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밤하늘을 관측할 때 실질적으로 달보다 시야각이 더 크게 보이는 천체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이용준 전문가입니다.천체의 겉보기 크기를 나타낼 때에는 시야각이라는 용어보다는 시직경(시지름)이라는 용어를 사용합니다. 달의 시지름은 약 0.5°(30', 30분)로 밤하늘에서 단일 천체로는 가장 크게 보입니다. 그러나 희미해서 눈에 잘 보이지는 않지만 단일 천체가 아닌 성운이나 성단으로는 달보다 시지름이 큰 것들이 많습니다. 크리스마스트리 성단은 30'으로 달과 비슷하고, 장미 성운은 80'X60', 북아메리카 성운은 120'으로 달보다 훨씬 큽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Q. 지구과학1 태풍의 이동방향 어떻게 해석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이용준 전문가입니다.서북서(WNW)라는 말은 방위를 표시하는 방법 중에서 16방위를 나타낼 때 사용하는 용어로 북서쪽에서 서쪽으로 치우친 방향을 말합니다. 방위를 표시할 때는 기본적으로 동서남북(EWSN)의 4방위를 사용하고, 이들의 중간 방향을 북동(NE), 북서(NW), 남동(SE), 남서(SW) 등으로 다시 나눕니다. 그리고 이를 더 세분하면 서북서 등이 나옵니다. 서북서는 서쪽과 북서쪽의 중간을 말합니다. 북쪽과 북서쪽의 중간은 북북서가 됩니다. 16방위를 말할 때는 동서남북 중 가까운 쪽으로 먼저 붙이고 그 다음 북동, 북서, 남동, 남서 등을 붙입니다. 남서쪽에서 남쪽의 중간 방향은 남남서가 되는 것입니다.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