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권기헌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권기헌 전문가입니다.

권기헌 전문가
가람
역사
역사 이미지
Q.  삼국지, 진짜 역사 책 아니면 소설인가요?
안녕하세요. 권기헌 전문가입니다.우리가 알고 있는 삼국지는 역사적인 기록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소설이죠. 워낙 픽션적인 내용들이 많이 들어갔지만 그래도 사람들에게 감동을 주고, 환희까지도 주는 내용들이 들어가면서 아직까지도 사람들에게 읽혀지고 있는 것이죠.
역사
역사 이미지
Q.  우리나라가 한 왕조가 오래 지속할 수 있었던 것에는 어떤 이유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권기헌 전문가입니다.중국의 경우 영토가 넓고 애초에 여러 민족이 아웅다웅하면서 지방마다 중앙정부가 약해지면 힘을 모아 수도를 쳐들어가 황제를 내쫓았죠. 하지만 한반도의 경우 만주지역 부터 한반도까지 비슷한 민족성을 띄면서 통일신라 시기에 한민족이란 개념이 강화된 것도 있을 것이죠. 무엇보다 고려, 조선의 경우 영토자체가 넓은 편이 아니었기에 중앙정부에서 지방에 관찰사 등의 중앙관리를 파견하여 관리하면서 지방세력이 커지는 것이 어려웠으리라 봅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최근 한일 관계가 좋다고 평가한 일본인이 많다던데, 한일 양국 관계 개선이 된 배경과 전망은 어찌될런지?
안녕하세요. 권기헌 전문가입니다.극우라던 일본인 중 혐한이 강했는데 그런 사람들의 인식 개선이 있었을 수 있고, 그동안 상당한 한류 케이팝의 영향으로 한국에 대한 적대감도 많이 줄어든 것 같습니다. 요즘은 일본에서 콘서트나 음악방송도 많이 하는것 같더라구요.
역사
역사 이미지
Q.  조선시대 왕들의 주요 업적들은 뭐가 있나요 ?
안녕하세요. 권기헌 전문가입니다.모든 왕을 열거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고 왕의 순서대로 생각나는대로 열거해볼게요.태조 - 조선 건국, 역성혁명을 이룬 신진사대부 성장정종 - 태종에게 왕위 승계태종 - 왕자의난, 왕권강화세종 - 한글창제, 과학 문화 사회 수 많은 업적문종 - 빨리 사망단종 - 세조에게 왕위 찬탈 당함세조 - 조카 죽이고 왕, 왕권 중심연산군 - 폭군중종 - 반정으로 왕위 등극, 조광조의 난 등선조 - 임진왜란, 멍청이광혜군 - 임진왜란 수습 but 폐모살제인조 - 반정으로 왕위 등극, 청나라에 굴욕영조- 탕평책, 사도세자 죽임정조 - 영조의 뒤를 이어 성군순헌철 - 세도정치로 왕권 무실고종, 순조 - 조선의 폐망
역사
역사 이미지
Q.  씨와 본관이 정통성이 있긴 한걸까요?
안녕하세요. 권기헌 전문가입니다.족보는 말씀하신 것 처럼 일반 상민 백성들이 돈을 주고 족보를 사거나 오히려 노비가 되기도 했으니 여러가지가 꼬여있긴 할 것 같습니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집안에 내려오는 족보, 역사를 부정할 필요도 없으니 있는대로 받아들이시는 것이 좋을 것 같네요.
역사
역사 이미지
Q.  요즘 예전 전통 사극을 많이 보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권기헌 전문가입니다.사실 정통대하사극이라는 타이틀이 없는 경우에는 거의 허구라거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역사적인 사실 보다는 이런 상황이라면 그 사람은 이런 사람이었을 것이다. 아니면 지금 여성의 캐릭터가 강조되고 있는 시대이므로 원경이라는 캐릭터가 부각되어 드라마로 만들어지기 까지 했죠. 그렇기에 정통사극이 아닌 경우에는 드라마 픽션이고 이것이 너무 사실을 왜곡하거나 과거를 부정하는 내용이 아니라면 큰 문제는 없는 것 같습니다. 아이돌이 나오는 사극은 춤도 추고 그럴 정도니까요...
역사
역사 이미지
Q.  중세 기독교는 근친혼을 금했는데 왜 왕실에서는 근친혼이 있던건가요
안녕하세요. 권기헌 전문가입니다.사실 근친혼은 중세의 왕실 뿐만 아니라 전세계적인 흐름이었습니다. 왕권의 경우 서로다른 세력이 합쳐지는 것인데 만약 서로를 믿지 못한다면 결국 파국으로 가는 것이죠. 그렇기에 왕권을 유지하고 공고히 하기 위해서 왕실 내에서, 왕족 내에서 근친혼을 하게 됩니다. 이는 이집트도 그러했고, 한반도에서도 그러했으며 신라가 대표적이죠.
역사
역사 이미지
Q.  세계에 해적, 산적, 도적 등 도둑이 많이 사라진 이유는 나쁜 짓을 하는 직업이기 때문일까요?
안녕하세요. 권기헌 전문가입니다.사실 고구려가 있던 만주지역에서 번성했던 유목민들은 기본적으로 약탈경제를 행했습니다. 토지가 척박했기 때문에 다른 집단, 국가를 쳐들어가서 필요한 물자를 약탈해오는 경제구조였죠. 물론, 일본의 해적질과는 또 다른 개념이죠. 해적질이나 산적질은 국가가 나서서 하는 것이 아닌 일부 집단에 의해서 벌어지는 불법행위였죠. 그렇기에 점차 세계화 되고, 불법에 대한 공동의 대응이나 처분 등이 있으니 말씀하신 것처럼 산적, 해적 등이 기본적인 경제구조를 가진, 법치주의 국가에서는 불가능하지만 아프리카 등의 법이 제대로 서지 못한 국가에서는 하나의 경제 방식으로 운영되는 것도 사실이죠.
역사
역사 이미지
Q.  서양역사에서 기사라는 지위가 언제부터 몰락하나요
안녕하세요. 권기헌 전문가입니다.사실 기사 계급은 십자군 전쟁 등으로 인하여 경제적으로든 정치적으로든 몰락하게 됩니다. 여기에 영국과 프랑스 군의 전쟁 중 1346년 클레시 전투가 한 몫을 하게 되는데, 프랑스는 말을 탄 기사단이 중심이 되었고 예전처럼 멋지게 영국군에게 달려들지만 영국의 경우 장궁을 이용하여 기사단이 영국군에 도달하기도 전에 제거되었고, 더 강력해진 창을 가진 창병에 의해 기사들이 힘을 쓰지 못하게 되죠. 즉, 비효율적인 기사를 중심으로한 전쟁의 전략은 더이상 효율적이지 못했고, 십자군 전쟁 등으로도 기사들은 더이상 노블레스 오블리제를 실현하지 못하게 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농경사회쪽이 흑사병에 더 많이 걸린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권기헌 전문가입니다.흑사병은 쥐(벼룩)이 옮기는 것으로 유명한 질병인데요. 농가에는 그만큼 야생쥐(벼룩)가 번식할 가능성이 훨씬 높으며, 쥐와 접촉할 가능성이 더 높아서 아닐까 생각이 듭니다.
565758596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