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7월 제조업 PMI가 48.0으로 여섯 달 연속 50 이하를 기록했습니다. 제조업을 어떻게 살려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7월 제조업 PMI가 48.0으로 6개월째 50 이하를 기럭하며 침체가 계속되는 상황에서는, R&D•스마트공장 등 혁신 투자를 통한 기술경쟁력 제고, 고부가가치 산업 전환, 신흥국•친환경 등 새로운 시장 개척, 내수 확대, 정부의 수출 지원 정책 및 규제 완화, 맞춤형 금융 지원이 제조업 활성화의 핵심 해법입니다. 기업도 납품 단가 현실화, 협력사 지원 등으로 생산성 제고에 앞장서야 합니다.
Q. XRP기반 밈코인이 있나요? 어디서 거래가능할까요?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대표적인 XRP 기반 밈코인으로는 ATM XRP, BEAR, ARMY 등이 있습니다. 거래는 XRP 기반 탈중앙화 거애소인 Magnetic, First Ledger 등에서 가능합니다. 바이낸스나, 업비트 등 유명 중앙화 거래소에는 상장되어 있지 않습니다. 변동성이 크고 보안 및 유동성 위험이 높으니 주의가 필요합니다.
Q. 테슬라가 자율주행의 핵심 칩과 2차전지에 대해서 국내 기업을 대놓고 밀어주는 이유가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테슬라가 삼성전자와 LG에너지솔루션을 선택한 이유는 미국의 대중 고율 관세와 미중 무역 갈등 때문에 TSMC•CATL 같은 중국•대만 기업과의 협력이 리스크로 부상했고, 북미 공급망 안정화와 비용 절감이 요구됐기 때문입니다. 삼성전자는 고성능 AI 반도체의 첨단 공정 기술력과 미국 현지 생산 능력, LG엔솔은 미국내 배터리 공장과 ESS 시장 확대 대응력, 안정적 납품 역량을 인정받았습니다. 이에 따라 테슬라는 북미•글로벌 전략상 현지 생산이 가능하고, 기술 경쟁력고 갖춘 한국 기업을 선택해 공급망 리스크와 관세 부담을 최소화하려는 전략적 결정을 내린 것 입니다.
Q. 한화가 운영중인 파이브가이즈를 왜 매각하려고 하나요?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한화가 파이브가이즈을 매각하려는 이유는 흑자 전환에도 불구하고 높은 로열티와 고정비 부담, 수제버거 시장 침체, 외식업계 경쟁 심화 등이 지속되어 효율적 자원 배분과 주력 사업 집중, 리스크 최소화를 위한 전략적 판단 때문입니다. 본업 경쟁력 강화와 투자 재원 확보가 목적이며, 수익성 악화 때문이 아니라 비즈니스 구조 개편을 위한 선택입니다.
Q. 미국증시에서 고용지표가 예상밖으로 잘나오지 않아서 나스닥이 2.2프로 하락했는데요 그리고 또 중요한 지표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미국 증시에서 고용지표 외에도 중요한 경제 지표로는 소비자물가지수(CPI), 생산자물가지수(PPI), 국내총생산(GDP), 소매판매, ISM 제조업•서비스업 지수, 개인소비지출(PCE) 등이 있습니다. 이들 지표는 인플레이션, 경기 성장, 소비 동향, 기업 활동 등 미국 경제 전반의 흐름을 보여주며, 실적 시즌마다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Q. 금융투자회사의 프론트 미들 백오피스는 각각 어떤 부서들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금융회사 프론트오피스는 영업, 트레이딩, PB 등 고객 접점에서 수익 창출을 담당하고, 미들오피스는 리스크 관리, 성과평가, 준법감시로 프론트의 위험과 성과를 관리•지원합니다. 백오피스는 회계, 결제, 인사, IT 등 내부 운영지원과 사후관리를 맡아, 각각 수익•통제•운영 세 축의 역할을 하며, 조직에는 영업, 리스크관리, 컴플라이언스, 회계, 오퍼레이션 부서 등이 포함됩니다.
Q. 코인, 주식 떡상하면 익절하는게 유리한가요, 더 들고가는게 유리한가요?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코인•주식이 급등했을 때 들고가면 추가 상승 가능성을 누릴 수 있지만, 시장 변동성이 커 손실 전환 위험도 큽니다. 이익 실현을 통해서 수익을 안전하게 확보 할 수 있으나 이후 상승장에서 기회를 놓칠 수 있습니다. 목표 수익률과 투자 목적, 전체 시장의 상황을 고려해 일부는 익절 후 보유하는 등 분산 전략을 쓰는 것이 리스크 관리와 수익 극대화에 모두 유리한 방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