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한국 증시는 코스닥, 코스피라고 하고 미국증시는 나스닥이라고 하는데요.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우선 중국 주식시장에 대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중국의 중심 도시인 상하이와 심천에 상장된 중국 주식 시장은 세계에서 가장 크고 중요한 시장 중 하나 입니다. 중국은 A 주식 시장과 B 주식 시장으로 구분됩니다.상하이 증권거래소는 중국 내 가장 큰 주식 거래소로 알려져 있습니다. 상장 기업의 대부분은 상하이 증권거래소에 상장되어 있으며, 중국 주식 시장의 대표적인 지수인 상하이 종합지수 (Shanghai Composite Index, SHCOMP)가 이 거래소에서 추적됩니다.그리고 심천 증권거래소는 중국 내 두 번째로 큰 주식 거래소입니다. 주로 중소기업 및 기술기업들이 상장되어 있으며, 심천 종합지수 (Shenzhen Component Index, SZCI)가 이 거래소의 대표적인 지수입니다.다음은 일본 주식시장입니다. 일본은 아시아에서 가장 큰 경제 국가 중 하나이며, 도쿄에 위치한 도쿄증권거래소가 주요한 주식 시장으로 알려져 있습니다.도쿄증권거래소는 일본 내 가장 큰 주식 거래소입니다. 상장 기업의 대부분이 이 거래소에 상장되어 있으며, 일본 주식 시장을 대표하는 지수로는 닛케이 지수 (Nikkei Stock Average)와 토피엑스 지수 (TOPIX)가 있습니다.
Q. cbdc가 무엇인지에 대해서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CBDC는 "Central Bank Digital Currency"의 약어입니다. 이는 중앙 은행이 발행하는 디지털 통화를 가리킵니다. CBDC는 전통적인 현금과 같은 중앙 은행의 디지털 버전으로, 일부 국가에서는 현금의 대체물로 고려되고 있습니다. CBDC는 중앙 은행이 직접 발행하고 관리하는 디지털 형태의 통화이며, 기존의 중앙화된 금융 시스템과 분산 원장 기술을 결합할 수도 있습니다. CBDC의 목표는 결제 시스템의 효율성, 금융 포용성, 은행 시스템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것입니다. 다양한 국가들이 CBDC에 대한 연구 및 실험을 진행하고 있으며, 암호화폐와는 약간 다른 개념입니다.
Q. 재무재표상 기업의 유보금이 엄청 많은데도 부채가 있는것은 왜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기업이 유보금을 많이 가지고 있을 때에도 부채가 많을 수 있는 이유는 다양합니다.1) 투자 및 확장: 기업은 성장이나 투자를 위해 자금을 필요로 할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 외부로부터 자금을 조달하기 위한 부채를 발생시킬 수 있습니다. 유보금은 운영에 활용될 수 있지만, 큰 규모의 투자 또는 확장을 위해서는 외부 자금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2) 새로운 사업 개발: 새로운 사업 개발이나 인수합병을 위해 자금이 필요한 경우 부채를 발생시킬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기업은 경쟁력을 강화하거나 시장 점유율을 확대할 수 있습니다.3) 운영 자금 필요성: 기업은 운영에 필요한 자금을 확보하기 위해 부채를 발생시킬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원자재 구매, 임금 지불, 고정 비용 등을 충족하기 위해 자금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4) 세제 혜택: 기업은 부채를 이용하여 이자 지출을 세제로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세금 부담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이점을 활용하기 위해 부채를 발생시키는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따라서, 기업이 유보금을 많이 보유하고 있더라도 투자, 성장, 운영 자금 조달 등을 위해 부채를 발생시킬 수 있습니다. 이는 기업이 재무 전략을 고려하여 자금 조달과 유보금 관리를 조율해야 함을 의미합니다.
Q. 기준금리가 하는 역할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기준금리는 중앙 은행이 정하는 기본 금리로, 경제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역할을 합니다. 주로 중앙 은행이 통화정책을 조절하고 경제 안정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합니다.기준금리는 중앙 은행이 시장에서 자금을 대출하거나 저축할 때 적용되는 금리입니다. 이는 다른 금융 기관들에게 영향을 미치며, 이들은 기준금리를 참고하여 자체 금리를 결정합니다. 따라서 기준금리는 전반적인 금융 시장의 이자율 수준을 영향을 주는 요소입니다.중앙 은행은 기준금리를 조절하여 경제의 흐름을 조절하려는 목적을 가집니다. 경기 부양이 필요한 경우에는 기준금리를 낮추어 대출을 촉진하고 소비와 투자를 촉진할 수 있습니다. 이는 경기 회복과 경제 성장을 도모할 수 있습니다.반대로, 경제가 과열되어 인플레이션 등의 위험이 증가하는 경우에는 중앙 은행이 기준금리를 인상하여 대출을 어렵게 만들고 소비와 투자를 저하시킴으로써 경기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이는 경기 안정화와 물가 상승률 조절을 목표로 합니다.기준금리의 변동은 금융시장과 경제 전반에 영향을 미치며, 경기 예측, 통화정책 및 금융정책의 실행 등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따라서 경제 관련 당사자들은 기준금리 변동에 주의를 기울이고, 이를 기반으로 자금 조달, 투자, 소비 등의 결정을 내리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