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19.05.26

채굴자들이 암호화폐 전송을 거부할 수도 있나요?

이더리움 같은 경우

채굴자가 암호화폐 전송

승인을 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만약 사용자가 너무 작은

가스비를 사용해서

전송을 하면

채굴자가 전송 거부를

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때가쏙비트
    때가쏙비트19.05.26

    안녕하세요. 채굴자들이 전송거부를 하는 것은 아닙니다. 다만 채굴자들은 채굴자들마다 트랜잭션 풀이 존재하는데 이 트랜잭션 풀에는 트랜잭션들이 전송수수료 순으로 정렬이 되어 있습니다. 트랜잭션 풀이 꽉 차게되면 낮은 수수료를 사용한 트랜잭션에 대해서는 소멸이 됩니다. 즉 가스비를 너무 낮게 책정하여 펜딩상태가 지속되면 트랜잭션 풀에 들어가지 못하고 전송이 취소가 됩니다. 이런 경우 사용된 가스비는 반환되지 않죠.

    따라서 전송에 필요한 가스비는 이더리움 네트워크 환경을 잘 파악하여 적정량의 가스비를 책정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개인적으로 이더게스스테이션을 참고하여 가스비를 참조하면 도움이 되더라고요.

    이더게스스테이션: https://ethgasstation.info/


  • 질문자께서 질문해주신 내용을 중심으로 답변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만약 사용자가 너무 작은 가스비를 사용해서 전송을 하면 채굴자가 전송 거부를 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1. 일단 가스비가 '적다, 많다'라는 개념은 네트워크의 혼잡도에 의해 상대적으로 결정되는 개념이라는 점을 먼저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2. 어떤 때는 전송에 성공하고도 남을만한 가스비와 가스한도이지만 네트워크가 혼잡할 때는 트랜젝션이 처리되기에 모자랄 수 있다는 말입니다.

      3. 그러나 일반적으로 작은 가스비와 가스 한도를 설정하여 트랜젝션을 일으키게 될 경우 블록체인의 트랜젝션 처리에 여유가 있는 상황이라면 블록에 포함되어 처리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습니다. 하지만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트랜젝션이 많아지고 혼잡할 경우에는 트랜젝션이 처리되다가 가스 한도에 도달하여 트랜젝션의 처리가 취소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4. 그렇다면 질문자께서 질문해 주신 내용의 포인트인 '채굴자가 전송 거부를 할 수 있는가?'에 대한 답변을 드려야 할텐데요, 결과적으로 말씀드리자면 채굴자가 더 많은 가스비를 지불한 트랜젝션을 선택하는 것이지, 적은 가스비를 사용한 트랜젝션을 거부하는 것은 아니라고 할 수 있습니다.

      5. 즉, 수수료를 더 많이 지불한 거래를 처리하다보니 상대적으로 수수료를 적게 지불한 거래가 우선 순위에서 밀리게 되어 늦게 처리될 수가 있고 그러한 과정에서 가스 한도에 도달하여 거래가 취소될 수가 있다는 것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