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성리학이라는 학문은 원래 그리 폐쇄적인 면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권기헌 전문가입니다.현대 시대에 와서 성리학을 과거의 학문으로만 바라보기 때문에, 성리학 때문에 조선이 무너졌는 것처럼, 성리학의 이론적인 부분과 체면만을 생각하는 그런 것으로만 생각하여 성리학이 조선이 무너지고 근대화가 멀어진 것의 이유처럼 말하기 때문일 것이라 생각하는데요. 사실 성리학은 고려말의 불교가 폐단을 일으키자 이를 개선하고 더 바람직한 국가를 건설하고 백성을 살리는 학문으로서 받아들여졌습니다. 성리학적인 신분질서로 조화를 이루고(이 또한 지금의 눈으로 보면 불합리하긴 합니다.), 보다 구체적인 이론을 통해서 관념적인 부분을 많이 없애려 하였죠.
Q. 한국의 삼국시대(고구려, 백제, 신라)의 주요 특징과 각 왕국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권기헌 전문가입니다.고구려는 북방의 유목기마민족으로서 형성된 국가였으며, 중국이나 만주쪽의 여러 민족들과 전쟁하고 교류하며 상당히 호전적이고, 전투에 능한 그런 국가였습니다. 백제는 부여 계통으로서 서울, 서해안을 따라서 해상교역이 뛰어났고 중국과, 일본과도 상당한 관계를 형성했습니다. 일본왕이 백제 혈통이라 인정하기도 했죠. 마지막으로 신라는 중국으로 나아갈 방안이 많지 않았기에 중국의 문물을 고구려 백제를 통해서 받아서 성장했고, 가장 마지막으로 중앙집권화를 이루고 번성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