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한준희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한준희 전문가입니다.
한준희 전문가
매스탑수학학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생물·생명
2025년 1월 17일 작성 됨
Q.
슈퍼박테리아는 왜 생겨나는 걸까요?
안녕하세요. 한준희 전문가입니다.대장균을 이용해서 여러가지 물질을 만들어냅니다.물질을 더 많이 만들어 내기 위해서 돌연변이 를 유도하기도 합니다.방사능을 쐬주면 대부분 죽고 살아남은 것 중 원하는 물질을 더 잘 만들어 내는 대장균이 생기기도 하죠대장균은 이분법으로 증식하기에 유전형질이 변하지 않습니다.새로운 능력을 가진 대장균을 계속해서 사용할 수가 있습니다.슈퍼박테리아의 경우는 병을 치료하기 위해서 알맞은 용량을 사용하는데, 여러가지 이유로 균이 죽지 않고 살아 남게 되면 내성이 생기게 되는것 입니다.그래서 정확한 용법 용량을 잘 지켜야 합니다
생물·생명
2025년 1월 17일 작성 됨
Q.
감기가 정복되지 못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한준희 전문가입니다.우리몸의 면역은 바이러스가 들어오면 물리치고 나면 바이러스의 부분을 기억하고 있다가 다시 들어오면 금방 물리치게 됩니다.감기 바이러스는 rna 바이러스인데 이것은 변이가 잘 일어납니다.다음에 다시 우리몸에 들어왔을때 변이가 일어난 부분을 면역체계가 인식하지 못하게 되면 감기를 앓게 되는거죠.그리고 감기에 걸려서 죽는게 아니기때문에 치료제가 만들어지지 않는것도 있을겁니다감기는 약 먹으면 2주, 안 먹으면 14일 걸린다는 말이 있죠 ^^
생물·생명
2024년 7월 23일 작성 됨
Q.
식물이 인간처럼 움직이고 대화할 수 있다면, 어떤 변화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한준희 전문가입니다.식물이 움직인다면 한 자리에 뿌리를 내리는게 아니네요움직인다는 것은 에너지를 쓰는것이니 산소를 많이 쓰겠네요.소통까지 된다면 동물처럼 무리를 이뤄 살기 좋은 곳으로 이동 할 수도 있겠네요.초식동물도 먹이 찾아 떠도는 육식동물처럼 살 게 될지도 모르겠네요
화학
2024년 3월 21일 작성 됨
Q.
2월달은 29일있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한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우리가 쓰는 달력(양력)을 그레고리력이라고 합니다.지구가 태양을 한 바퀴 도는 것을 1년으로 하는데, 실제로 걸리는 날이 365일 보다 조금 많다고 합니다.그래서 4년에 한 번씩 (4의 배수인 해)에 하루를 추가합니다. 그게 2월 29일 입니다.그런데 4년마다 하루를 추가하다보면 1년이 안 맞게 되어, 100의 배수인 해는 29일이 없고, 400의 배수인 해에는 29일이 있게 만들었습니다.
생물·생명
2024년 3월 18일 작성 됨
Q.
모기는 바이러스에 감염이 되지 않나요?
안녕하세요. 한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모기의 특성이 피를 통해 들어온 바이러스를 모아놨다가 다시 피를 빨을때 바이러스를 보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신기한 현상이죠. 피를 빨고 살아야 하는 생명체의 능력이죠
전기·전자
2024년 3월 15일 작성 됨
Q.
허수는 무엇이며 왜 생겨난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한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일차방정식을 풀면 해가 하나이고 이차방정식을 풀면 해가 두개입니다.n차 방정식을 풀면 해가 n개가 나오죠그런데 이차방정식에서 x^2 = -1 즉 제곱해서 음수가 되는 수는 실수 범위에서 없어서 해가 없다라고 하는데,제곱해서 -1 이 되는 수를 i(허수단위)라고 정의하면 이차방정식의 해도 2개라고 할 수가 있습니다.고등과정에서 본다면 n차방정식의 해가 n개가 되려면 허수가 필요한거죠
생물·생명
2024년 3월 15일 작성 됨
Q.
밝은 날 안 개가이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한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공기중에 수분이 얼마나 포함되어 있느냐를 포화 수증기량이라고 하는데온도가 올라가면 늘어나고 온도가 떨어지면 내려갑니다.일교차가 큰 날은 낮에 공기중에 수분이 많이 포함되어 있다가 밤이되어 온도가 떨어지면 수분이 공기밖으로 배출됩니다.그래서 새벽에 안개가 많고 낮이 되면 포화수증기량이 많아져서 안개가 걷히게 됩니다.밝은 날이라고 해도 일교차가 큰 날은 안개가 발생합니다.
화학
2024년 3월 15일 작성 됨
Q.
왜 낮기온과 밤기온의 차이가 많이나면 안개가 자주 생길까요?
안녕하세요. 한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낮에 온도가 올라가면 공기중에 수분이 많아집니다.이걸 포화수증기량이라고 합니다.밤이되면 온도가 떨어져서 공기중에 수분양이 줄어들게 됩니다.그러면 낮에 공기중에 있던 수분이 밤에는 공기 밖으로 배출 됩니다.공기중에 배출되면 안개, 지면에 있으면 이슬, 겨울에 얼면 서리가 됩니다.일교차가 크면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생물·생명
2023년 5월 2일 작성 됨
Q.
일란성과 이란성 쌍둥이는 어떤 차이점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한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일란성은 하나의 난자에서 생긴 쌍둥이로 생김새가 똑같은 우리가 생각하는 쌍둥이입니다이란성은 두개의 난자에서 생긴 쌍둥이로 아이 둘이 같이 태어난거라 보면 됩니다.이란성의 경우 생김새도 다르고 성별도 다를수 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4월 18일 작성 됨
Q.
지구에서 달의 앞면만 볼 수 있는 이유는 왜 그런것인가요?
안녕하세요. 한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달도 지구처럼 자전과 공전을 합니다.지구랑 같은 속도로 돈다고 하면두 사람이 손을 잡고 빙글빙글 도는것 처럼 한쪽 면만 보이겠지요
1
2
3
4
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