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문화는 어떻게 형성이 되며 이어지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문화란 자연 상태의 사물에 인간의 작용을 가하여 그것을 변화시키거나 새롭게 창조해 낸 것을 의미한다. 자연 사물에는 문화라는 말이 어울리지 않지만, 인위적인 사물이나 현상이라면 어떤 것이든 문화라는 말을 붙여도 말이 되는 것은 그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야생화 문화라는 말은 성립하지 않지만 원예 문화라는 말은 성립하는데 즉 가장 넓은 의미에서 문화는 자연에 대립되는 말이라 할 수 있고, 인류가 유인원의 단계를 벗어나 인간으로 진화 하면서부터 이루어낸 모든 역사를 담고 있는 말이라 할 수 있습니다. 여기에는 정치나 경제, 법과 제도, 문학과 예술, 도덕, 종교, 풍속 등 모든 인간의 산물이 포함되며, 이는 인간이 속한 집단에 의해 공유된다고 합니다. 문화를 인간 집단의 생활 양식이라고 정의하는 인류학의 관점이 이런 문화의 본래 의미를 가장 폭넓게 담은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문화는 한 사회의 정신적, 물질적 발전 상태를 의미하는 경우도 있다. 이때의 문화는 문명(civilization)이란 개념과 혼용되기도 하는데 이는 다윈의 진화론의 패러다임을 인간 사회에 적용한 사회진화론적 관점과 관련 됩니다. 서구 문화를 아시아, 아프리카 등의 문화보다 우월하다고 생각하는 서구 제국주의의 문화관이 그런 것입니다. 18세기 후반에 이르면 문화와 문명이 구분되기 시작하여 문화는 정신적 발전 상태를, 문명은 물질적 발전 상태를 지칭하는 말로 쓰이게 됩니다. 문화와 문명을 사회진화론적 관점으로 보는 시각은 아직도 널리 퍼져 있다고 합니다. 콜럼버스가 아메리카 대륙을 ‘발견’했다고 보는 서구중심주의적 입장은 콜럼버스 이전에 이미 아메리카 대륙에 살면서 독자적인 문화를 구축하고 있던 원주민 인디언의 문화를 부정하는 관념에 입각해 있다고 합니다. 문화란 서구의 것이고, 인디언은 문화를 가지지 못한 야만적 존재로 여겨진다고 합니다.
Q. 코카콜라가 탄생하게 된 역사에 대해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886년 에 미국 조지아주 애틀랜타 의 약사인 존 펨버턴 은 코카나무 의 잎, 콜라나무 의 열매, 카페인 등을 주원료로 하는 새로운 청량 음료 를 만들어 상품화했는데, 재료에서 이름을 따 코카콜라라고 하였다고 합니다. 1939년에 제2차 세계대전이 발발하면서, 코카콜라는 미국의 동맹국들에게 음료를 공급하기 시작했습니다. 로버트 W. 우드러프는 미국 대통령 프랭클린 루스벨트에게 코카콜라를 군인들에게 제공하겠다고 약속했습니다.1940년대부터 코카콜라는 펩시와 치열한 경쟁을 벌였습니다. 펩시는 저렴한 가격과 큰 용량으로 젊은 소비자들을 겨냥했습니다. 펩시는 또한 다양한 광고와 홍보를 통해 코카콜라보다 현대적이고 다양성을 존중하는 이미지를 강조했습니다. 코카콜라는 이에 대응하기 위해 자신의 제품과 브랜드를 변화시켰습니다. 1955년에는 첫 번째 다이어트 콜라인 "타비"를 출시했습니다. 1960년에는 첫 번째 탄산수인 "스프라이트"를 출시했습니다. 1982년에는 첫 번째 카페인 없는 콜라인 "코카콜라 프리"를 출시했습니다. 1985년에는 가장 큰 변화가 일어났습니다.오리지널 코카콜라의 맛을 바꾸기로 결정했습니다. 이는 "뉴 코크"로 불리며, 펩시보다 달고 부드러운 맛이었습니다. 하지만 이 결정은 역사상 가장 큰 실패로 기록되었습니다. 소비자들은 오리지널 코카콜라의 맛을 돌려달라고 항의하고, 보이콧 운동을 벌였습니다. 결국 코카콜라 컴퍼니는 79일 만에 오리지널 코카콜라를 다시 출시하였습니다. 이는 "클래식 코크"로 불렸습니다. 2000년대부터 코카콜라는 건강과 웰빙에 대한 소비자들의 요구에 맞춘 제품 라인업을 강화하였습니다. 코카콜라는 설탕과 칼로리가 낮은 제품들을 출시하였습니다. 예를 들어, 2005년에는 "코카콜라 제로"를 출시하였습니다. 이는 설탕이 없고 칼로리가 없는 콜라였습니다. 코카콜라는 또한 천연 성분과 과일 맛을 가진 제품들을 출시하였습니다. 예를 들어, 2018년에는 "코카콜라 플러스"를 출시하였는데 이는 식이섬유가 함유된 건강 콜라였다고 합니다.
Q. 조선 사림파와 훈구파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사림파는 훈구파의 사장적 학풍과는 달리 경학을 중요하게 생각했으며, 인간의 심성을 연구하는 성리학을 학문의 주류로 삼았습니다. 또한 중앙 집권 체제보다 향촌 자치를 강조했으며, 도덕과 의리를 바탕으로 하는 왕도 정치를 강조했습니다. 또한 성리학 이외의 학문과 사상을 이단으로 배격하는 특징을 보였죠. 또한 사림 세력은 중앙의 권력을 바탕으로 향촌 사회까지 장악하려고 하는 훈구 세력에 맞서 자신들의 자치적인 세력 기반을 쌓으면서 성리학적 향촌 질서를 세우고자 했습니다.훈구파는 정도전, 사림은 정몽주·길재이며, 양성의 경우 훈구파는 성균관, 집현전에서 이루어졌고, 사림파는 지방의 사학 기구인 서원에서 이루어졌습니다. 정치사상은 훈구파의 경우 중앙 집권, 부국강병, 민생 안정, 패도 정치 인정을 강조했으며, 사림파의 경우 향촌 자치, 학술·의리·도덕·명분, 왕도 정치를 강조했습니다. 또한 훈구파는 사장을 중시하고 타 사상을 수용하며, 주례를 강조했으나 사림파는 경학을 중시하고 타 사상을 배격하는 모습을 보였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