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일시적2주택 요건 갖추려면 어떻게 해야 돼요?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일시적 2주택 비과세 요건과 상생임대인 제도 요건은 서로 다른 제도이며,둘 다 양도소득세 감면 또는 비과세와 관련된 중요한 제도입니다조정대상지역에서 일시적 2주택자가 되면, 기존 주택은 1년 안에 팔아야 비과세입니다,상생임대인은 세입자를 보호하는 대신, 집주인이 양도세 비과세 요건에서 일부 혜택을 받는 제도입니다주요 요건 요약 (2024년 개정 기준 기준),임대인 자격 1세대 1주택자 (또는 일시적 2주택자),임대 개시 시점 세입자와 계약 갱신 또는 신규계약 체결 시,임대료 인상 제한 직전 계약 대비 보증금·월세 5% 이하 인상,임대 기간 최소 2년 이상 임대 계약 체결 (갱신 포함),임대 대상 주택 조정대상지역의 주택세입자 조건 실거주 중인 무주택 세입자혜택 ① 2년 실거주 요건 면제 ② 장기보유특별공제 가능 1세대 1주택자가 세입자를 보호(임대료 동결 등)하면, 양도 시 실거주 요건이 면제되어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상생임대인 제도는 기존 집을 파는 시점에 실거주 요건을 채우지 못했을 경우의 보완용으로 활용 가능합니다
Q. 부모명의의아파트를자녀에게반전세와전세줄때방법과진행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부모 명의 아파트를 자녀에게 전세 또는 반전세·월세 형태로 임대하려는 경우,법적으로 가능한 일이며 실제로 많이 진행됩니다다만, 자녀가 가족이기 때문에 세금·보증금 증여 등에서 주의할 점들이 꼭 있습니다,자녀가 전세금이나 보증금을 부모로부터 일부 또는 전부 받는다면 증여세 이슈 발생 가능합니다피하는 방법은 자녀가 직접 번 돈이나 대출로 보증금 마련했다는 걸 입증 가능해야 합니다급여 통장, 대출 계약서 등 증빙 필요합니다만약 자녀가 보증금을 부모에게서 받아냈는데 증여세 신고를 안 하면세무서에서 나중에 과세할 수 있습니다증여세 공제 한도는 성인 자녀의 경우 5,000만 원(10년 기준),자녀에게 월세를 받는 경우, 부모는 소득세법상 임대소득 신고 의무 발생합니다연간 월세 수입 2000만 원 이하 비과세 대상이지만, 분리과세 선택 가능합니다연간 월세 수입 2000만 원 초과 종합소득세 과세 대상입니다자녀가 아닌 타인에게 세 주는 것과 세금 처리 방식은 동일합니다자녀라고 해서 면제는 아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