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전기·전자 이미지
전기·전자학문
전기·전자 이미지
전기·전자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5.15

마찰전기는 과학적으로 어떤 원리에 의해서 일어나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마찰전기라는 것은 과학적으로 어떤 원리에 의해서 일어나는 것인가요?

마찰전기의 원리를 알아낸 사람은 누구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작은말벌290
    작은말벌29023.05.16

    안녕하세요. 형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마찰을 통해 두 물체가 서로 마찰하게 되면 전자의 이동이 일어납니다. 일반적으로 마찰을 받은 물체는 전자를 얻어서 음전하를 가지게 되고, 마찰을 주는 물체는 전자를 잃어서 양전하를 가지게 됩니다. 이렇게 양전하와 음전하가 형성되면 전기적인 차이가 발생하고, 이 차이로 인해 전하가 이동하려고 하는 경향이 생깁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마찰전기(摩擦電氣)는 두 가지 물체가 마찰되어 대전되어 발생하는 전기이다. 물질을 이루는 원자는 양전하를 띤 원자핵과 음전하를 띤 전자로 되어 있다. 어떤 원자가 전자를 잃으면 양전하를, 반대로 전자를 얻으면 음전하를 띠게 된다.

    출처 : 위키백과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마찰전기는 성질이다른 두 물질이 부딪히거나 만났을 때 전자를 더 잘 끌어당기는 쪽에의해 분극이 일어납니다. 이 상태에서 물체가서로 떨어져나간상태로 분극이 되어 한동안유지되다가 공기중이나 다른물체에 방전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마찰전기는 물체 간의 마찰력으로 인해 전자가 이동하면서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마찰력은 물체 간의 접촉면에서 생기는 마찰력과, 미세한 표면에서 생기는 접착력, 분자 간의 인력 등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이 때, 마찰력에 의해 이동하는 물체 간에 전자가 이동하면서 정적 전하가 생성됩니다.

    생성된 정적 전하는 물체에 머무르게 되고, 이는 전기장을 만들어내며 주변의 물체와 상호작용하게 됩니다. 만약 전하가 축적된 물체가 전기가 통하는 금속체와 접촉하게 된다면, 전하는 금속체에 흐르게 되어 전기를 만들어내게 됩니다. 이러한 현상을 마찰전기라고 하며, 우리 주변에서 많은 곳에서 관찰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헌 과학전문가입니다.


    마찰전기는 '전기적 성질이 다른 두 물체간'에 마찰로 인해 전하가 옮겨져 한쪽은 음전하를 한쪽은 양전하를 띄는 과정을 말하는것이고, 그렇게 대전된 전자가 흐르지않고 물체에 머물러있게 되면 정전기라고 합니다.



    마찰전기는 물체마다 전자를 더 잘 머금고 있으려는 성질이 강하냐 약하냐에 따라 물체간 상대적 차이로 음전하를 띌수도 양전하를 띌수도 있지요.



    그리고 전류가 흐를 곳이 있으면(저항이 작은 도체가 연결되어 있으면) 거기로 흘러버릴텐데 흘러갈 곳이 없으면 그냥 머물러있는게 정전기구요. 그 두개가 엄밀하겐 다른건데 거의 구분없이들 씁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마찰력이 작용하는 두 물체 간에는 전자가 상호 이동하면서 일부 전자가 하나의 물체에 남게 됩니다. 이때 물체에 머무르게 되는 전자의 수가 증가하면 해당 물체는 마이너스(-) 전하를 가지게 되고, 반대로 전자가 떠나면 플러스(+) 전하를 가지게 됩니다.

    따라서 마찰전기는 두 물체 간의 마찰력과 전자의 이동으로 인해 전하가 분리되고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마찰전기는 BC600년경 그리스의 탈레스가 호박이라는 보석을 마찰하면 가벼운 물체를 흡인하는 것을 발견하게 되었고 이것이 마찰전기의 기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