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전기에서 직류, 교류 이런말 있는데 뭔차이죠?
안녕하세요. 지동민 과학전문가입니다.교류는 시간에 따라 주기적으로 크기, 방향이 바뀌는 전류 입니다.직류는 시간에 따라 방향이 바뀌지 않는 전류입니다.에디슨은 직류 전기 시스템을 개발해 보급중이었습니다. 테슬라는 에디슨 연구소의 연구원이었습니다. 테슬라는 교류 전기 시스템을 제안했지만 에디슨은 이미 직류 전기 시스템을 팔고있었기에 이 제안을 거절합니다.이후 테슬라는 연구소에서 나와 본인의 회사를 설립하고 교류발전기, 모터, 변압기 등을 만들게 됩니다.에디슨은 이때 교류전기의 위험성 등을 강조하는 방식으로 테슬라를 방해했지만 잘 되지 않았고 이후 전기관련 사업에서 교류 전기가 채택되며 직류 전기를 이기게됩니다.교류의 경우 변압기를 통해 전압 변경이 용이합니다. 따라서 교류 방식이 직류 방식보다 송전설비의 효율이 좋습니다. 또한 교류 발전기, 전동기 모두 직류 발전기, 전동기 보다 구조가 간단하고 효율적인 장점을 가집니다.직류의 경우 송전 효율은 좋지만 승압과 강압이 힘들고, 교류-직류 변환을 위한 인버터, 컨버터의 신뢰도 유지보수 등의 문제가 있습니다.
Q. 전기 회로에서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전기 초보)
안녕하세요. 그림과 같은 회로는 사용하지 않는 회로입니다. 만약 실제 회로를 위의 그림과 같이 구성하면 실제 회로에는 도선저항이 존재하므로, 도선 저항 비율에 따라 전류가 흐르는 양이 달라질 것 입니다. 흐르는 전류를 계산하는 방법은 키르히호프의 법칙 KCL, KVL을 확인하시면 됩니다.위의 시뮬레이션에서 도선저항을 0으로 설정했을 경우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은 어느 전선에 얼만큼의 전류가 흐를지 계산하지 못합니다. 이유는 둘다 0일 경우 그 값이 무한대가 될 수도, 무한소가 될 수도 있어지기 때문입니다.따라서 시뮬레이션이 불가능한 회로이므로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이 오류라 할 수 없을 것 같습니다.마지막으로 많이 사용하고 믿을만한 전기회로 시뮬레이션 툴은 Multisim Live Online Circuit Simulator 추천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