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장수, 생명 연장과 관련한 의학 개발은 이루어지고 있는건가요?
무병과 장수로 나눠본다면, 무병에 대한 진도는 많이 나가고 있죠. 암을 극복하고 있고, 불치병의 범위들을 점차 축소시키고 있으니까요.장수의 영역도 무병보다는 진도가 더디긴하지만 나아가고 있긴합니다.DNA의 텔로미어가 수명과 관련이 있다는 연구라던가 어린쥐의 피를 수혈받은 늙은쥐가 회춘을 보인다던가 하는 등 연구들은 꾸준히 진행되어 왔으나 눈에 띄는 성과는 더딘것이죠.다만, 의학의 발전으로 평균 수명이 높아지고 있고 과거와 비교해보면 확실히 무병, 장수가 이루어 지고 있고 앞으로도 발전해 나갈것이라고 보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Q. 물 정화능력이 좋은 물고기들은, 어떤 기능을 가지고 있는건가요?
수중 정화 물고기라고 불리는 물고기들은 물을 화학적으로 정화하는 능력을 가진 것은 아니고수질을 악화시키는 원인(이끼, 사료 찌꺼기 등)을 제거하는 역할을 하는 종들이라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대표적으로는 플레코 라는 종이 있는데, 수족관의 벽, 바닥, 수초 등에 생기는 이끼를 주식으로 삼아서흡반이라는 입의 형태를 가져서 긁어 먹습니다.그러나 청소 물고기들 역시 배설을 하므로, 이 물고기들만으로 환수나 여과기 청소를 대체할수는 없고수질관리의 보조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해해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
Q. 바이러스 연구에서 BSL-4 등급 실험실이 다른 연구 시설과 다른 점
BSL(Biosafety Level, 생물안전등급) 4등급의 시설은 전세계적으로도 극소수만 운영되고 있는 시설입니다.BSL-4 실험실은 최고 위험 등급의 병원체를 다루기 위해 설계되었으며,이 병원체들은 현재 치료법이 없거나 감염 시 치사율이 매우 높은 것들입니다. (에볼라, 마버그 바이러스 등)따라서, 시설 자체의 물리적인 격리와 완벽히 밀폐된 구조를 가지고 있는데요.독립적으로 설정된 건물 혹은 구역에 설치되어야 하며,음압이 걸려 있어서, 실험실 내부의 공기압이 외부보다 항상 낮게 유지되어야 합니다.또한 창문은 열리지 않거나 설치를 하지 않으며, 모든 벽과 바닥은 방수 처리가 되어있어서공기와 액체가 통할 수 없는 구조로 병원체가 외부로 빠져가나지 못하게 차단되어 있습니다.공기 또한 HEPA 필터로 처리되며, 폐기물들은 모두 멸균기를 통해 멸균/살균되어 빠져나가게 됩니다.인력들의 보호장비나 운영절차에 대해서도 최고 등급 수준으로 관리가 필요하죠.이는 치명적인 바이러스 등에 대한 연구도 반드시 필요하지만연구자를 보호하고, 만에 하나라도 병원체가 외부로 노출이 되지 않도록 모든 안전적인 부분을 최고 등급으로 관리하게 된다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Q. 세계에서 가장 작은 동물은 무엇인가요?
이전부터 작은 동물들에 대해서는 많은 관심들이 있었죠.작은 원숭이, 작은 강아지나 고양이들도 많이 소개 되었지만,세계에서 가장 작은 동물 이라는 카테고리로 들어가면 많이 큰 사이즈긴 합니다.동물군을 어떻게 보느냐에 따라 곤충이나 무척추 동물도 들어갈 수 있지만그런류 제외한 척추동물(포유류, 양서류, 조류 등)만을 보면가장 작은 개체는 브라질 벼룩 두꺼비 입니다.크기는 평균 약 7.1mm(0.7cm)로 가장 작은 사이즈로 기록되어 있고그 다음이 페도키프리스 프로제네티카라는 인도에 사는 어류로 7.9mm 같은 1cm도 안되는 종들이 있습니다.말씀해주신 포유류 같은 동물들은 벌새쥐가 가장 작은 것으로 알려져 있고크기는 약 3cm정도로 태국과 미얀마의 특정 동물에서 사는 박쥐류 입니다.번외로 고양이 중 가장 작은 사이즈로 기록된 개체는 공식적인 기록으로 인정되지 않았지만팅커 토이라는 이름을 가진 고양이로 몸길이가 7cm, 키 7cm의 매우 작은 몸집의 고양이 였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