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의학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의학 전문가입니다.
노성윤 전문가
가나요양병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의료상담
이비인후과
2022년 12월 12일 작성 됨
Q.
코로나19 무증상 확진자에 관련한 질문
무증상 확진자도 얼마든지 전파가 가능합니다.그렇기 때문에 무증상 확진자가 무섭고 코로나 확산에 큰 원인이 되었으며,코로나 초기에는 동선을 추적하여 밀접접촉자를 찾아내서 검사를 받게 한 이유입니다. 증상이 없더라도 검사상에서는 잠복기가 지났다면 양성으로 나오게 되므로 밀접접촉자이거나 감염 가능성이 높은 경우에는 증상이 없더라도 PCR이나 신속항원검사등을 통해 확인하도록 권고하고 있습니다.
내과
2022년 12월 12일 작성 됨
Q.
음압병동과 관련하여 질문드립니다.
주변에 비해서 압력이 낮은 경우를 마이너스로 보고 즉 음압이라고 봅니다.음압병동이란 병동 밖 보다 병동 안의 압력이 낮기 때문에 공기 등 흐름이 압력이 높은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게 설계된 병동입니다. 즉 바이러스등 미세입자등이 병동안에 갇히게 되고 외부는 안전할 수 있도록 설계된 병동입니다.
이비인후과
2022년 12월 12일 작성 됨
Q.
코로나 감염이후 콧물이 자꾸만 나오는데 왜 이런건가요?
코로나 19 후유증으로는 다양한 증상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또한 격리를 한다고 해서 완치가 되는 것은 아닙니다. 타인에게 전파 가능성이 7일이후에 급격히 감소하기 때문에 7일간 격리를 하는 것으로7일이 지난다고 완치가 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격리 해제를 하더라도 여전히 코로나에 감염되어 있고 증상도 심각할 수 있습니다.일단 콧물만 증상이 있으시다면 콧물약등으로 증상 조절을 하시다가 증상이 너무 오래 유지되거나 악화된다면 병원 진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기타 의료상담
2022년 12월 12일 작성 됨
Q.
지금 코로나로 일주일간 격리인데 격리후에도 계속아프면?
격리 연장은 불가능합니다. 격리는 아파서 하는 것이 아니라 타인에게 전파를 시킬까봐 시행하고 있습니다.7일간의 격리가 끝나면 증상의 정도와 상관없이 타인에게 전파될 가능성이 급격히 감소하므로 격리 기간은 7일로 정책상 결정되었습니다. 증상이 심하다고 하더라도 전파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격리 연장은 어렵습니다.
기타 의료상담
2022년 12월 12일 작성 됨
Q.
코로나 19에 완치되고 언제 재감염될 수 있을까요?
코로나에 걸렸다가 완치되었더라도 기간에 관계 없이 재감염 될 수 있습니다. 변이바이러스등 변수가 많아 반드시 재감염 되지 않는 기간이 따로 정해져 있는 것은 아니나 통상적으로 3~4개월 이내에는 재감염 가능성이 극히 낮다고 보고 있습니다.
421
422
423
424
42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