표적인 원인은먼저 첫째, 부모님의 가치관 및 기질적인 문제로 인해서 입니다.즉, 부모님의 태도와 언행이 긍정 보다는 부정이 앞서면 아이는 모든 태도를 부모를 보고 배우기 때문에부모님의 모습을 스펀지처럼 흡수하여 부정적 성격이 드러남이 클 수 있습니다.그렇기에 부모님의 생각을 긍정적으로 변화 할 필요가 있겠습니다.둘째, 자기 마음대로 되지 않는 부분의 감정을 언어로 표현하는 것이 미숙해서 입니다.이때는 자신의 감정을 언어로 전달하는 방법을 알려주는 것이 필요로 합니다.위의 글을 읽어보면 아이가 자신의 머리를 때리는 행동은 스트레스 지수가 높아서 입니다.이때 필요로 하는 것은 아이의 감정을 들여다보고 아이의 감정을 돌봐주는 것입니다.현재 원을 옮기는 과정에서 아이의 민감도와 예민함이 커져서 새로운 원에 적응하는 스트레스로 인하여성격 변화가 일어날 가능성이 클 것 입니다.아이와 대화를 자주 나누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의 시선으로 바라보고 아이의 마음을 이해 하면서 이야기를 나누고, 아이의 감정을 충분히 공감한 후 부모님의 생각을 전달하는 것이 필요로 합니다.아이의 원 생활 적응은 담임 선생님과 상담을 자주 하는 것이 좋아요.가정과 원이 연계하여 아이의 행동을 지도하여 주고 아이의 감정 부분을 충분히 다독여 주면서 공감을 해주는 것이좋겠습니다.
371
372
373
374
37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