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균형잡힌영양설계
균형잡힌영양설계

지방소멸위험지수는 어떤 공식으로 계싼하는 건가요?

지방의 심각한 인구 가소로 인해 지방 소멸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죠.

지방 소멸에 대한 데이터 중에서 지방소멸위험지수라는 게 있던데 이건 어떤 방식으로 계산하여 발표하는 지수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지방소멸위험지수는 20~39세 여성인구 수를 65세 이상 고령인구 수로 나눈 값을 의미합니다. 이 지수는 한국고용정보원에서 개발한 지표로, 젊은 여성 인구 유출과 고령화라는 두 가지 요소를 고려하여 지방 소멸 위험 가능성을 나타냅니다.

    • 안녕하세요. 윤지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지방소멸위험지수는 한 지역의 20∼39세 여성 인구를 65세 이상 인구로 나눈 값으로, 이 지수가 0.5 이하일 때는 소멸 위험이 큰 것으로 정의됩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인구소멸 위험지수는 매년 한국 고용 정보원에서 조사한 수치이며 대한 민국 이구의 수도권 집중의 심각성, 저출산·고령화의 심각성 등을 파악할 수 있는 결과입니다. 한 지역의 20-39세의 여성 인구수를 해당 지역의 65세 이상 고령 인구수로 나눈 값으로 지방 소멸의 위헌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활용 한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찬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지방소멸위험지수는 20~39 세의 사람들중 여자들만 선정하고 이 숫자에서 65세 이상 되는 사람들의 숫자로 나누어 계산하는데 1~1.5 면 정상이고 0.5 미만이면 소멸 위험, 0.2 이하면 소멸 고위험 지역이 됩니다. 초고령사회를 우리보다 먼적 맞닥뜨린 일본에서 만든지수로써 일본의 사회학자 마스다 히로야 가 만든 계산법 입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겠습니다. 추가로 궁금하신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댓글달아주시면 답변 드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