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권용욱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권용욱 전문가입니다.
권용욱 전문가
현대자동차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경제
경제동향
2024년 6월 23일 작성 됨
Q.
28일발표되는 pce지수 문의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전문가입니다.일단 CPI가 안정적으로 나왔기떄문에 구성종목 비중이 약간 다른 PCE 경우도 상회 할 가능성은 낮습니다. 다만 이미 CPI를 통해 주가는 선반영 되었기에 PCE가 좋게 나온다고 주식시장에 큰 호재는 아닐거로 보여집니다.
경제정책
2024년 6월 23일 작성 됨
Q.
우리나라의 상속세는 정말 심각한 수준으로 높나요?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전문가입니다.네 상속세가 OECD 국가중에서도 압도적으로 높습니다. 물론 일본도 높긴 하지만, 상속세가 높은편에 속합니다. 상속세가 높으면 오너 경영체제가 많은 한국의 대기업의 경우 주가가 높아지면 손해입니다. 그래서 주가 부양에 신경을 안쓰는 겁니다.
대출
2024년 6월 23일 작성 됨
Q.
대출을 받으려면 회사에 다니고 있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전문가입니다.네 신용대출의 경우 그렇습니다. 신용이 없는 상태면 신용대출을 받을수 없다고 보여집니다. 반면 주택담보대출은 현재 재직과 상관없이 대출이 가능합니다.
대출
2024년 6월 23일 작성 됨
Q.
중도상환수수료는 왜 내야 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전문가입니다.대출 초기 실행시에 이미 해당 중도 상환시에 수수료 발생은 계약 사항에 있던 내용으로 예상됩니다. 간혹 중도상환 수수료 없는 상품도 있습니다. 만약 계약상에 있었으면 중도상환 수수료는 발생합니다. 은행 입장에서는 10년 만기일 경우 3년만에 갚는다면 그만큼 손해입니다. 그래서 수수료가 발생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주식·가상화폐
2024년 6월 22일 작성 됨
Q.
한국 주식보다 미국주식이 나을까요?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전문가입니다.네 객관적을 봐서도 한국보다는 미국 주식이 백배 낫습니다. 한국은 올해 주식 시장 상승율이 5%도 안됩니다. 미국이나 다른 선진국들은 이미 역대 최고가 수준에 있습니다. 한국시장의 저평가는 하루이틀이 아니고, 수십년쨰 지속된 시장입니다. 그동안 저평가 받았으니 더 가겠지라는 오류에 빠지지 않으시길 바랍니다. 저평가 시장은 다 이유가 있습니다.
주식·가상화폐
2024년 6월 22일 작성 됨
Q.
배당금이 많은 안정적인 주식은 뭐가있나요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전문가입니다.금융회사나 증권회사가 가장 많이 줍니다. 조회할려면 증권가 어플에서 배당 순위 보시면 됩니다. 다만, 배당금이 많이 준다고 해서 안정적인 주식은 아닙니다. 주가가 떨어지면 일시적으로 배당율이 높은 착시효과가 발생합니다. 원금은 떨어지고 배당금은 많이 받으면 아무런 의미가 없기 떄문입니다.
경제정책
2024년 6월 22일 작성 됨
Q.
3만원권이나 10만원권은 안나올까요?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전문가입니다.인플레이션으로 인해 화폐 가치가 급속도로 떨어져서 말씀하신 고액권이 필요하다고 판단됩니다. 하지만, 지금은 현금 사용이 급격하게 낮아지는 추세입니다. 현금을 새로 만들려면 많은 세금이 추가로 필요합니다. 세계 정부에서는 현금보다 현금 없는 사회를 만드는 추세이므로 굳이 많은 세금으로 신권을 발행하는게 필요성 여부는 판단이 필요합니다.
경제동향
2024년 6월 22일 작성 됨
Q.
우리나라는 세계 몇위 경제대국인가요?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전문가입니다.아니요 5위 안은 아닙니다. 10위 권으로 보시면 될듯합니다. 무역으로 보면 8~10위 정도의 국가이고, 아직 선진국이라고 하기엔 다른 부분이 부족합니다. 여기서 부족한 부분은 금융 투명성이나 MSCI 선진국 지수에 편입도 안된 상태고, 아직 선진국이라고 하기엔 부족한 수준입니다.
주식·가상화폐
2024년 6월 22일 작성 됨
Q.
반도체 사이클이 있다고 하는데 그것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전문가입니다.수요 공급의 사이클에 의해 결정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갑자기 산업의 발전으로 수요가 많아지면 가격이 급등하게 되고 돈을 많이번 반도체 기업들이 증설을 하게 됩니다. 증설을 하게 되면 공급 과잉으로 가격이 급락하게 되고, 반도체 불황기가 오게 됩니다. 이는 수십년 동안 반복된 사이클입니다.
자산관리
2024년 6월 22일 작성 됨
Q.
프로야구 구단중에 자금있는 국내기업 추천요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전문가입니다.현금을 가장 많이 보유한 기업은 삼성입니다. 이미 야구 구단을 가지고 있으니, 없는 기업을 대상으로 보면 현대차나 금융이나 증권회사 등이 있을듯 합니다. 하지만 야구 구단 인수는 흑자 내기 힘든 분야이니 아마 적극적으로 추진하는 기업은 없을듯 합니다.
46
47
48
49
5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