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치과 이미지
치과의료상담
치과 이미지
치과의료상담
운좋은바다꿩95
운좋은바다꿩9522.01.11

턱관절이 너무 아파요 어떻게 치료할수있을까요?

4년전에 치과대병원에서 남들보다 턱이 빠지는 범위가 작아서 턱이 자주빠질수있다는 진단을 받았습니다.

수술을 하기는 너무 싫은데 턱관절이 자꾸 빠지는(치과가면 턱이 덜그덕 빠졌다가 끼워지기도 하고 너무 벌리면 아파서 벌벌 떨어요)데 턱관절 치료는 어떻게 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01.11

    안녕하세요. 장인아 치위생사입니다.

    턱관절 치료는 교합안정장치, 약물치료, 물리치료, 운동요법, 행동요법 등이 있습니다.

    예방법으로는 단단하고 질긴 음식을 제한 합니다.음식을 양쪽으로 골고루 씹습니다. 입을 갑자기 크게 벌리지 않습니다. 무리한 턱관절 운동을 하지 않습니다. 바른 자세를 유지합니다. 긴장완화를 위한 이완운동을 합니다.

    턱관절 장애 원인은 나쁜 습관(단단하고 질긴 음식, 앞니로 손톱 뜯는 습관, 이를 꽉 깨무는 습관, 이를 가는 습관 음식 편측저작, 턱괴기) 외상, 교합 부조화, 심리적 요인 (스트레스, 불안, 우울, 긴장, 신경 과민)이 있습니다.

    증상은 저작시나 하품 할때 통증, 관절잡음, 하악운동제한 관절염, 강직 탈구가 있습니다.

    건강하세요^^


  • 안녕하세요. 김바른 치과의사입니다.

    입을 벌리거나 다물때 소리가 나는 것을 clicking sound라고 합니다. 주로 턱관절 디스크가 입을 벌리거나 다물때 턱관절로부터 이탈되었다가 다시 들어가면서 나는 소리라고 이해하시면 쉬울 것 같습니다. 연구에 따르면 많게는 최대 70%까지도 이러한 증상을 경험해보았다는 조사결과가 있습니다. 즉 소리만 나는 것으로는 당장 문제가 생길만큼 몸에 이상이 생겼다고 단정지을수는 없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소리뿐만 아니라 통증이 동반될 경우는 반드시 치료가 필요합니다. 대학병원 치과에 내원하셔서 구강내과 진료를 받아보실 것을 권해드립니다. 너무 걱정하지 않으셔도 괜찮을 것 같으니 걱정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도움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박종열 치과의사입니다.

    턱관절 치료는 비침습적인 치료에서 부터 침습적인 치료에 이르기 까지 다양한 스펙트럼을 가지고 있습니다.

    환자가 처음에 내원하다면 비침습적인 치료부터 설명합니다.

    악습관 개선, 습관조절, 행동요법등으로 치료를 시작하고

    약물치료와 물리치료(초음파, 온열, 전기치료)등으로 치료를 주기적으로 받습니다.

    장치치료나 보톡스주사 등을 고려해볼 수도 있으며

    관절강에 주사(하이알루론산, 스테로이드)를 놓거나 세척하는 관절강 세척술을 시행하기도 합니다.

    관절염이 매우심해 하악과두가 남아있지 않다면 마지막인 침습적인 치료인 수술적인 치료로 Total TMJ reconstruction(턱관절 재건술)을 시행할 수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송우식 치과의사입니다.

    턱관절 습관성 탈구가 있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평소에 입을 크게 벌리는 것을 조심하고 그대로 일상생활이 지장이 있을 정도로 자주 빠지면 수술까지 생각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안상우 치과의사/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치아와 턱이 불편하다면 턱관절 질환을 의심해 볼수 있습니다.

    턱관절에 문제가 생기는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는데 주로 원인이 되는 것이 턱에 과도한 힘이 들어가는 현상 때문인 경우가 많아요. 치아에 힘이 들어가는 경우는 평소에 우리가 음식을 먹으려는 순간이지만 치아에 힘이 가하지 않아야 할 순간에도 힘이 가해지는 경우가 있어요.

    예를 들면 힘든 운동을 한다거나?무언가 집중할때 치아를 꽉 물고 있는 습관, 수면시 무의식중에?이를 갈거나 강하게 무는 습관 또는 등에 의해서 턱관절에는 필요 이상의 힘이 들어가게 됩니다.

    턱관절을 치료하는 방법은 결과적으로 이 턱관절에 들어가는 힘을 줄이는 것 입니다. 턱을 괴거나 하는 것이 아닌 이상 치아에 닿았을 경우에만 턱관절에 힘이? 들어갑니다. 따라서 치아가 닿는 시간을 최소한으로 하고 치아가 닿는 순간에도 평소보다 1/2의 힘이 들어가게 행동조절을 하게 되면 턱관절에 들어가는 힘을 줄일 수 있습니다.

    힘을 줄이지 않고 방치했을경우에는 턱관절에 있는 디스크가 변형이 되어 소리가 나고 통증이 올수 있어요

    인지하는 중에 힘조절을 하실수 있으면 조절을 해주시는게 좋고 자는 동안이라든지 무의식중에 그런 습관이 있는경우는 근육이완제같은 약물 치료나 스플린트를 이용해 턱관절에 들어가는 힘을 줄일 수 있습니다.

    자세한 확인을 위해서 치과에서 진료를 받아보세요.


  • 안녕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입니다.

    턱관절 질환은 단순히 턱관절 디스크에서부터 저작근과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정확한 파악이 필요합니다. 또한 일부에서는 골관절염이나 류마티스 관절염에 의해 증상이 악화될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정확한 진단이 필요합니다.

    자가치료는 불가능하며 보통은 방사선 사진 촬영 이후에 본인의 턱관절 상태에 따라 치료 방법이 다를 수 있습니다.

    방치시에 개구장애 및 정중선 불일치, 교합 장애등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증상이 나타났을 때 반드시 치과 방문하여 치료하시길 바랍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 드림


  • 안녕하세요. 김철진 치과의사/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턱관절 치료는

    1. 물리치료

    2. 약물치료

    3. 장치 치료 및 보톡스 치료를 진행하게 됩니다. 4년전에 병원에 가셧다면 지금 다시 대학병원 구강내과가셔서 다시 검진을 받아보시는걸 추천드려요. 그리고 정기적으로 병원을 다니시면서 관리 해주셔야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