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안녕하세요.
강대선 전문가
현대중공업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화학
2023년 2월 14일 작성 됨
Q.
밤낮은 왜 생기는 건가요? 이유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낮과 밤이 생기는 까닭이 지구가 공전을 하기 때문 입니다 공전이란 지구가 태양을 중심으로두고 도는데 그냥 도는게 아니라 가운데 태양을 두고 팽이처럼 돌면서 태양 주위를 도는 것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낮과 밤이 생기는 까닭은 공전을 하기때문이라고 설명을 드렸는데 우리 한국이 태양을 보고 있을때 반대 편 미국은 달을 마주 보게 되죠 그레서 우리가 달을 향하고 있을때 미국은 태양을 향하게 되고 있는겁니다 그렇기 때문에 하루에 지구가 팽이처럼 1바퀴를 도는데 이런 까닭에 하루에 반 반 씩 태양이 뜨는 낮이 생기고 달이 뜨는 밤이 생기는 것입니다.추가로 밤낮이 바뀌지 않으면 밤에 나오는 호르몬이 자는 수면시간과 맞게 일주기가 있습니다.낮에 비타민 D 합성으로 만들어지는데 밤낮이 바뀌면 비타민 D 합성에도 문제가 생기고 결국 호르몬 체계가 무너지게 됩니다. 이는 전반적인 몸의 균형을 망가트리고 정상적인 작용을 망가트려요.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 추천 부탁드려요~ 행복한 하루 되세요~ ^^
화학
2023년 2월 14일 작성 됨
Q.
물이 얼음이되면 부피가 커지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물질이 고체에서 액체가 되면 분자끼리 약간의 사이가 벌려지고, 약간 불규칙적으로 된답니다. 그런데 물은 액체상태, 즉 분자끼리 약간 벌려진 상태 입니다. 하지만 그 때 고체가 되면 분자는 다시 제자리로 가려고 하지않고 별려진 상태에서 붙게 됩니다. 즉 원래 물질은 액체에서 고체가 될때 질서있게 빽빽하게 분자들이 형성되어 돌아오는데요. 물은 여기서 고체가 될때 분자들 사이가 사이가 벌어진 상태에서 굳어진다는 것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 추천 부탁드려요~ 행복한 하루 되세요~ ^^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2월 14일 작성 됨
Q.
이슬이 맺히는 원리는 어떠한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우리가 숨쉬는 공기중에는 물이 기체형태의 수증기로 들어 있습니다. 공기 중에 들어갈 수 있는 수증기의 양은 온도에 따라서 틀려지게 됩니다. 온도가 높은 공기 중에는 많은 양의 수증기가 있고, 온도가 낮아지면 공기 중으로 들어갈 수 있는 수증기의 양이 적어지는 것이지요.그런데 물은 우리 눈에 잘 보이고, 수증기는 눈에 보이지 않기 때문에 우리가 느끼지 못 하지요. 만약에 수증기를 많이 가지고 있는 공기가 온도가 낮아진다면 어떻게 될까요?낮은 온도의 공기는 많은 양의 수증기를 가지지 못하므로 다시 물로 만들어야 합니다. 이렇게 생기는 것이 비나 이슬이지요.다시 설명하면 낮에 더운 공기 중에 들어 있던 수증기가, 밤에 온도가 낮아지면서 일부가 물방울(이슬)이 되는 것이지요. 이것이 이슬입니다.아침에 생긴 이슬은 해가 뜨고 기온이 올라가면 다시 수증기가 되어 공기 중으로 들어가게 되지요. 이슬은 기온차에 의해서 생기는 것이지만 공기중에 포함할 수 있는 수증기량의 차이에 의해서 맺히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겠죠.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 추천 부탁드려요~ 행복한 하루 되세요~ ^^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2월 14일 작성 됨
Q.
높은 곳에서 귀가 먹먹해지는 현상은 뭔가요?
안녕하세요. 높은 곳으로 갈 수록 귀가 먹먹해지는 이유는 귀의 안쪽의 기압은 처음에 1기압이었는데, 바깥 쪽이 1기압보다 낮아지므로, 고막이 귀 바깥으로 불룩해집니다. 한마디로 기압차이에 의해 먹먹해 진다고 생각하시면 될것 같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 추천 부탁드려요~ 행복한 하루 되세요~ ^^
역사
2023년 2월 14일 작성 됨
Q.
