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안녕하세요.

이용준 전문가
경동고등학교

인사말
인사말서울의 고등학교에서 과학을 가르치는 교사입니다.
전문가 소개
이름
이용준
소속
경동고등학교
직무/직책
교사
활동 중인 토픽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활동 지역
서울특별시
성북구
중랑구
연락처 및 SNS
아직 연락처 및 SNS를 입력하지 않았어요.아직 연락처 및 SNS를 입력하지 않았어요.
회사(법인) 소개
아직 회사(법인) 정보를 입력하지 않았어요.아직 회사(법인) 정보를 입력하지 않았어요.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밤하늘을 관측할 때 실질적으로 달보다 시야각이 더 크게 보이는 천체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이용준 전문가입니다.천체의 겉보기 크기를 나타낼 때에는 시야각이라는 용어보다는 시직경(시지름)이라는 용어를 사용합니다. 달의 시지름은 약 0.5°(30', 30분)로 밤하늘에서 단일 천체로는 가장 크게 보입니다. 그러나 희미해서 눈에 잘 보이지는 않지만 단일 천체가 아닌 성운이나 성단으로는 달보다 시지름이 큰 것들이 많습니다. 크리스마스트리 성단은 30'으로 달과 비슷하고, 장미 성운은 80'X60', 북아메리카 성운은 120'으로 달보다 훨씬 큽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열대야의 기준은 상대적인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용준 전문가입니다.열대야라는 말은 일본의 기상 캐스터인 구라시마 아쓰시가 처음 사용한 용어로, 구라시마는 일 최저 기온이 25°C면 열대 지방의 밤처럼 더워서 잠을 자기 어렵다는 뜻으로 사용했습니다. 일본 기상청에서는 열대야를 야간의 최저 기온이 25°C 이상인 밤을 지칭하는 말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1975년 무렵부터 일본의 용어를 들여와 사용하기 시작했으며, 1980년대 들어서는 기상청 예보에도 사용되는 등 본격적으로 대중적으로 사용하였습니다. 기상청은 2009년 7월 24일부터 하루 최저 기온이 아닌 밤 최저 기온(오후 6시1분부터 다음 날 오전 9시)으로 기준을 변경하여 적용하고 있습니다.유럽은 우리나라보다 온도가 낮은 기준을 사용하며 야간에 기온이 20°C 이하로 떨어지지 않는 날을 열대야라고 합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지구과학1 태풍의 이동방향 어떻게 해석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이용준 전문가입니다.서북서(WNW)라는 말은 방위를 표시하는 방법 중에서 16방위를 나타낼 때 사용하는 용어로 북서쪽에서 서쪽으로 치우친 방향을 말합니다. 방위를 표시할 때는 기본적으로 동서남북(EWSN)의 4방위를 사용하고, 이들의 중간 방향을 북동(NE), 북서(NW), 남동(SE), 남서(SW) 등으로 다시 나눕니다. 그리고 이를 더 세분하면 서북서 등이 나옵니다. 서북서는 서쪽과 북서쪽의 중간을 말합니다. 북쪽과 북서쪽의 중간은 북북서가 됩니다. 16방위를 말할 때는 동서남북 중 가까운 쪽으로 먼저 붙이고 그 다음 북동, 북서, 남동, 남서 등을 붙입니다. 남서쪽에서 남쪽의 중간 방향은 남남서가 되는 것입니다.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