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음악

조용한문어80
조용한문어80

하이든과 베토벤의 사이는 왜 나쁜건가요?

하이든이 베토벤의 악보를 보고 자기가 있는 빈에 유학을 오라고 권유했고,

베토벤은 음악을 배우기 위해서 찾아갔는데 서로 왜 사이가 나빠진건가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굉장한비오리121
      굉장한비오리121

      안녕하세요. 이주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선제후의 도움으로 1792년 베토벤은 으로 갔다. 아마 1790년대 말 당시 런던으로 가던 요제프 하이든성탄절 쯤에 본에서 머물 때 그에게 처음으로 소개받은 것으로 보인다. 하이든은 베토벤이 작곡한 2곡의 장송칸타타(WoO.87,WoO.88) 악보를 보고 그의 재능을 인정하여 베토벤을 자신의 제자로 받아들이게 되어 1792년 7월에 런던에서 빈으로 귀환한 뒤부터 베토벤과의 인연이 시작된다. 베토벤이 본을 떠날때 그의 친구들이 이별의 인사말을 적은 기념노트를 보면, 빠른 날자는 8월 24일(리히터가 쓴 것), 늦은 날짜는 11월 1일(브로이닝이 쓴 것)이므로, 베토벤이 빈으로 떠날 준비 기간과 출발시간을 거의 가늠할 수 있다.

      11월 10일에 빈에 도착한 베토벤은 즉시 하이든에게서 가르침을 받았다. 하이든은 그에게 만족했지만, 베토벤은 실제로 가르침을 받다보니 이전의 위대한 우상이었던 거장 하이든에게 여러가지로 실망을 느끼게 되었다. 특히 하이든이 고치고 돌려준 베토벤의 악보를 본 요한 셍크(Johann Schenk, 1753-1836)가 미처 하이든이 발견하지 못했던 많은 오류와 잘못을 지적해주자 하이든에 대한 불신감은 더욱 깊어졌다. 베토벤은 마침내 "하이든에게서는 아무것도 배울 것이 없다"고 선언하게 되었다. 당시 하이든이 베토벤에게 아무것도 가르쳐주지 않았다고는 도저히 믿어지지 않지만 하이든의 느긋하고 여유있는 성격을 생각해보면 누군가에게 가르친다는 일이 적성에 맞았던 것은 아니었던 것 같다. 그런데다 가르치는 상대가 젋은 혈기에 급한 성격으로 알려진 베토벤이었으니 둘이 서로 잘 맞지 않았음은 당연하지 않았을까 싶다.

      그 후 베토벤은 당시 빈에서 뛰어난 이론가로 통하던 요한 알브레히츠베르거(Johann Georg Albrechtsberger, 1736~1809)에게 가르침을 받고, 모짜르트의 연적으로 알려진 안토니오 살리에리(Antonio Salieri, 1750~1825)에게 성악곡 작곡을 배운다. 그리고 1793년말, 결국 베토벤은 하이든 곁을 떠나지만 두 사람간의 불화가 어느 정도였는지는 확실치 않다. 베토벤이 스스로 가장 만족해하던 C단조 3중주곡을 출판하지 말라고 하이든이 충고한 것 때문에 베토벤은 심한 상처를 받았던 일도 있듯이, 어쨌든 두 사람 사이에 뭔가 개운치 않은 앙금이 있었던 것만은 사실인 것 같다. 1794년, 하이든이 두 번째 영국 여행을 떠나자 베토벤은 선생님을 바꿀 수 있는 절호의 기회가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베토벤은 1795년 피아노 소나타 1~3번 작곡을 완성하여 하이든에게 헌정하였으며, 그해 8월 하이든이 빈으로 돌아왔을때 카를 리히노브스키 후작 저택의 연주회에서 직접 들려주었다. 이 3곡의 소나타가 작품2로 출판되었다는 사실은 하이든과 베토벤의 사이가 결정적으로 나쁜 것은 아니었음을 말해주고 있다. 베토벤 쪽에서 말하자면 하이든은 과거의 업적을 놓고 볼 때 역시 위대한 대선배였다. 단지 그는 자신의 향학열을 만족시켜주지 않은 것에 대한 불만을 가졌을 뿐이었다. 또 누구도 따라올 수 없는 지위와 연륜을 갖춘 하이든 쪽에서 볼 때도 신출내기 청년 음악가의 불평이나 불만 따위에 일일이 대응하여 신경을 쓸 필요가 없었다. 그런 사정이 두 사람 간의 돌이킬 수 없는 불화를 막아준 것이라고 여겨진다.

      피아노 3중주 1~3번 작품1과 피아노 소나타 1~3번 작품2를 작곡한 것 외에 그 당시에는 출판되지 않은 상당수의 곡을 작곡하는데 오늘날에는 대부분 WoO작품번호로 분류된다. 그의 작품을 볼수록 작곡 양식이 성숙해지고 범위가 넓어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음악학자들은 1791년에 쓴 어느 변주곡집에서 그의 교향곡 3번의 주제와 비슷한 부분이 있음을 찾아낸 바 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막상 실제로 가르침을 받게 되자 하이든에 대한 기대는 실망으로 바뀝니다. 하이든은 분명 작곡가로는 1급이었지만 스승으로서는 의문부호가 한두개가 아니었습니다.

      느긋한 성격탓인지 2차 런던 여행에 대한 준비에 치중했던 탓인지 알수 없으나 하이든은 기대했던 만큼 베토벤을 열성적으로 가르쳐주지 않았고, 언젠가 베토벤이 작성한 악보를 하이든이 고친 후 돌려주었는데 다른 음악가인 요한 밥티스트 셴크는 이 수정된 악보를 보고 하이든이 미처 발견하지 못한 많은 오류와 잘못을 지적해줍니다. 이 사건을 통해 베토벤은 자신의 교육에 별 관심을 가져 주지 않는 하이든에게 실망했고 이 회에 하이든은 베토벤이 작곡한 몇 속에 대한 악평을 하거나 출판을 반대하여 베토벤에게 상처를 주기도 했습니다.

      베토벤 자신이 매우 마음에 들어한 C단조의 피아노 3중주를 하이든은 신예 작곡가의 작품 치고는 너무 길고 복잡하다고 지적했고,

      결국 베토벤은 자신과 너무 성향이 다른 하이든에게 더 이상 얻을 것이 없다고 판단하고 1년여만에 하이든의 휘하를 떠나면서 사제관계를 청산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