엠바고 유래가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엠바고의 기원은 '압류'를 의미하는 스페인어 엠바고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아마 영화나 드라마에서 종종 들어보았을 용어일 텐데요 엠바고의 의미는 "보도를 일정 기간까지 미루는 것"을 의미합니다. 한마디로 보도 유예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엠바고는 주로 공공의 이익을 위해 미리 발표될 경우 발생할 혼란을 방지하거나 군사 및 경찰 작전에서 계획 성공을 위한 목적으로 주로 활용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 추천 부탁드려요~ 행복한 하루 되세요~ ^^
미술
2023년 2월 14일 작성 됨
Q.
해운대 지명 최치원선생이 지었다는데 맞나요?
안녕하세요. "해운대(海雲臺)"라는 이름은 신라 말의 석학 고운 최치원 선생의 자(字) '해운(海雲)'에서 따온 것입니다. 고운 선생이 벼슬을 버리고 가야산으로 가던 중 해운대에 들렀다가 달맞이 일대의 절경에 심취되어 떠나지 못하고 머무르며 동백섬 남쪽 암벽에 해운대라는 세 글자를 음각함으로써 이곳의 지명이 되었다고 전해오고 있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 추천 부탁드려요~ 행복한 하루 되세요~ ^^
역사
2023년 2월 14일 작성 됨
Q.
중국 최초의 국가는 어느 나라인가요?
안녕하세요. 중국 최초의 국가는 하나라 라고 생각됩니다. 다만 역사적 유물이 나오지 아니하여 설화상의 국가일뿐 은나라도 유물이 나오기전에는 주나라가 최초의 국가일정도입니다. 한국도 마찬가지 고조전을 최초의 국가라고 하지만 고조전의 유물이 이를 바탕으로 하기에는 미흡하므로실지로는 삼국시대부터 라고도 우길 수도 있을 듯하네요.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 추천 부탁드려요~ 행복한 하루 되세요~ ^^
역사
2023년 2월 14일 작성 됨
Q.
고구려가 실시한 진대법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진대법은 194년 고구려에서 국상 을파소가 실시한 구휼 제도를 이야기합니다. 흉년기나, 춘궁기에 국가가 가난한 백성들에게 양곡을 대여해 주고 수확기인 10월 즈음에 갚게 한(춘대추납) 제도로, 당시로서는 매우 획기적이었습니다. 고구려 뿐만 아니라 고려의 의창, 조선의 의창, 환곡, 사창 등이 이와 비슷한 제도라고 할 수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 추천 부탁드려요~ 행복한 하루 되세요~ ^^
역사
2023년 2월 14일 작성 됨
Q.
북극과 남극의 차이점은 뭔가요?
안녕하세요. 아래와 같이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공통점- 양극 모두 지구상 축을 이루고 있다는 점- 매우매우 춥습니다.- 모두 얼음으로 뒤덮혀 있습니다.- 오로라가 나타납니다.- 겨울에 태양이 안보이는 날이 최소 하루이상은 있습니다.- 밤에 어두워지지 않는 백야가 나타납니다.차이점- 북극은 바다인데요, 남극은 대륙위에 눈, 얼음덩어리들이엄청나게 싸여 있는 겁니다.(최대 4km높이 쯤)- 위치:북극권은 북위 66도 33분선, 남극권은 남위 66도 33분선입니다.- 온도는 남극이 좀더 춥습니다.(남극은 대륙성기후, 북극은 해양성기후)추가 참고 사항남극과 북극의 차이는 엄청 납니다.북극은 바다위에 얼름이 떠 있는 형태고 남극은 남극대륙인 육지 위에 얼음이 있습니다.그래서 북극은 다 녹아도 해수 높이에 관계가 거의 없지만 남극이 모두 녹으면바다 수심이 2m 이상 높아 질수 있죠..그리고 원자력 잠수함은 북극 얼음 밑으로 지나갈수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 추천 부탁드려요~ 행복한 하루 되세요~ ^^
역사
2023년 2월 13일 작성 됨
Q.
의자왕은 진짜 3천궁녀를 거느렸을까요?
안녕하세요. 반도부여(백제)의 마지막 어라하인 의자어라하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단어가 그가 거느렸던 삼천 궁녀(三千宮女)입니다. 이들은 백제가 멸망하던 날 낙화암에 몸을 던졌습니다. 의자어라하는 나라를 망하게 했고 우유부단하고 음행(淫行)을 일삼은 군주로 유명합니다.그러나 실제 모습은 좀 다르다고 합니다. 삼천궁녀는 '삼국사기'의 어느 구석에도 없는 말입니다. 뿐만 아니라 관련 사서인 '일본서기(日本書紀)'나 '구당서(舊唐書)'에도 없는 말입니다. 삼천궁녀라는 말은 조선시대의 문인(文人)들이 감성적으로 사용한 문학적 수사(修辭)라는 것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 추천 부탁드려요~ 행복한 하루 되세요~ ^^
451
452
453
454
45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