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평수를 확장해서 아파트를 구입해서 살려고 하는데, 지금 대출을 받는다면 고정금리와 변동금리중 어떤 것이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고정금리는 금리가 대출을 하는 기간동안 고정이 되는 것이고, 변동금리는 금리가 대출을 하는 기간동안 변동이 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고정금리의 경우 금리가 오를 수록 유리하며, 금리가 내릴 수록 불리하며, 변동금리는 반대의 상황을 보인다고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상황을 볼때 금리의 상승이 된다 판단한다면 고정금리, 단기적인 상황이고 금리 하락을 기대한다면 이는 변동금리를 적용하시는게 보다 현명할 것으로 보입니다.
Q. 일론머스크의 화성도시 구축을 위해 미국에서 최근에 거점도시허가 및 모든 권한을 주었는데, 여기에서도 ai, 블록체인을 통한 자동화가 현실이 될까요?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가까운 미래에는 이런것들이 힘들 수 있지만, 먼 미래에는 ai, 블록체인을 통한 활성화 및 자동화도 어느정도 반영이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만약 테슬라 자체에서 이러한 기술이 힘들다면 인수 합병 등을 통해서 외부의 기업을 병합하는 방식으로도 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Q. 국가 부채는 어느 정도까지 괜찮은가요?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국가를 운영하며 부채가 없을 수 있으면 좋겠지만, 이는 현실적으로 불가능 하다고 보이며, 일정한 부채가 존재하는 것이 사실입니다. 다만 이러한 부채는 과도한 상태라면 이는 국가의 상태나 경제 전반에 문제가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것들이 gdp 대비 60% 이하라고 한다면 보편적으로 안정적인 상태라고 판단을 합니다. gdp가 90% 까지 부채에 대한 주의를 요하며, 90%를 초과한다면 이는 국가의 부채로 인한 위험수준이라고 판단합니다. 이러한 국가부채가 많아지게 된다면 국가신용등급이 하락하며, 최근의 미국의 국가신용등급은 하락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재정의 위기가 발생할 가능성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