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저는 김민준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김민준 전문가입니다.
김민준 전문가
도레이첨단소재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8일 전 작성 됨
Q.
미국 s&p500이 정확히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미국 S&P500은 미국 증시에서 시가총액이 큰 500개 대표 상장기업의 주가를 종합해 산출하는 주가지수로, 미국 경제의 주식시장 전체를 대표하는 가장 중요한 지표 중 하나 입니다. 시가총액에 따라 비중이 달라지며, IT•금융•헬스케어 등 다양한 업종을 폭넓게 반영해 미국 주식시장의 흐름을 한눈에 보여줍니다.
8일 전 작성 됨
Q.
이재명정부가 배당소득 분리과세'를 도입한다는데요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이재명 정부가 추진 중인 배당소득 분리과세는 배당소득 3억원 초과분에 대해 지방세 포함 최고 38.5%(국세 27.5%+지방세 11%) 안이 유력하게 논의되고 있습니다. 다만 이 제도는 국내 상장기업 중 배당성향이 35% 이상인 경우 등에 한정해서 적용될 예정이라 모든 배당이나 모든 기업•ETF에 다 적용되는 것은 아닙니다. 즉, 국내 상장사 중 특정 요건을 충족하는 기업의 배당에만 해당됩니다.
8일 전 작성 됨
Q.
왜일본은 기축통화국인데 우리나라는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일본이 기축통화국인 이유는 세계 3위의 경제 규모, 안정적이고 신뢰받는 금융 시스템, 높은 무역•금융 개방성, 풍부한 외환보유액 등 글로벌 신뢰와 사용처가 넒기 때문입니다. 반면 한국은 경제 규모가 일본보다 막고, 원화의 글로벌 거래 비중과 금융시장 개방도, 국제적 신뢰도 등이 상대적으로 제한적이어서 아직 기축통화로 선택받기 어렵습니다. 기축통화가 되려면 정치•경제적 안정성과 국제 무역•금융에서의 영향력이 모두 필요합니다.
8일 전 작성 됨
Q.
일본은 어떻게 하다 부자국가가 되었나요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일본은 자원이 거의 없지만, 기술 혁신과 정부 주도의 산업화 정책을 통해 제조업, 자동차, 전자 등 고부가가치 산업을 집중적으로 발전시켰습니다. 우수한 인적자원, 교육, 품질 중심 기업문화, 첨단기술 개발, 효율적 생산시스템 등으로 자원 한계를 극복했고, 세계 수출 시장에서 경쟁력을 키워 부자가 될 수 있었습니다.
8일 전 작성 됨
Q.
사실 국가 전체gdp보다 1인당 gdp가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국가 전체 GDP는 경제 규모를, 1인당 GDP는 국민 개개인의 펑균 소득 수준괴 생활 수준을 보여줍니다. 선진국 여부나 국민의 삶의 질을 가늠할 때는 1인당 GDP가 더 중요한 평가 지표로 쓰입니다. 인구가 많아도 1인당 GDP가 낮으면 실제 생활이 여유롭지 않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51
52
53
54
5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