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전세 만기가되어 이사하려하는데 전세금을 주질 않네요
안녕하세요. 고수영 공인중개사입니다.임대인과의 협의: 임대인에게 전세금 반환을 요구하고, 만약 반환을 거부할 경우 협의를 통해 해결하려고 노력하세요. 임대인이 보증금을 반환하지 않을 경우, 법적 조치를 고려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임차권 등기 명령: 임대인이 보증금을 반환하지 않을 경우, 법원에 임차권 등기 명령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는 임대인이 보증금을 반환하지 않더라도 임차인의 권리를 보호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전세보증보험 활용: 전세보증보험을 가입한 경우, 임대인이 보증금을 반환하지 않을 때 보험금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계약 종료 후에 가능합니다.법적 상담: 상황이 복잡하거나 임대인과의 협의가 어려운 경우, 변호사와 상담하여 법적 조치를 고려해 보세요.중재 및 조정: 지역 주민센터나 법원에서 제공하는 중재 및 조정 서비스를 활용하여 임대인과 합의를 도모할 수 있습니다.이러한 절차를 통해 전세금 반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감사합니다.
Q. 요즘 우리나라 부동산 가격 즉 서울의 아파트 가격은 어떤 상황인가요 2025년 기준
안녕하세요. 고수영 공인중개사입니다.대형 아파트 가격 상승: 2025년 1월 기준 서울 대형 아파트(135㎡ 이상) 매매 가격지수는 역대 최고치를 기록하며 106.6을 나타냈습니다. 이는 2024년 12월보다 0.2포인트 상승한 수치입니다.강남권 가격 상승: 강남권 대형 아파트 가격지수는 107.4로, 전국 및 서울 평균을 상회하며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강남권과 강북 간 가격 격차가 더욱 커지는 양극화 현상을 보여줍니다.전체 서울 아파트 가격 동향: 설 연휴 이후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서초, 송파, 양천, 용산구를 중심으로 상승 전환되었습니다. 이는 2025년 2월 첫째 주에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이 0.02% 상승한 결과입니다.전문가 전망: 전문가들은 2025년 상반기에도 서울 아파트 가격이 상승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이는 공급 부족과 대기 수요가 풍부한 데 따른 것입니다.양극화 심화: 서울 아파트 시장은 상위 20% 아파트의 가격이 하위 20%보다 약 10.9배 높은 수준으로,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