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손국현 전문가입니다. 함께 배워 나가요.

안녕하세요 손국현 전문가입니다. 함께 배워 나가요.

손국현 전문가
크라운제과

인사말
인사말배움의 하나일까요. 여러분의 질문이 저에게도 배움입니다. 반갑습니다.
전문가 소개
이름
손국현
소속
크라운제과
직무/직책
과장
활동 중인 토픽
학문
생물·생명
활동 지역
충청북도
진천군
연락처 및 SNS
아직 연락처 및 SNS를 입력하지 않았어요.아직 연락처 및 SNS를 입력하지 않았어요.
회사(법인) 소개
크라운제과
충북 진천군 이월면 진광로 709-126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우리나라의 고유견들은 무엇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손국현 전문가입니다.북한의 천연기념물인 풍산개가 있습니다. 이 풍산개는 다소 유명한 견종인데요, 용맹하고 대담한 성격을 지녔는데 , 오래 들려오는 이야기들로는 호랑이를 잡아낸 개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경주의 토종견 경주개 동경이 가 있습니다. 꼬리가 없을 정도로 매우 짧은것이 특징입니다. 덩치는 진도개보다 10%정도 더 큰 편입니다. 제주도의 제주개가 있습니다. 이 개는 크기가 1m정도이며 제주도에서 주로 서식합니다. 100마리밖에 없는 멸종위기의 토종견이며, 진돗개와 달리 꼬리를 빳빳이 세우는게 특징입니다. 그리고 전반적으로 온순하고 행동이 민첩, 사냥능력도 뛰어납니다. 마지막으로 오수개 입니다. 전북임실군에서 유명한 견입니다. 이강아지는 주인을 불구덩이에서 구해낸 개로 유명합니다. 어렸을적 국어책에서 보았던 그 이야기의 주인공입니다. 주인을 구하고 죽은 개의 자리에서 피어난 느티나무를 오수라고 하였고 이를 토대로 고장 이름도 오수가 되었다는 전래동화같은 이야기가 전해져 내려오고 있습니다. 이 강아지의 충성심을 기리기위한 의현비도 있는 것을 보면 실존한 토종견이라고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세포가 분열할 때 DNA 복제가 정확히 어떻게 이루어지나요??
안녕하세요. 손국현 전문가입니다.DNA 는 A와 T , G와C 가 결합하는 한쌍의 상보적 염기배열을 가지고있는데요. 결합방향은 서로 반대방향입니다. DNA 는 Origin 이라고 하는 염기서열부위 에서 시작되어지는 데요 우선은 이중 및 삼중 수소결합을 끊어냅니다. 이것은 DNA helicase 라는 효소이며 분리된 두가닥이 복제되 수 있는 분기점을 만듭니다. 분리된 DNA가닥은 다시 들러붙을 수 있는데 이를 각 단일가닥에 부착되는 단백질에 의해 잠시 지연되는데요. 이 사이에 각 가닥에서 복제가 이루어집니다. 복제는 신장이라고 하는데 단일 염기배열이 들러붙어 줄줄이 이어지기 때문에 신장이라고 합니다. 처음에 말씀드렸다시피 두가닥은 각각 방향이 반대입니다. 한가닥, 주형가닥은 선도가닥 leading strand 라고 불리며, 특정 서열부위에 primer가 시작점을 알려주면 DNA중합효소ⅲ 가 주가닥의 방향과 똑같이 따라가며 상보적염기가닥을 만들어갑니다. 그렇다면 다른 반대의 가닥은 방향이 반대로 Lagging strand라고 하는데 방향이 반대기 때문에 DNA helicase가 분리시키는 방향과 역순으로 합성을 하게 됩니다. 이때 관여하는 DNA 중합효소 ⅰ 는 분리가 되어진 단일가닥이 어느정도 길어지믄 위와같이 primer 와 함께 개시점을 설정하며 연속합성이 아닌 토막토막 합성을 해나갑니다. 다수의 rna프라이머를 대체해나가면서 합성하는 것이 이 DNA 중합효소 ⅰ 이 중요한 특성입니다. 또한 이 지연가닥에서는 연속적인 합성이 아닌 토막토막, 절편들의 합성이기 때문에 backbone 즉 허리가 이어져있지 않는 공간이 있는데요 이는 DNA ligase 라고 하는 효소가 이 틈들을 매워줍니다. 복제가 진행되는 동안 , 우리가 primer 라는 시작염기서열부분이 있던 것처럼 종결서열에 도달하면 복제가 종료되어집니다. 처음의 1개의 dna는 이제 2개의 dna가 된 것입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우리나라에 토종동물 중 아무르 고슴도치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손국현 전문가입니다.저도 토종고슴도치는 여태껏 본적이 없습니다. 토종고슴도치는 아무르 고슴도치가 맞습니다. 이 고슴도치는 우선은 한국의 멸종위기종입니다. 서식지 파괴등에 의해서 개체수가 감소하고 있으며 그에 따른 특성연구도 어려운 실상이라고 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전국적으로 분포하고 있어서 아주 운이 좋으면 볼수도 있겠으나, 우선은 태생이 야행성이라 밤에 산속에 가지 않는 이상 보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여집니다.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