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과 일본어 두개만 존댓말이 있는 이유가 뭔가요?
전세계에 수많은 언어들중에서 제가 알기로는 유독 일본어와 한글이 존댓말과 반말이 있다고 알고 있습니다 .이것 때문에 외국인들이 배우기 어렵다고 한다더군요. 근대 왜 일본어와 한글에만 존댓말이 존재히나요?
안녕하세요. 이주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유교문화 사상의 영향이 있어서 그렇지 않을ㄲ ㅏ싶습니다.
우리나라말의 특징인 존댓말은 높임말,경어,공대말,존경어,존대어등으로 불립니다
역사적으로 유교적 질서와 신분제 사회의 상하,수직 구조 속에서
생활이 지속되다 보니, 원하건 원치 않건 상대방에 대한
공손한 태도와 존중의 마음을 표현하기 위해
어른들이나 윗사람에게 존대말을 쓰게 됬을겁니다.
안녕하세요. 윤지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대부분의 나라에서 존댓말을 사용하지만 한국에서의 존댓말과 외국의 존댓말은 서로 성격차이가 있습니다. 한국은 수직관계에서 존댓말을 많이 사용하지만 외국에서는 격식 또는 존중의 의미를 담아 사용한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아닙니다. 존대말이 없는 언어는 없습니다. 정도의 차이가 있긴 하지만 존대 말은 세상 대부분의 언어에 존재 합니다. 예를 들어 영어로 " 여기 앉아 라고 할 때 반말 로는 " Sit here " 입니다. 존대말로는 " Please be seated ere. " 입니다. 수동태로 표현해 최대한 상대방을 높이는 존대말 입니다. 중국어 로도 그냥 평범 하게 여기 앉아 라고 할 때 " 坐这“라고 반말로 할수도 있고 " 请坐这“ 라고 존대말로 할수도 있습니다. 물론 한국어와 일본어가 어미가 발달해 다른 언어 보다 존대말이 발달한것은 사실 이지만 그렇다고 다른 언어가 존대말이 없는 것은 아닙니다.
안녕하세요. 조사를 해본 결과 한국어와 일본어에 존댓말이 있는 이유는 그 언어의 문화적 특징 때문입니다. 한국어와 일본어는 모두 유교 문화권에 속해 있는데, 유교 문화에서는 어른을 존중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따라서 한국어와 일본어에서는 나이가 많거나 지위가 높은 사람을 존중하기 위해 존댓말을 사용합니다.
한국어와 일본어의 존댓말은 매우 다양합니다. 존댓말의 종류는 상황에 따라 달라지지만,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존댓말은 평어보다 어조가 부드럽고 예의 바릅니다.존댓말은 존댓말을 사용하는 사람과 받는 사람의 관계에 따라 달라집니다.
존댓말은 존댓말을 사용하는 사람의 나이, 지위, 성별 등에 따라 달라집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 추천 부탁드려요 ~좋은 하루 되세요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