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아직도 원시부족으로 문명과는 단절한채 살아가는 부족들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안근호 박사입니다.현대에도 문명과의 접촉을 거의 또는 전혀 하지 않고그들만의 전통적인 생활방식을 유지하며 살아가는 원시부족들이 존재합니다.흔히 미접촉 부족 또는 자발적 고립 부족 이라고 부르죠.이러한 부족들은 주로 남아메리카, 인도, 인도네시아 쪽에 분포하고남아메리카의 열대우림 지역, 인도 아다만 제도의 노스센티널 섬, 인도네시아 뉴기니 섬의 깊은 숲속과 같이지형적으로도 고립된 곳에서 삶의 터전을 꾸려나가고 있다고 합니다.이러한 부족들은 수렵, 채집, 어로 등 전통적인 방식으로 자급자족하며 살아가고,현대 문명과 완전히 단절된 고유한 문화와 언어를 유지하고 있다고 합니다.이들의 규모나 생활방식은 단절되어 있기에 당연히 알려진바가 없으며,집단 자체에서 외부와의 접촉을 꺼려하거나 아니면 질병 전파 등의 사유로 국제적으로 보호받기도 하죠.하지만, 안타깝게도 삼림벌채, 광산개발, 농업 확장 등으로 인해 이들의 거주지가 파괴되고외부와의 접촉 위험이 증가하면서 생존에 위협을 받고 있는 실정이라고 알아두시면 될 것 같습니다.
Q. 네잎클로버는 변종이라고 봐야할까요??
안녕하세요. 안근호 박사입니다.결론부터 말씀드리면, 네잎클로버는 변종으로 보는것이 맞습니다.대부분의 클로버는 세개의 잎을 가지고 있으며, 네잎클로버는 일반적인 형태를 벗어난 변이 행태라고 볼 수 있죠.네잎클로버가 생기는 원인은 명확하게 밝혀져있진 않지만,유전적인 돌연변이나 성장과정에서의 환경적인 요인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이러한 네잎클로버는 흔하게 발견되지 않는 희귀성 때문에 행운의 상징으로 여겨지는데요.클로버와 혼동되는 비슷한 풀을 보고 네잎클로버가 많다고 느껴지실 수 있지만,실제로는 클로버가 네잎클로버로 발견될 확률을 대략 1만분의 1의 확률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일부 지역에서는 환경적 요인이나 특정 유전적 패턴을 봉 네잎클로버가 많이 보이는 지역도 존재합니다.정리하자면, 네잎클로버는 일반적인 클로버의 변종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며클로버 만개 당 1개정도가 나타나는 희귀성 때문에 행운의 상징으로 여겨진다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