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순복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순복 전문가입니다.
김순복 전문가
삐아제어린이집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육아
양육·훈육
2023년 7월 27일 작성 됨
Q.
아이와 다툼이 많은데 어떻게 화해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김순복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가 더 크게 되면 부모와 자식간 골이 더 깊어질 수도 있어요. 항상 대화로 풀 수 있도록 하고무엇보다 대화 시 싸움으로 바뀌지 않도록 합니다.자녀를 동등한 사람대 사람으로 생각하고 대화 해 보세요
기타 육아상담
2023년 7월 27일 작성 됨
Q.
신생아는 언제부터 통잠을 자나요?
안녕하세요. 김순복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쌍둥이 출산을 축하드립니다.수유 습관이 들고 밤낮을 인식하면 2~3개월 후면5~6시간 통잠을 잘 겁니다.
유아교육
2023년 7월 26일 작성 됨
Q.
중학생 1학년생 발육 나아지려면?
안녕하세요. 김순복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유전적 요인도 중요하지만 요즘은 환경적 요인도 무시 못 하지요. 신체발달의 중요한 영양이 필요하고 적절한 운동도 그렇답니다.성장판을 자극할 수 있는 줄넘기, 농구 등 점프 동작과 스트레칭 운동과 정말 먹는거 중요합니다. 단백질을 포함 고른 영양소 섭취를 할 수 있도록 해 주세요
기타 육아상담
2023년 7월 26일 작성 됨
Q.
남자 아이 변성기는 몇살에 시작할까요?
안녕하세요. 김순복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들 마다 발달의 정도는 다 다릅니다. 신체적 두드러지는 변화보다 변성기가 먼저 오기도 합니다.대부분 12살 이후로 변성기가 옵니다. 늦거나 빠른 개인차는 있답니다
양육·훈육
2023년 7월 26일 작성 됨
Q.
18개월 남아 자꾸 물어서 아프네요
안녕하세요. 김순복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무는것이 습관이 될 수 있습니다. 물론 내 가족도 안 되지만 기관에서나 밖에서 다른 사람을 무는 행동을 한다면 큰일이겠죠? 지금부터라도 무는 버릇은 잡아 주셔야 합니다.어떤상황이나 상태일때 무는지 관찰하고사전에 우선 차단해주면 좋을 것 같아요.아이와 대화가 잘 된다면 타일러 왜 물면 안 되는지 설명하고같은 행동을 보였을 시 단호하게 이야기 해주세요.
양육·훈육
2023년 7월 26일 작성 됨
Q.
아기에게 훈육을 해야하는 나이는 몇살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순복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훈육이라기 보단 해선 되는 행동과 안되는것을확실히 구분하여 이야기 해야 합니다.일관된 양육은 아이에게 안정감을 줍니다.돌만 지나도 아이는 눈치가 생깁니다.위험하거나 다칠우려, 남을 때리는 행동은 꼭 이야기하고단호한 모습을 보여주어야 합니다.화내고 혼을 내고 물리적 모습을 보이는것만이 훈육이 아닙니다.
유아교육
2023년 7월 26일 작성 됨
Q.
초등학교 입학전 필수 교육은 뭐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순복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학습적은것은 초등 교과 과정에 다 있기에 걱정 안하셔도 됩니다. 학습보다 더 중요한것이 있습니다.자기 물건 챙기기시간 보기 (돌봄교실이나 방과 후 가기)화장실 뒷처리규칙 지키기혼자 등하교 하는법 익히기 등..기본생활습관 형성이 제일 중요 합니다.
양육·훈육
2023년 7월 26일 작성 됨
Q.
태어난지 몇개월이 지나면 숟가락질이 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김순복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어른처럼 디테일한 숟가락질은 아직 어렵지만돌 지난 영이들도 어른의 도움을 조금만 주어도스스로 숟가락을 사용할 수 있답니다.먹는것 보단 흘리는게 더 많겠지만 꾸준한 지도를 하다보면 스스로 먹으려는 모습을 보일 겁니다.흘린다고 떠먹여주기만 하면 나이가 들어도 혼자 먹기 힘들어합니다.
놀이
2023년 7월 26일 작성 됨
Q.
바깥활동은 날이 더워서 부담스러운데요,
안녕하세요. 김순복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더운날 바깥놀이는 부담스럽지요. 그렇다고 키카만가기엔 금액도 부담되고요.더운날 물놀이는 어떠세요?베란다가 있다면 욕조튜브를 이용한 물놀이 한다면 시원하고 즐거운 날을 보낼 수 있을겁니다.베란다워터파크가 힘들다면 욕실에서 물놀이와 함께 물감놀이도 추천합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3년 7월 26일 작성 됨
Q.
저희 아이들이 밥은 안 먹고 자꾸 라면만 먹을려고 해요
안녕하세요. 김순복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와 규칙을 정해 라면 먹는 날을 정하는건 어떤지요?라면의 짜고 자극적인 맛에 길들여져 다른 음식은 맛이 없게 느낄 수 있딥니다. 좋아한다고 무조건 먹일 순 없고 안주면 편의점 가서 사서라도 먹고 오는 요즘 입니다.집에서 끓일때 스프의 양을 조절하고 야채를 첨가해 조금이라도 건강식 라면을 제공하는건 어떨까요?
11
12
13
14
1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