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우리나라의 겨울철 날씨에 영향을 주는 제트기류라는게 있다고 합니다. 제트기류가 정확히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용준 전문가입니다.제트기류는 상층 대기(500hPa, 약 10km)에서 발생하는 편서풍 파동 중 풍속이 가장 빠른 부분을 말합니다. 상층대기의 편서풍 파동은 저위도와 고위도 사이의 온도차에 의해 등압면이 기울어진 관계로 나타납니다. 등압면은 저위도가 높고 고위도는 낮은데, 이로 인해 동일 고도에서는 일반적으로 저위도가 고위도보다 기압이 높습니다. 대기는 기압경도력에 의해 기압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이동하는데 이동하는 동안 전향력을 받아 북반구에서 이동방향이 오른쪽으로 휘어집니다. 다시 말해 저위도에서 고위도로 이동하면서 오른쪽으로 휘어지니까 전체적으로는 서쪽에서 동쪽으로 이동합니다. 이를 상층 대기의 편서풍이라고 합니다. 지구 대기 대순환에 의해 서로 다른 순환이 만나는 위도인 30°와 60°에서는 위도간 온도차가 더 커지므로 등압면의 기울기가 더 커집니다. 이 부분을 따라 이동하는 대기는 다른 부분에 비해 속도가 빠르며 이를 제트기류라고 합니다. 30° 부근 상공에 나타나는 제트기류를 아열대 제트, 60° 부근에 나타나는 제트기류를 아한대 제트라고 합니다. 이 제트기류가 파동치는 것을 편서풍 파동이라고 하며 이것이 우리나라를 비롯한 중위도 지역의 날씨에 영향을 미칩니다. 우리나라는 아한대 제트의 영향을 크게 받고 있습니다.지상이 날씨는 상층 대기의 영향을 받는데 겨울철 편서풍 파동의 골이 우리나라까지 영향을 주면 상대적으로 따뜻한 저위도의 공기가 ㅖ트류에 막혀 올라오지 못하므로 우리나라는 전반적으로 차가운 기단에 놓이게 되어 기온이 낮아집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