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민선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민선 전문가입니다.
김민선 전문가
고려대학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생물·생명
2024년 8월 3일 작성 됨
Q.
gibson assembly cloning 시에 필요한 세가지 효소를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김민선 전문가입니다.Gibson assembly cloning 방법에는 exonuclease, DNA polymerase, DNA ligase가 필요합니다. 1. Exonuclease는 명칭에서 알 수 있듯이 뉴클레오타이드 말단(exo)을 자르는 역할을 합니다. 말단의 포스포디에스테르 결합을 깨는 가수분해가 일어납니다. 말단을 단일 가닥으로 만들어주기 때문에 다음 과정인 polymerase가 잘 붙을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줍니다. 따라서 polymerase의 반응이 멈추지 않고 일어날 수 있도록 해줍니다. 2. DNA polymerase는 단일가닥의 DNA를 이중가닥으로 붙이는데 사용되며 exonulease에 의해 생긴 gap을 채우는 역할을 합니다. 3. DNA ligase는 gap을 채우면서 생긴 nick을 repair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이중가닥의 원형 plasmid를 product로 얻을 수 있도록 해줍니다.
생물·생명
2024년 7월 28일 작성 됨
Q.
이세상에는 인간 돌연변이도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민선 전문가입니다.인간 돌연변이도 물론 존재합니다. 보통 인간 돌연변이는 장애의 형태로 분류됩니다. 여러 종류의 돌연변이가 발생하게 되는데 따라서 여러 종류의 장애 형태로 발생하게 됩니다. 동물보다 더 진화한 형태인 인간은 자신과 다른 돌연변이를 장애라고 칭하고 있으며 일부 장애는 현대 의학기술로 치료가 가능한 상황입니다.
생물·생명
2024년 7월 28일 작성 됨
Q.
유전자 편집 기술이란 무엇이며, 이 기술이 의학 분야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민선 전문가입니다.유전자 편집 기술이란 말 그대로 유전자를 원하는대로 편집할 수 있는 기술입니다. Cas9이 대표적으로 알려져 있는 유전자 편집 기술에 사용되는 단백질인데요. 타겟이 되는 유전자의 서열을 single guild RNA형태로 발현해 주면 Cas9이 그 서열을 인식하여 가위처럼 DNA의 이중결합을 잘라 편집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됩니다. 이를 이용하면 유전자 서열을 원하는대로 조작할 수 있습니다. 인간의 경우 아직까지는 윤리 등의 문제로 이 기술을 사용할 수 없도록 되어있습니다.
생물·생명
2024년 7월 28일 작성 됨
Q.
생명과학1 발표 주제를 항우울증으로 할려고 하는데 목차 도와주세요
안녕하세요. 김민선 전문가입니다.우울증이란우울증을 앓고 있는 사람 수 추이항우울제 종류항우울제의 작동 기전항우울제 치료 효과이정도로 구성해보면 어떨까요?
생물·생명
2024년 7월 27일 작성 됨
Q.
유치가 생기는 원리는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민선 전문가입니다.사람과 동물은 모두 생장기를 가지게 됩니다. 그 생장기가 지나면 성장이 멈추게 되는데요. 유치는 생장기를 거치는 과정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작은 체구에 맞는 유치를 가지다가 성장하면서 영구치가 나는 것이지요. 따라서 유치와 영구치를 구별하여 가지는 동물은 그렇지 않은 동물보다 진화하였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생물·생명
2024년 7월 26일 작성 됨
Q.
생물은 외부자극에 대해 왜 반응을 하게 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민선 전문가입니다.궁극적인 목표로 말하자면 생존을 위해서 입니다. 외부의 위험을 피함으로써 다치는 것을 막아 생존할 수 있고 해바라기는 해를 따라 움직이면서 광합성을 하여 생존할 수 있는 것입니다.
생물·생명
2024년 7월 26일 작성 됨
Q.
생물은 어떻게 자신을 닮은 자식을 낳을수 있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민선 전문가입니다.모든 생물은 자신의 유전자 정보를 가지고 있는 유전체를 가지고 있습니다. 자손에게는 자신의 유전자 일부를 복제해서 전달해주게 되는데요. 여기서 전달되는 유전 정보에 외형적인 부분도 포함됩니다. 따라서 부모와 자식은 닮게 됩니다.
생물·생명
2024년 7월 26일 작성 됨
Q.
물고기는 왜 미끌미끌한 걸까요?왜그런가요
안녕하세요. 김민선 전문가입니다.물고기는 물에서 살아가기 때문에 물의 저항을 덜 받으려고 미끌거리게 됩니다. 미끌거리는 표면은 상대적으로 물의 저항을 덜 받게됩니다.
생물·생명
2024년 7월 25일 작성 됨
Q.
MEGA를 활용한 식물 유전자 계통 분석
안녕하세요. 김민선 전문가입니다.1번과 2번의 유전자 서열이 가장 유사하고 그 다음에 3번 그 다음이 4번 순입니다. 비슷한 서열의 비율은 따로 표기가 되어있을텐데 그림상에서는 확인되지 않습니다. 이는 전체 서열의 크기와 서열 정보의 정확도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사진상으로 1번 샘플은 mutation 서열인듯하고 2번 3번 샘플만 whole genome sequence로 보입니다.
생물·생명
2024년 7월 24일 작성 됨
Q.
뷰렛반응은 가역반응인가요 비가역반응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민선 전문가입니다.뷰렛 반응은 비가역 반응입니다쉽게 생각해서 자연상태에서 반대로 반응을 보낼 수 있다면 가역반응이고 그렇지 않으면 비가역 반응입니다. 보라색으로 변한 착화합물은 에너지를 가하지 않고는 다시 원래의 색으로 돌아가지 않는다는 것을 생각하시면 됩니다😉추가로 이 반응이 가역반응이라면 정확한 단백질 정량이 되지 않겠죠?!🧐
1
2
3
4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