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대기업 주식중에 ____ VS ______ '우' 가 붙은 주식의 차이는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승훈 경제전문가입니다.우가 붙은건 우선주를 의미합니다.보통 일반적으로 거래하는 주식은 보통주이고,보통주는 주주로서의 권리가 있습니다, 다만, 우선주는 이러한 권리 대신배당에 대한 우선권을 가진다고 생각하시면 쉽습니다.이에 소액주주의 입장에서는 경영권에 관심이 크게 없으니 배당에 대한 우선권을 가지려고 선택하기도 합니다.기업의 입장에서는 주식 발행을 하는데, 경영에 위협을 받지 않기 위해 우선주를 발행하곤 합니다.
Q. 우리나라 주식 거래소인 한국거래소가 국가 기관이 아닌 사기업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승훈 경제전문가입니다.네, 맞습니다. 공공기관과 같은 성격, 모습을 띄고 있지만 사기업입니다.2005년에 출범했는데, 민간 자율성 강화를 위해 주식회사 형태로 만들어졌습니다.다만, 일반 사기업처럼 주식이 상장되어 있지는 않습니다.또한, 일반 사기업과는 조금 다른 점으로 정부가 대주주로 있습니다.이에 분명 사기업이지만 공공기관에 가까운 움직임을 보이고는 있습니다.
Q. SKT개인정보 유출로 신뢰를 회복할수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승훈 경제전문가입니다.물론 이미 발생한 사건에 대해서 수습한다고 해도 말씀하신대로 소잃고 외양간 고치는 거지만,그렇게라도 하고, 재발방지대책을 수립해 앞으로 이런 일이 더이상 발생하지 않겠다고보여주어야 그나마 신뢰가 회복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이러한 행동을 하지 않는다면 더 크게 신뢰를 잃고, 기업 존속 자체가 더 어려워질 가능성이 큽니다.사실 타 통신사들이나 꼭 통신사가 아니더라도 일부 기업에서 개인정보 유출은 발생하고 있고어떻게 대응하냐에 따라 신뢰회복 후 잘 영업을 이어가기도 합니다.이에 이미 발생한 일은 발생한 일이고, 어떻게 수습하고 대책을 세우는지에 따라 충분히달라질 수 있다고 생각하기는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