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원두찌꺼기 수집하는 곳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서종현 전문가입니다.환경보호와 자원 재활용에 관심을 가져주셔서 감사합니다. 말씀하신 대로, 원두찌꺼기(커피박)은 다양한 형태로 재활용될수있으며 이를 수거하는 곳들이있습니다. 지방자치단체(지차체) 사업 참여 : 일부 지방 자치 단체에서는 커피박 재활용 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예를들어, 서울 송파구와 영등포구는 카페에서 배출되는 커피박을 수거하여 친환경 퇴비, 사료 등으로 재활용하는 사업을 운영하고있습니다 . 사업에 참여하는 커피 전문점을 연중 모집하기도 하니 질문자님 사업장이 위치한 지역의 구청이나 시청 환경 관련 부서에 문의해보시는것이 가장 정확합니다. 커피박 새활용 전문 기업 : 커피박을 수거하여 새로운 제품으로 만드는 전문 기업들도 있습니다. 예를들어, 커피큐브와 같은 기업은 커피박을 모아 커피 연필, 커피 화분 등 다양한 자원으로 만들고, 이 과정에서 사회 취약계층의 일자리 창출에도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업들은 자체적으로 수거 시스템을 운영하거나, 파트너십을 통해 커피박을 받고 있습니다. 환경 관련 재단 및 기관 : 환경 재단과 같은 기관들도 커피박 수거 캠페인이나 프로젝트를 통해 카페들의 참여를 유도하고 있습니다. 2021년 기준 , 전국적으로 530여 곳의 카페가 환경재단의 커피박 수거 활동에 동참하여 연간 120톤 이상의 커피박이 수거되기도 했습니다. 이처럼 여러 채널을 통해 원두 찌꺼기를 처리하고 재활용 할 수 있으니, 먼저 사업장 인근 지자체에 문의하시고, 여의치 않다면 커피박 재활용 전문 기업이나 환경 단체에 연락해보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Q. AI는 우리 뇌를 실제로 모방한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서종현 전문가입니다.AI기술은 정말 흥미로운 분야입니다. 현재의 AI 기술 , 특히 딥러닝은 인간 뇌의 작동 방식에서 많은 영감을 얻어 발전했습니다. 인공 신경망이라는 개념 자체가 뇌의 뉴런(신경세포)들이 정보를 주고 받는 방식을 모방한 것입니다. 뉴런의 수상돌기가 다른 뉴런으로부터 신호를 받아들이고, 축삭돌기가 신호를 전달하는 방식을 본떠, AI도 입력층, 은닉층, 출력층의 노드들이 연결되어 정보를 처리하게 만듭니다. 이러한 접근 방식을 뇌 모방 인공지능또는 뉴로모픽 컴퓨팅 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하지만 이는 뇌의 구조와 정보 처리 방식을 모방한 것이지, 뇌 자체를 완벽하게 복제하거나 인간의 의식을 구현한 것은 아닙니다. 인간의 뇌는 인공지능이 따라올수없는 훨씬 복잡한 병렬 처리 능력, 효율적인 에너지 사용, 감정,창의성, 그리고 적은 데이터로도 학습하고 추론하는 능력 등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현재 AI는 뇌에서 영감을 받아 특정 과제 수행에 매우 뛰어난 능력을 보이지만, 인간 뇌의 모든 기능과 복잡성을 완벽하게 재현하는 완전히 새로운 방식의 인공지능이라기보다는뇌의 특정 측면을 모방한 컴퓨터 과학 기술이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