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수입신고수리완료 되면 다음 단계까지 얼마나 걸리나요??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수입신고 수리까지 마쳤다면 서류상 절차는 사실상 끝난 상태입니다. 하지만 바로 반출이 되지 않는 건 다른 절차들이 아직 자동으로 맞물리지 않았기 때문일 수 있습니다. 반입신고까지 다 됐다면 이제는 창고 측에서 실제 물건을 찾아서 내보내는 단계로 넘어가야 하는데, 여기서 시간이 가장 많이 걸립니다. 특히 오후 늦게 신고가 끝났다면 실무상 다음 날로 넘어가는 경우도 많습니다.창고마다 반출 처리 시간대가 다르고, 일부 보세구역은 하루 한 번만 반출 처리하는 곳도 있습니다. 통상적으로는 수입신고 수리일 다음날 오전 또는 오후에 반출이 완료되는 경우가 많지만, 금요일이라면 다음 주 월요일까지도 넘어갈 수 있는 상황도 종종 생깁니다. 지금 단계에서는 해당 보세창고에 직접 연락해 반출 예정 시간을 확인하는 게 가장 빠릅니다.
Q. 국제우편물 수출입 시 통관절차가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관세 전쟁이라는 표현 자체가 경제 외교의 힘겨루기에서 나온 말이라 단순히 승패로 가를 수 있는 사안은 아닙니다. 수출 의존도가 높은 국가일수록 대응 전략이 훨씬 더 중요해지고, 우리나라도 예외는 아닙니다.이번처럼 미국이 관세 조치를 통해 일방적인 압박을 가해오는 상황에서는, 우리나라가 할 수 있는 건 첫째, 다자간 무역협정이나 WTO 제소 같은 제도적 수단 활용이고, 둘째는 중간재 공급망을 다변화하거나 특정 시장 의존도를 줄이는 식의 구조 개선입니다.그렇다고 무조건 정면 충돌하는 것도 득이 되지 않기 때문에, 상황 따라 탄력적으로 대응하면서도 국내 기업 피해가 최소화되도록 균형을 잡는 쪽이 실질적인 '이기는 전략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관세 정책은 단기적 숫자 싸움이 아니라 장기적인 수출 구조를 어떻게 만들어가느냐에 더 가까운 문제입니다.'
Q. 우리나라 같은 경우 이번 관세 전쟁에서 승리 할까요?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관세 전쟁이라는 표현은 정치적, 경제적 상징이 강해서 승패로 단순히 나누긴 어렵습니다. 특히 우리나라처럼 수출 비중이 큰 나라는 무조건적인 보복이나 대응보다도 전체 공급망 안정과 다자간 협조 체계를 우선순위로 둘 수밖에 없습니다.미국이 자국 산업 보호 명분으로 관세를 강화한다면, 우리나라는 그에 맞서서 FTA 재협상이나 WTO 제소, 수입선 다변화 등 다양한 전략을 병행할 가능성이 큽니다. 단기적으로는 일부 산업이 타격을 받을 수 있지만, 중장기적으로는 오히려 고부가가치 산업으로의 전환 기회가 될 수도 있습니다.결국 관세를 통해 시장을 지키는 방식이 아니라, 외교산업정책을 총동원해서 리스크를 흡수하고 경쟁력을 유지하는 방식이 중심이 될 것이라고 봅니다. 승리라는 개념보다는 피해를 줄이고 지속 가능한 구조를 만들어내는 쪽에 가깝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