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축정책을 펼치게 되면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요즘 셰계적으로 상황이 많이 좋지 않은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뉴스를 보니 긴축정책 얘기가 많이 나오던데 긴축정책을 펼치게 되면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종완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긴축정책은 경기가 과열되었다고 판단될 때 그것을 진정시키고 억제하려는 목적으로 시행하는 정책입니다. 정부나 지방자치단체가 예산 편성시 지출을 줄이거나, 신규모집을 하지 않는 등의 정책을 취하며, 금리를 인상하는 등 시중에 풀리는 통화량을 줄이게 됩니다.
긴축정책이 시작되면 활성화되었던 소비가 다소 억제되고 시중 통화가 줄어드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물가가 낮아지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이원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긴축정책을 펼친다는 말은 그 동안 풀었던 돈을 회수한다는 말입니다. 돈을 회수하게 되면 시장에 있던 유동성이 줄어들게 됩니다. 결국 코로나가 터지고 나서 인위적으로 돈을 풀어가며 경기를 부양했었는데 그 효과가 사라진다고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긴축정책을 펼치게 되면 투자나 개발 등에 쓰이던 자금이 제한되고 줄어들게 되며 경기를 부양해야하는 상황인데도 긴축 정책을 펼치게 되면 경기 침체가 올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긴축정책을 얼마나 오래동안 유지하는지도 눈여겨 봐야될 포인트라고 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긴축 정책을 펼친다는 것은 시중에 유통되는 화폐의 양을 줄이겠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입니다. 시중에 유통되는 화폐의 양이 감소하게 되면 경제활동을 하는 주체들의 소비가 감소하게 되고 이로 인해서 기업들의 실적이 악화될 가능성이 높고 결국에는 취업률의 감소와 실업률의 증가로 경기침체로까지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지게 됩니다. 물론, 이러한 경기침체의 상황으로 가기 전에 인플레이션을 빠르게 억제시킨 후에 다시 금리인하를 통해서 적정 금리 수준으로 유지하여 경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키기 위해서 노력을 하게 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긴축정책이라는 것은 쉽게 말해 시장에 통화량을 줄이겠다는 것입니다.
통화량을 줄여 화폐가치를 높여 물가를 잡겠다는 것이니 장기적으로는 경제회복에 필수정책이지만
그 사이에서 고금리,고물가 가 겹치는 구간이 있습니다. 지금 2023년이 이러한 해죠
어쩔 수 없이 한번은 고통이 옵니다.
2023년이 긴축정책에 의해 기업,가계 가 많이 힘들어질 것입니다.