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비행기 안에서의 과태료 부과 우리나라도 가능 할까요?
안녕하세요. 김승훈 경제전문가입니다.도입 가능성은 열려 있다고 생각합니다.문화의 차이인데, 길에서 담배를 피거나, 꽁초를 버리면 벌금을 물리는 나라들이 꽤 많은 것과 비슷하다 생각합니다.얼마든지 국내에도 도입될 수 있지만, 인식의 변화가 생겨야 하고,다소 천천히 그러한 문화를 만들어 나가야 한다고는 생각합니다.쉬운 일은 아니겠지만 좋은 문화라고 하면 인식을 서서히 바꿔가는 것도 중요하다 생각합니다.
Q. 국내 주식은 어떤 대형주들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승훈 경제전문가입니다.대형주는 보통 시가총액 순으로 구분하는데요.그렇게 따졌을 때, 미국은 말씀하신 테슬라, 애플도 대형주이지만요즘에는 엔비디아, 마이크로소프트 등이 더 시가총액이 높습니다.국내는 삼성전자, SK하이닉스, 삼성바이오로직스, LG에너지솔루션, 현대차 등의 순서로 볼 수 있겠습니다.
Q. 감액해서 전세계약서 작성 시 확정일자.
안녕하세요. 김승훈 경제전문가입니다.네, 일단 감액된 금액으로 계약서를 다시 쓰고 확정일자를 다시 받을 경우에는기존 계약서에 따른 확정일자가 아닌 신규 계약에 따른 확정일자가 적용됩니다.이에 임대인이 별도로 무언가를 하지 않았다면 문제가 없지만, 우선순위가 밀릴만한 일이 있었다면불리하게 작용될 소지가 있어 확정일자를 별도로 받지 않는 것이 나을 수 있습니다.다만, 은행에서는 흔히 재계약 시 새로운 확정일자를 요구하곤 합니다.이는 어느 분 말이 맞다고 보긴 어렵고, 은행마다 다 다른 정책을 쓰기 때문에 이 부분은 지점을 한군데만 가보지 마시고, 다른 곳도 가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또, 이러한 사정을 말해도 받아야 한다고 하면 우선순위 변동 현황을 알아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