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고금리와 고물가 상황에 미국과 한국경제 차이는 무엇일까요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미국은 인플레이션 억제와 재정건정성 확보를 위해 고금리 정책을 유지하며 긴축적 통화/재정정책을 지속하고 있스빈다. 소비와 투자 둔화, 성장률 하락, 고용지표 악화 등 경기 둔화 신호가 서서히 나타나고 있습니다. 연준은 물가와 고용 사이에서 신중한 금리 조정에 나서고 있습니다. 한국은 성장 둔화와 내수 부진에 대응해 기준 금리를 인하하며 경기 부양과 물가 안정의 균형을 중시하고 있습니다. 수출 부진과 고령화, 투자 위축 등 구조적 어려움이 지속되고, 정부는 재정지출 확대 등 완화적 정책을 병행하고 있습니다.
Q. 최근 경제지표를 통해 파악할 수 있는 경제 트렌드는 어떤 게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한국 경제는 최근 성장세가 크게 둔화되고 있습니다. 2025년 경제성장률은 0.7%~1.6%로 전망되며, 내수와 수출 모두 부진한 흐름을 보이고 있습니다. 건설투자와 소비가 약세를 이어가고, 수출도 글로벌 통상환경 악화로 증가폭이 제한적 입니다. 물가상승률은 2% 내외로 안정적이지만, 고용 증가세도 둔화되고 있어 경기 회복 모멘텀이 약한 상황입니다. 전반적으로 저성장과 내수 부진, 완만한 물가 흐름이 당분간 지속될 전망입니다.
Q. 일본 경제는 왜 30년 동안 디플레이션을 겪었나요?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일본의 장기 디플레이션은 자산 버블 붕괴 이후 부실 채권, 인구 고령화, 임금 정체, 구조조정 지연, 디플레이션 기대심리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입니다. 단순한 물가 하락이 아니라, 경제 구조 전반의 문제와 심리적 요인이 맞물려 장기화된 현상입니다.
Q. ETF에는 세금이 어떤게 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국내 주식형 ETF는 매매차익 비과세, 분배금에만 15.4% 배당소득세를 부과합니다. 국내 상장 해외 ETF는 매매차익에 대해서 보유기간 과세로, 실제 매매차익과 과표기준가 증분 중 작은 금액에 15.4%의 과세를 하며, 분배금은 15.4%의 배당소득세를 과세합니다.해외 상장 ETF의 경우에는 기본 공제인 연 250만원을 초과하는 수익이 발생하면 초과분에 대해서 22%의 양도소득세를 과세하며, 분배금에 대해서는 15.4%의 배당소득세가 발생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