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의 육상 진출은 언제 이루어졌으며 이 사건이 지구 생태계와 대기 조성에 미친 영향은 무엇인가요?
식물이 초기부터 육상진출을 한게 아니라는데요 그렇다면 식물의 육상 진출은 언제이루어졌는지 궁금하며 이 사건이 지구 생태계와 대기 조성에 미친 영향이 무엇인가요
식물의 육상 진출은 약 4억 7천만 년 전 오르도비스기에 시작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지구의 생태계와 대기 조성에 근본적인 변화가 생겼습니다.
초기 식물들은 암석을 분해하여 유기물이 풍부한 토양을 만들었고, 이는 다양한 생명체가 살 수 있는 기반이 되었습니다.
또한 육상 식물이 퍼지면서 곤충과 같은 새로운 생물들이 나타나고 번성할 수 있는 서식지가 마련되었고, 식물이 생산자 역할을 맡으면서 육상 생태계의 복잡한 먹이 사슬이 형성되기 시작했습니다.
또한 광합성을 통해 대기 중 산소 농도가 급격히 높아졌고, 이는 육상 동물의 진화를 가속화하였죠.
특히 산소 증가로 오존층이 두꺼워져 자외선을 차단되었고, 이는 생명체가 육지에서 안전하게 살 수 있는 환경이 만들어 졌고, 식물이 대기 중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면서 지구 온난화를 완화하며 안정적인 환경이 만들어졌습니다.
결론적으로 식물의 육상 진출은 지구를 지금과 같은 생명체가 풍부한 행성으로 만드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 중대한 사건입니다.
안녕하세요.
질문해주신 식물의 육상 진출은 약 4억 7천만 년 전 오르도비스기 말~실루리아기 초에 처음 이루어진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요, 당시 이전까지 지구의 육상 환경은 거의 식생이 없는 척박한 땅이었고, 광합성을 하는 생물은 대부분 바다 속에 살고 있었습니다. 최초로 육상에 적응한 식물은 선태류(이끼류)와 비슷한 원시적인 무관다발 식물로, 뿌리 대신 지하줄기 형태로 수분을 흡수했고, 큐티클과 기공 같은 구조를 발달시켜 건조한 환경에서 물 손실을 줄이며 살아갈 수 있었습니다. 이후 약 4억 년 전 데본기에 이르러 관다발 식물이 등장하면서 키가 큰 식물과 숲이 발달했고, 육상 생태계의 기반이 본격적으로 형성되었습니다. 이 육상 진출 사건은 지구 생태계와 대기 조성에 매우 큰 변화를 가져왔는데요, 우선 식물의 광합성 활동이 대기 중 이산화탄소(CO₂)를 대규모로 흡수하고 산소(O₂)를 방출하여 대기 조성에 변화를 일으켰습니다. 데본기에는 광범위한 숲이 형성되면서 대기 산소 농도가 급격히 증가해, 이후 곤충과 대형 절지동물의 거대화를 가능하게 했고, 육상 동물의 다양화에도 기여했습니다. 또한 식물 뿌리의 발달은 암석 풍화를 촉진시켜 영양염류가 바다로 흘러가 해양 생태계의 생산성을 높였고, 풍화 과정에서 대기 CO₂가 장기간에 걸쳐 감소해 지구 기온을 낮추고 고생대 후반의 빙하기 형성에도 영향을 주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식물의 육상 진출은 고생대 오르도비스기 후기에서 실루리아기 초기에 걸쳐 약 4억 7천만 년 전쯤 시작되었습니다. 이 사건은 지구의 생태계와 대기 조성에 엄청난 영향을 미쳤습니다. 식물이 육상으로 진출하면서 광합성을 통해 대기 중 이산화탄소(CO2) 농도를 낮추고 산소(O2) 농도를 높였습니다. 이로 인해 지구의 기후가 변화하고, 태양의 강한 자외선을 차단하는 오존층(O3)이 형성되어 다른 생명체들이 육상으로 진출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었습니다. 또한, 식물은 토양을 형성하고 안정시키는 데 기여하며, 새로운 서식지를 만들어 육상 생태계의 다양성을 폭발적으로 증가시켰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
식물의 본격적인 육상진출은 약 4억 7천만년전부터 5억년전 오르도비스기 말데본기초에 이끼류나 고사리류와같은 비 관다발식물로부터 시작되었다고합니다.
이 사건들은 대기중의 CO2를 흡수하고 산소농도높도를 높였으며, 토양형성과 육상생태계 기반을 마련해서 이후 곤충, 척추동물의 육상 진화를 가능하게 했다고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안근호 박사입니다.
식물의 육상 진출은 고생대(오르도비스기, 약 4억 7천만 년 전)에 이끼와 같은
초기 비관다발 식물의 형태로 시작되었습니다.
정리를 잘해 놓은 유튜브가 있어서 전달드리니 시간되실 때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식물의 육상 진출은 당시 지구의 생태계와 환경에 혁명적인 변화를 가져왔습니다.
식물의 광합성으로 발생하는 산소들이 대기 자체의 산소 농도를 증가시키게 되었고
산소 농도가 높아지면서 자외선으로 인해 오존도 형성되어, 오존층이 두꺼워 지게 되었습니다.
반대로 이산화탄소의 농도는 줄어들어 지구 온실화 효과를 줄이게 되었죠.
생태계에는 육지에 식물들이 번성하여 다른 생물들이 육지로 진출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할 수 있었고
식물을 먹이로 활용하는 초식동물, 이를 먹는 육식동물이 등장하는 등 복잡하고 다양한 생태계가 형성할 수 있었습니다.
식물의 뿌리 작용으로 유기물 분해 등 토질도 향상되게 되었고
광합성 뿐만아니라 증산작용 등을 통한 수증기량 증가로 강수량과 기후에도 영향을 줬다고 합니다.
식물의 육상 진출은 지구 역사상 가장 중요한 사건 중 하나로, 바다에만 머물던 생물들이
육지로 영역을 확장하고 오늘날과 같은 지구 환경을 만드는 변화를 가져왔다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