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식물의 육상 진출은 언제 이루어졌으며 이 사건이 지구 생태계와 대기 조성에 미친 영향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안근호 박사입니다.식물의 육상 진출은 고생대(오르도비스기, 약 4억 7천만 년 전)에 이끼와 같은초기 비관다발 식물의 형태로 시작되었습니다.정리를 잘해 놓은 유튜브가 있어서 전달드리니 시간되실 때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식물의 육상 진출은 당시 지구의 생태계와 환경에 혁명적인 변화를 가져왔습니다.식물의 광합성으로 발생하는 산소들이 대기 자체의 산소 농도를 증가시키게 되었고산소 농도가 높아지면서 자외선으로 인해 오존도 형성되어, 오존층이 두꺼워 지게 되었습니다.반대로 이산화탄소의 농도는 줄어들어 지구 온실화 효과를 줄이게 되었죠.생태계에는 육지에 식물들이 번성하여 다른 생물들이 육지로 진출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할 수 있었고식물을 먹이로 활용하는 초식동물, 이를 먹는 육식동물이 등장하는 등 복잡하고 다양한 생태계가 형성할 수 있었습니다.식물의 뿌리 작용으로 유기물 분해 등 토질도 향상되게 되었고광합성 뿐만아니라 증산작용 등을 통한 수증기량 증가로 강수량과 기후에도 영향을 줬다고 합니다.식물의 육상 진출은 지구 역사상 가장 중요한 사건 중 하나로, 바다에만 머물던 생물들이 육지로 영역을 확장하고 오늘날과 같은 지구 환경을 만드는 변화를 가져왔다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Q. 바이러스는 어떤 생물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안근호 박사입니다.먼저, 바이러스는 스스로는 아무것도 할 수 없는 기생체 입니다.생물이다, 살아있다 라고 보기 어렵다고 하는 경우도 많고 이 부분에는 여러가지 의견들이 존재합니다.왜냐면, 유전정보와 껍데기인 단백질만 있을 뿐 다른 것은 전혀 없고,기생하지 않고 혼자 있을 경우에는 에너지를 만들거나 복제하거나, 움직이거나 할 수 없기 때문이죠.그렇지만, 분명하게도 인간에게 영향을 끼치고 있는건 맞습니다. 보통은 안좋은 쪽으로만 인식이 되고 있으나, 비교적 많진 않지만 좋은 쪽으로도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먼저, '박테리아를 먹는 바이러스'라는 뜻을 박테리오파지라고 하는 바이러스는특정 박테리아를 공격하고 파괴하는 성질을 가져 항생제 내성을 가진 세균 감염 등을 치료할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또한 유전자를 가지고 연구를 할 때, 유전자를 운반하는 운반체로서 투여가 되기도 하죠.바이러스 벡터 치료제, 코로나 치료제로 많이 들어보셨을 겁니다.(아스트라제네카, 얀센)크기는 보통 눈으로는 당연히 보이지 않는 작은 사이즈로일반적으로 20나노미터-300나노미터 정도 됩니다.이 크기는 필터 같은 여과기로 걸려지지 않아 여과성 병원체 라고 불리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